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센터 에너지 사용량 폭증…“2030년엔 현재의 4배”
입력 2025.04.10 (15:54)
수정 2025.04.10 (15: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인 인공지능(AI) 기술 경쟁 때문에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현지 시각 9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현재의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습니다. 특히 AI 전용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는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IEA는 2030년까지 미국에서 AI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전력은 철강과 시멘트, 화학 등 에너지 집약적 산업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모두 합친 규모를 추월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현재 가동되는 데이터센터는 약 10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을 소모합니다. 그러나 데이터센터 고도화에 따라 최근에는 이보다 20배 이상 용량이 높은 데이터센터도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AI 기술 경쟁이 기후 위기 대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다만 IEA는 AI를 활용해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할 경우 전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AI로 전력망 설계를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율주행이나 대중교통 최적화 등을 통해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촉진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IEA는 특히 AI를 활용해 전기차와 풍력터빈, 태양광 패널 등 재생에너지 기술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을 더욱 쉽게 탐사하고 채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AI의 부상으로 에너지 분야는 기술 혁신의 최전선에 서게 됐다"며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사회와 정부, 기업에 달려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AI 용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이 지난해 4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현지 시각 9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현재의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습니다. 특히 AI 전용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는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IEA는 2030년까지 미국에서 AI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전력은 철강과 시멘트, 화학 등 에너지 집약적 산업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모두 합친 규모를 추월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현재 가동되는 데이터센터는 약 10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을 소모합니다. 그러나 데이터센터 고도화에 따라 최근에는 이보다 20배 이상 용량이 높은 데이터센터도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AI 기술 경쟁이 기후 위기 대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다만 IEA는 AI를 활용해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할 경우 전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AI로 전력망 설계를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율주행이나 대중교통 최적화 등을 통해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촉진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IEA는 특히 AI를 활용해 전기차와 풍력터빈, 태양광 패널 등 재생에너지 기술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을 더욱 쉽게 탐사하고 채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AI의 부상으로 에너지 분야는 기술 혁신의 최전선에 서게 됐다"며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사회와 정부, 기업에 달려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AI 용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이 지난해 4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 데이터센터 에너지 사용량 폭증…“2030년엔 현재의 4배”
-
- 입력 2025-04-10 15:54:28
- 수정2025-04-10 15:55:35

전 세계적인 인공지능(AI) 기술 경쟁 때문에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현지 시각 9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현재의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습니다. 특히 AI 전용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는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IEA는 2030년까지 미국에서 AI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전력은 철강과 시멘트, 화학 등 에너지 집약적 산업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모두 합친 규모를 추월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현재 가동되는 데이터센터는 약 10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을 소모합니다. 그러나 데이터센터 고도화에 따라 최근에는 이보다 20배 이상 용량이 높은 데이터센터도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AI 기술 경쟁이 기후 위기 대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다만 IEA는 AI를 활용해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할 경우 전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AI로 전력망 설계를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율주행이나 대중교통 최적화 등을 통해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촉진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IEA는 특히 AI를 활용해 전기차와 풍력터빈, 태양광 패널 등 재생에너지 기술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을 더욱 쉽게 탐사하고 채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AI의 부상으로 에너지 분야는 기술 혁신의 최전선에 서게 됐다"며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사회와 정부, 기업에 달려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AI 용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이 지난해 4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현지 시각 9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현재의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습니다. 특히 AI 전용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는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IEA는 2030년까지 미국에서 AI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전력은 철강과 시멘트, 화학 등 에너지 집약적 산업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모두 합친 규모를 추월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현재 가동되는 데이터센터는 약 10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을 소모합니다. 그러나 데이터센터 고도화에 따라 최근에는 이보다 20배 이상 용량이 높은 데이터센터도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AI 기술 경쟁이 기후 위기 대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다만 IEA는 AI를 활용해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할 경우 전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AI로 전력망 설계를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율주행이나 대중교통 최적화 등을 통해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촉진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IEA는 특히 AI를 활용해 전기차와 풍력터빈, 태양광 패널 등 재생에너지 기술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을 더욱 쉽게 탐사하고 채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AI의 부상으로 에너지 분야는 기술 혁신의 최전선에 서게 됐다"며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사회와 정부, 기업에 달려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AI 용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이 지난해 4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