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관세 갈등에 한국 경제 ‘새우등’ 신세
입력 2025.04.11 (06:09)
수정 2025.04.11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과 중국, 두 강대국의 관세 전쟁에 우리 수출은 물론 내수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우리에게 부과된 25% 상호 관세가 유예됐다고 안심할 상황이 아니란 얘깁니다.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 세계 아이폰의 90%는 중국 공장에서 만들어집니다.
이 아이폰의 패널과 카메라, 일부는 우리 기업이 납품합니다.
중국산 아이폰이 미국에 건너가 고율 관세가 붙으면 미국 시장 판매가 줄어들 거고 덩달아 우리 업체 손해도 불가피합니다.
[부품업계 관계자/음성변조 : "부담은 결국 소비자와 부품업체들로 전가될 수 있습니다. 소비심리에도 영향을 미쳐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될 가능성도…"]
2023년 우리 대중 수출품 중 5% 수준인 63억 달러가량은 미국으로 재수출됐습니다.
미·중 관세 전쟁에 이만큼은 우리 수출이 위축될 수 있다는 겁니다.
미국 시장만 문제가 아닙니다.
지난해 미국의 중국 상품 수입액은 4,400억 달러, 우리 돈 650조 원에 가깝습니다.
높은 관세로 중국의 대미 수출길이 막히면, 이 상품들이 유럽 등 우리 주요 수출 시장에 쏟아져 나올 수 있습니다.
[정인교/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 "제3국 수출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 등을 감안하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신속한 대미 협의 등의 노력이(필요합니다)."]
안 그래도 내수 시장 위축이 심한 중국.
한국에 철강 제품 등을 덤핑 가격 수준으로 밀어내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에 중국 경기가 더 나빠지면, 우리 내수 시장에 대한 중국 저가 공세가 심해질 전망입니다.
[장상식/무역협회 무역통상연구원장 : "중국도 수출 외에는 경기를 방어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고 한다면 일정 부분은 수출로 밀어내야 되기 때문에요."]
상호 관세는 유예됐다지만, 철강과 자동차의 25% 관세는 여전합니다.
여기에 미·중 보복관세 파장까지, 우리 산업에 드리운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평갑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김정현 김지혜
미국과 중국, 두 강대국의 관세 전쟁에 우리 수출은 물론 내수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우리에게 부과된 25% 상호 관세가 유예됐다고 안심할 상황이 아니란 얘깁니다.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 세계 아이폰의 90%는 중국 공장에서 만들어집니다.
이 아이폰의 패널과 카메라, 일부는 우리 기업이 납품합니다.
중국산 아이폰이 미국에 건너가 고율 관세가 붙으면 미국 시장 판매가 줄어들 거고 덩달아 우리 업체 손해도 불가피합니다.
[부품업계 관계자/음성변조 : "부담은 결국 소비자와 부품업체들로 전가될 수 있습니다. 소비심리에도 영향을 미쳐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될 가능성도…"]
2023년 우리 대중 수출품 중 5% 수준인 63억 달러가량은 미국으로 재수출됐습니다.
미·중 관세 전쟁에 이만큼은 우리 수출이 위축될 수 있다는 겁니다.
미국 시장만 문제가 아닙니다.
지난해 미국의 중국 상품 수입액은 4,400억 달러, 우리 돈 650조 원에 가깝습니다.
높은 관세로 중국의 대미 수출길이 막히면, 이 상품들이 유럽 등 우리 주요 수출 시장에 쏟아져 나올 수 있습니다.
[정인교/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 "제3국 수출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 등을 감안하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신속한 대미 협의 등의 노력이(필요합니다)."]
안 그래도 내수 시장 위축이 심한 중국.
한국에 철강 제품 등을 덤핑 가격 수준으로 밀어내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에 중국 경기가 더 나빠지면, 우리 내수 시장에 대한 중국 저가 공세가 심해질 전망입니다.
[장상식/무역협회 무역통상연구원장 : "중국도 수출 외에는 경기를 방어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고 한다면 일정 부분은 수출로 밀어내야 되기 때문에요."]
상호 관세는 유예됐다지만, 철강과 자동차의 25% 관세는 여전합니다.
여기에 미·중 보복관세 파장까지, 우리 산업에 드리운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평갑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김정현 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중 관세 갈등에 한국 경제 ‘새우등’ 신세
-
- 입력 2025-04-11 06:09:55
- 수정2025-04-11 22:04:50

[앵커]
미국과 중국, 두 강대국의 관세 전쟁에 우리 수출은 물론 내수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우리에게 부과된 25% 상호 관세가 유예됐다고 안심할 상황이 아니란 얘깁니다.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 세계 아이폰의 90%는 중국 공장에서 만들어집니다.
이 아이폰의 패널과 카메라, 일부는 우리 기업이 납품합니다.
중국산 아이폰이 미국에 건너가 고율 관세가 붙으면 미국 시장 판매가 줄어들 거고 덩달아 우리 업체 손해도 불가피합니다.
[부품업계 관계자/음성변조 : "부담은 결국 소비자와 부품업체들로 전가될 수 있습니다. 소비심리에도 영향을 미쳐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될 가능성도…"]
2023년 우리 대중 수출품 중 5% 수준인 63억 달러가량은 미국으로 재수출됐습니다.
미·중 관세 전쟁에 이만큼은 우리 수출이 위축될 수 있다는 겁니다.
미국 시장만 문제가 아닙니다.
지난해 미국의 중국 상품 수입액은 4,400억 달러, 우리 돈 650조 원에 가깝습니다.
높은 관세로 중국의 대미 수출길이 막히면, 이 상품들이 유럽 등 우리 주요 수출 시장에 쏟아져 나올 수 있습니다.
[정인교/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 "제3국 수출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 등을 감안하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신속한 대미 협의 등의 노력이(필요합니다)."]
안 그래도 내수 시장 위축이 심한 중국.
한국에 철강 제품 등을 덤핑 가격 수준으로 밀어내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에 중국 경기가 더 나빠지면, 우리 내수 시장에 대한 중국 저가 공세가 심해질 전망입니다.
[장상식/무역협회 무역통상연구원장 : "중국도 수출 외에는 경기를 방어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고 한다면 일정 부분은 수출로 밀어내야 되기 때문에요."]
상호 관세는 유예됐다지만, 철강과 자동차의 25% 관세는 여전합니다.
여기에 미·중 보복관세 파장까지, 우리 산업에 드리운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평갑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김정현 김지혜
미국과 중국, 두 강대국의 관세 전쟁에 우리 수출은 물론 내수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우리에게 부과된 25% 상호 관세가 유예됐다고 안심할 상황이 아니란 얘깁니다.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 세계 아이폰의 90%는 중국 공장에서 만들어집니다.
이 아이폰의 패널과 카메라, 일부는 우리 기업이 납품합니다.
중국산 아이폰이 미국에 건너가 고율 관세가 붙으면 미국 시장 판매가 줄어들 거고 덩달아 우리 업체 손해도 불가피합니다.
[부품업계 관계자/음성변조 : "부담은 결국 소비자와 부품업체들로 전가될 수 있습니다. 소비심리에도 영향을 미쳐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될 가능성도…"]
2023년 우리 대중 수출품 중 5% 수준인 63억 달러가량은 미국으로 재수출됐습니다.
미·중 관세 전쟁에 이만큼은 우리 수출이 위축될 수 있다는 겁니다.
미국 시장만 문제가 아닙니다.
지난해 미국의 중국 상품 수입액은 4,400억 달러, 우리 돈 650조 원에 가깝습니다.
높은 관세로 중국의 대미 수출길이 막히면, 이 상품들이 유럽 등 우리 주요 수출 시장에 쏟아져 나올 수 있습니다.
[정인교/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 "제3국 수출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 등을 감안하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신속한 대미 협의 등의 노력이(필요합니다)."]
안 그래도 내수 시장 위축이 심한 중국.
한국에 철강 제품 등을 덤핑 가격 수준으로 밀어내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에 중국 경기가 더 나빠지면, 우리 내수 시장에 대한 중국 저가 공세가 심해질 전망입니다.
[장상식/무역협회 무역통상연구원장 : "중국도 수출 외에는 경기를 방어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고 한다면 일정 부분은 수출로 밀어내야 되기 때문에요."]
상호 관세는 유예됐다지만, 철강과 자동차의 25% 관세는 여전합니다.
여기에 미·중 보복관세 파장까지, 우리 산업에 드리운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평갑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김정현 김지혜
-
-
정재우 기자 jjw@kbs.co.kr
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