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굴착공사장 안전 점검
입력 2025.04.13 (09:43)
수정 2025.04.13 (0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강동구 명일동과 경기도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지반침하가 잇따라 발생한 가운데, 서울시가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과 주변에 대해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과 그 주변을 먼저 점검하고, 이후 자치구에서 선정한 곳과 시가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구간에 대해 GPR 탐사를 추진한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최근 사고 발생 장소가 지하철 공사장 인근인 점을 고려해 서울 시내 도시철도 건설공사 구간 3곳 18.5㎞와 주변 도로에 대해 집중적으로 GPR 탐사를 실시합니다.
집중 점검이 이뤄지는 도시철도 건설공사장 주변 대상지는 3곳으로,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건설공사(1∼3공구) 4.1㎞,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 투자사업 건설공사(1∼4공구) 13.4㎞,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공사 1.0㎞ 구간입니다.
발주처가 서울시는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서울에서 굴착 공사가 이뤄지는 광역철도 건설공사 구간에 대해서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집중점검을 추진합니다.
서울을 지나는 신안산선 12.1㎞(석수역∼여의도역),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18.7㎞(수서역∼서울역) 구간입니다. 이중 신안산선의 서울 구간은 GPR 탐사를 4월 초부터 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8개 자치구에서 선정한 우선 점검 지역 50개소 45㎞ 구간에 대한 GPR 탐사도 4월 말까지 조사와 분석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의 요청에 따라 자치구를 대상으로 지반침하 특별점검이 필요한 지역을 자율 제출하도록 했는데, 8개 자치구에서 자체적으로 50곳을 선정해 제출했습니다.
GPR 탐사 결과와 신기술 도입 내용은 서울 안전 누리 홈페이지에 공개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시는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과 그 주변을 먼저 점검하고, 이후 자치구에서 선정한 곳과 시가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구간에 대해 GPR 탐사를 추진한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최근 사고 발생 장소가 지하철 공사장 인근인 점을 고려해 서울 시내 도시철도 건설공사 구간 3곳 18.5㎞와 주변 도로에 대해 집중적으로 GPR 탐사를 실시합니다.
집중 점검이 이뤄지는 도시철도 건설공사장 주변 대상지는 3곳으로,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건설공사(1∼3공구) 4.1㎞,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 투자사업 건설공사(1∼4공구) 13.4㎞,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공사 1.0㎞ 구간입니다.
발주처가 서울시는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서울에서 굴착 공사가 이뤄지는 광역철도 건설공사 구간에 대해서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집중점검을 추진합니다.
서울을 지나는 신안산선 12.1㎞(석수역∼여의도역),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18.7㎞(수서역∼서울역) 구간입니다. 이중 신안산선의 서울 구간은 GPR 탐사를 4월 초부터 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8개 자치구에서 선정한 우선 점검 지역 50개소 45㎞ 구간에 대한 GPR 탐사도 4월 말까지 조사와 분석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의 요청에 따라 자치구를 대상으로 지반침하 특별점검이 필요한 지역을 자율 제출하도록 했는데, 8개 자치구에서 자체적으로 50곳을 선정해 제출했습니다.
GPR 탐사 결과와 신기술 도입 내용은 서울 안전 누리 홈페이지에 공개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굴착공사장 안전 점검
-
- 입력 2025-04-13 09:43:41
- 수정2025-04-13 09:45:33

서울 강동구 명일동과 경기도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지반침하가 잇따라 발생한 가운데, 서울시가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과 주변에 대해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과 그 주변을 먼저 점검하고, 이후 자치구에서 선정한 곳과 시가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구간에 대해 GPR 탐사를 추진한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최근 사고 발생 장소가 지하철 공사장 인근인 점을 고려해 서울 시내 도시철도 건설공사 구간 3곳 18.5㎞와 주변 도로에 대해 집중적으로 GPR 탐사를 실시합니다.
집중 점검이 이뤄지는 도시철도 건설공사장 주변 대상지는 3곳으로,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건설공사(1∼3공구) 4.1㎞,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 투자사업 건설공사(1∼4공구) 13.4㎞,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공사 1.0㎞ 구간입니다.
발주처가 서울시는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서울에서 굴착 공사가 이뤄지는 광역철도 건설공사 구간에 대해서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집중점검을 추진합니다.
서울을 지나는 신안산선 12.1㎞(석수역∼여의도역),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18.7㎞(수서역∼서울역) 구간입니다. 이중 신안산선의 서울 구간은 GPR 탐사를 4월 초부터 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8개 자치구에서 선정한 우선 점검 지역 50개소 45㎞ 구간에 대한 GPR 탐사도 4월 말까지 조사와 분석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의 요청에 따라 자치구를 대상으로 지반침하 특별점검이 필요한 지역을 자율 제출하도록 했는데, 8개 자치구에서 자체적으로 50곳을 선정해 제출했습니다.
GPR 탐사 결과와 신기술 도입 내용은 서울 안전 누리 홈페이지에 공개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시는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과 그 주변을 먼저 점검하고, 이후 자치구에서 선정한 곳과 시가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구간에 대해 GPR 탐사를 추진한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최근 사고 발생 장소가 지하철 공사장 인근인 점을 고려해 서울 시내 도시철도 건설공사 구간 3곳 18.5㎞와 주변 도로에 대해 집중적으로 GPR 탐사를 실시합니다.
집중 점검이 이뤄지는 도시철도 건설공사장 주변 대상지는 3곳으로,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건설공사(1∼3공구) 4.1㎞,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 투자사업 건설공사(1∼4공구) 13.4㎞,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공사 1.0㎞ 구간입니다.
발주처가 서울시는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서울에서 굴착 공사가 이뤄지는 광역철도 건설공사 구간에 대해서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집중점검을 추진합니다.
서울을 지나는 신안산선 12.1㎞(석수역∼여의도역),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18.7㎞(수서역∼서울역) 구간입니다. 이중 신안산선의 서울 구간은 GPR 탐사를 4월 초부터 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8개 자치구에서 선정한 우선 점검 지역 50개소 45㎞ 구간에 대한 GPR 탐사도 4월 말까지 조사와 분석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의 요청에 따라 자치구를 대상으로 지반침하 특별점검이 필요한 지역을 자율 제출하도록 했는데, 8개 자치구에서 자체적으로 50곳을 선정해 제출했습니다.
GPR 탐사 결과와 신기술 도입 내용은 서울 안전 누리 홈페이지에 공개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명주 기자 silk@kbs.co.kr
김명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