JP모건, 올해 미국경제 역성장 전망…1.6%p↓
입력 2025.04.06 (10:47)
수정 2025.04.06 (10: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로 인해 올해 미국 경제가 역성장에 빠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JP모건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무려 1.6%포인트나 낮췄습니다. 지난 2년간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온 미국 경제가 관세 충격으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JP모건의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 마이클 페롤리는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이 이전 1.3%에서 -0.3%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실업률 전망치도 상향 조정해 추가로 실업자가 거의 200만명 증가할 것으로 수정 전망했습니다.
앞서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일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는 반면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라고 진단한 바 있습니다.
상호관세의 평균 실효세율이 23% 이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했던 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 시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며 이같이 분석했습니다.
같은 날 JP모건의 브루스 카스만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투자자 노트에서 "올해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이 40%에서 60%로 높아졌다"고 봤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부과한다고 발표한 10%의 기본 관세는 현지시각 5일, 한국 등 60여개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는 9일 발효됩니다.
중국은 이에 대응해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맞불 관세'를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JP모건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무려 1.6%포인트나 낮췄습니다. 지난 2년간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온 미국 경제가 관세 충격으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JP모건의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 마이클 페롤리는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이 이전 1.3%에서 -0.3%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실업률 전망치도 상향 조정해 추가로 실업자가 거의 200만명 증가할 것으로 수정 전망했습니다.
앞서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일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는 반면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라고 진단한 바 있습니다.
상호관세의 평균 실효세율이 23% 이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했던 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 시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며 이같이 분석했습니다.
같은 날 JP모건의 브루스 카스만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투자자 노트에서 "올해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이 40%에서 60%로 높아졌다"고 봤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부과한다고 발표한 10%의 기본 관세는 현지시각 5일, 한국 등 60여개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는 9일 발효됩니다.
중국은 이에 대응해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맞불 관세'를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JP모건, 올해 미국경제 역성장 전망…1.6%p↓
-
- 입력 2025-04-06 10:47:40
- 수정2025-04-06 10:48:20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로 인해 올해 미국 경제가 역성장에 빠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JP모건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무려 1.6%포인트나 낮췄습니다. 지난 2년간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온 미국 경제가 관세 충격으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JP모건의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 마이클 페롤리는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이 이전 1.3%에서 -0.3%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실업률 전망치도 상향 조정해 추가로 실업자가 거의 200만명 증가할 것으로 수정 전망했습니다.
앞서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일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는 반면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라고 진단한 바 있습니다.
상호관세의 평균 실효세율이 23% 이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했던 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 시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며 이같이 분석했습니다.
같은 날 JP모건의 브루스 카스만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투자자 노트에서 "올해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이 40%에서 60%로 높아졌다"고 봤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부과한다고 발표한 10%의 기본 관세는 현지시각 5일, 한국 등 60여개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는 9일 발효됩니다.
중국은 이에 대응해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맞불 관세'를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JP모건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무려 1.6%포인트나 낮췄습니다. 지난 2년간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온 미국 경제가 관세 충격으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JP모건의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 마이클 페롤리는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이 이전 1.3%에서 -0.3%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실업률 전망치도 상향 조정해 추가로 실업자가 거의 200만명 증가할 것으로 수정 전망했습니다.
앞서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일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는 반면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라고 진단한 바 있습니다.
상호관세의 평균 실효세율이 23% 이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했던 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 시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며 이같이 분석했습니다.
같은 날 JP모건의 브루스 카스만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투자자 노트에서 "올해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이 40%에서 60%로 높아졌다"고 봤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부과한다고 발표한 10%의 기본 관세는 현지시각 5일, 한국 등 60여개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는 9일 발효됩니다.
중국은 이에 대응해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맞불 관세'를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