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노동자 안전·인권 위해 “이름 불러 주세요”
입력 2025.04.06 (21:26)
수정 2025.04.06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주·전남 지역 산업 현장에도 수만 명의 이주노동자가 일하고 있습니다.
지역의 소중한 일꾼이지만 현장에서는 이름 대신 '야'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는데요.
이름이 적힌 안전모를 쓰도록 하는 캠페인이 시작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유승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주노동자들이 실제 작업 현장과 비슷하게 만들어진 곳에서 추락이나 끼임같은 아찔한 상황을 체험합니다.
재해 발생 위기를 직접 경험하며 안전 대책을 배우는 겁니다.
특히 핵심 안전장구로 꼽히는 안전모가 모두에게 지급됐습니다.
그런데 이 안전모, 일반 안전모와 다르게 각자 이름이 써 있습니다.
여러나라에서 온 이주노동자들은 이름이 다양하고 어렵다보니, 현장에서 이름 대신 '야' 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샤인·오민수/미얀마 출신 노동자 : "(본인 이름이 쓰인 안전모가 있어요?) 없습니다. 이게 처음입니다. 현장에서 쓰고 하면 안전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 합니다."]
이번 사업은 전남노동권익센터가 제안해 고용노동부 노사민정 상생 협력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역 주요 산업현장을 돌며 이름이 적힌 안전모를 보급하고 노동인권과 안전 캠페인을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문길주/전남노동권익센터장 : "자기 이름이 있었는데 그런 부분에 대해서 인식 전환이 있고 이주노동자들이 안전모를 착용함으로써 조금이라도 큰 사고나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굉장히 뜻깊은 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광주·전남에서 발생하는 이주노동자 산업재해는 해마다 250여 건.
작은 변화가 차별 없는 안전한 일터를 만드는 계기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승용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광주·전남 지역 산업 현장에도 수만 명의 이주노동자가 일하고 있습니다.
지역의 소중한 일꾼이지만 현장에서는 이름 대신 '야'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는데요.
이름이 적힌 안전모를 쓰도록 하는 캠페인이 시작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유승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주노동자들이 실제 작업 현장과 비슷하게 만들어진 곳에서 추락이나 끼임같은 아찔한 상황을 체험합니다.
재해 발생 위기를 직접 경험하며 안전 대책을 배우는 겁니다.
특히 핵심 안전장구로 꼽히는 안전모가 모두에게 지급됐습니다.
그런데 이 안전모, 일반 안전모와 다르게 각자 이름이 써 있습니다.
여러나라에서 온 이주노동자들은 이름이 다양하고 어렵다보니, 현장에서 이름 대신 '야' 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샤인·오민수/미얀마 출신 노동자 : "(본인 이름이 쓰인 안전모가 있어요?) 없습니다. 이게 처음입니다. 현장에서 쓰고 하면 안전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 합니다."]
이번 사업은 전남노동권익센터가 제안해 고용노동부 노사민정 상생 협력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역 주요 산업현장을 돌며 이름이 적힌 안전모를 보급하고 노동인권과 안전 캠페인을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문길주/전남노동권익센터장 : "자기 이름이 있었는데 그런 부분에 대해서 인식 전환이 있고 이주노동자들이 안전모를 착용함으로써 조금이라도 큰 사고나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굉장히 뜻깊은 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광주·전남에서 발생하는 이주노동자 산업재해는 해마다 250여 건.
작은 변화가 차별 없는 안전한 일터를 만드는 계기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승용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주노동자 안전·인권 위해 “이름 불러 주세요”
-
- 입력 2025-04-06 21:26:09
- 수정2025-04-06 21:58:54

[앵커]
광주·전남 지역 산업 현장에도 수만 명의 이주노동자가 일하고 있습니다.
지역의 소중한 일꾼이지만 현장에서는 이름 대신 '야'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는데요.
이름이 적힌 안전모를 쓰도록 하는 캠페인이 시작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유승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주노동자들이 실제 작업 현장과 비슷하게 만들어진 곳에서 추락이나 끼임같은 아찔한 상황을 체험합니다.
재해 발생 위기를 직접 경험하며 안전 대책을 배우는 겁니다.
특히 핵심 안전장구로 꼽히는 안전모가 모두에게 지급됐습니다.
그런데 이 안전모, 일반 안전모와 다르게 각자 이름이 써 있습니다.
여러나라에서 온 이주노동자들은 이름이 다양하고 어렵다보니, 현장에서 이름 대신 '야' 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샤인·오민수/미얀마 출신 노동자 : "(본인 이름이 쓰인 안전모가 있어요?) 없습니다. 이게 처음입니다. 현장에서 쓰고 하면 안전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 합니다."]
이번 사업은 전남노동권익센터가 제안해 고용노동부 노사민정 상생 협력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역 주요 산업현장을 돌며 이름이 적힌 안전모를 보급하고 노동인권과 안전 캠페인을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문길주/전남노동권익센터장 : "자기 이름이 있었는데 그런 부분에 대해서 인식 전환이 있고 이주노동자들이 안전모를 착용함으로써 조금이라도 큰 사고나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굉장히 뜻깊은 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광주·전남에서 발생하는 이주노동자 산업재해는 해마다 250여 건.
작은 변화가 차별 없는 안전한 일터를 만드는 계기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승용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광주·전남 지역 산업 현장에도 수만 명의 이주노동자가 일하고 있습니다.
지역의 소중한 일꾼이지만 현장에서는 이름 대신 '야'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는데요.
이름이 적힌 안전모를 쓰도록 하는 캠페인이 시작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유승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주노동자들이 실제 작업 현장과 비슷하게 만들어진 곳에서 추락이나 끼임같은 아찔한 상황을 체험합니다.
재해 발생 위기를 직접 경험하며 안전 대책을 배우는 겁니다.
특히 핵심 안전장구로 꼽히는 안전모가 모두에게 지급됐습니다.
그런데 이 안전모, 일반 안전모와 다르게 각자 이름이 써 있습니다.
여러나라에서 온 이주노동자들은 이름이 다양하고 어렵다보니, 현장에서 이름 대신 '야' 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샤인·오민수/미얀마 출신 노동자 : "(본인 이름이 쓰인 안전모가 있어요?) 없습니다. 이게 처음입니다. 현장에서 쓰고 하면 안전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 합니다."]
이번 사업은 전남노동권익센터가 제안해 고용노동부 노사민정 상생 협력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역 주요 산업현장을 돌며 이름이 적힌 안전모를 보급하고 노동인권과 안전 캠페인을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문길주/전남노동권익센터장 : "자기 이름이 있었는데 그런 부분에 대해서 인식 전환이 있고 이주노동자들이 안전모를 착용함으로써 조금이라도 큰 사고나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굉장히 뜻깊은 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광주·전남에서 발생하는 이주노동자 산업재해는 해마다 250여 건.
작은 변화가 차별 없는 안전한 일터를 만드는 계기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승용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
-
유승용 기자 hara1848@kbs.co.kr
유승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