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초고속 산불’ 기준으로 대피 체계 개선키로
입력 2025.04.16 (12:00)
수정 2025.04.16 (15: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경북 산불 당시 불길이 빠르게 번지면서 인명 피해가 잇따른 것과 관련해, 정부가 대피 기준과 상황 전파 등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행정안전부와 기상청, 산림청 등은 오늘(16일) 경북 산불과 같은 ‘초고속 산불’에 대비한 주민 대피 체계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먼저, 이번 산불 당시 시시각각 변하는 풍향이나 풍속 탓에 기존의 ‘산불 확산 예측 시스템’을 활용하지 못했고, 헬기나 드론 등을 통한 화선 측정도 어려웠다고 평가했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향후 산불이 발생할 경우 산불 예측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따라 각각 대피 계획을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화선 정보와 최대 순간 풍속, 풍향 등을 확보할 수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을 활용해 5시간 내 산불이 확산할 수 있는 지역을 즉시 대피가 필요한 ‘위험 구역’으로, 8시간 내 확산 지역은 대피 준비가 이루어지는 ‘잠재적 위험 구역’으로 설정하기로 했습니다.
시스템을 활용하기 어려울 땐 이번 경북 산불의 확산 속도를 기준으로 시간당 8.2km의 속도로 산불이 확산한다고 가정하고 5시간 내 산불 도달 지역(41km)은 즉시 대피를, 8시간 내 지역(65.6km)은 대피 준비를 진행하도록 했습니다.
야간에 위험 구역이 포함된 경우에는 일몰 전에 사전 대피를 진행하고, 고령자 등 안전 취약 계층은 준비 단계에서 대피시키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또 이번 산불처럼 전기나 통신망이 단절될 경우 민방공 경보 단말과 가두방송 차량, 마을 순찰대 등을 활용해 대피 상황을 전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대형 산불로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극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때는 마을 순찰대 등을 통한 자력 대피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향후 이에 대비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행정안전부와 기상청, 산림청 등은 오늘(16일) 경북 산불과 같은 ‘초고속 산불’에 대비한 주민 대피 체계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먼저, 이번 산불 당시 시시각각 변하는 풍향이나 풍속 탓에 기존의 ‘산불 확산 예측 시스템’을 활용하지 못했고, 헬기나 드론 등을 통한 화선 측정도 어려웠다고 평가했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향후 산불이 발생할 경우 산불 예측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따라 각각 대피 계획을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화선 정보와 최대 순간 풍속, 풍향 등을 확보할 수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을 활용해 5시간 내 산불이 확산할 수 있는 지역을 즉시 대피가 필요한 ‘위험 구역’으로, 8시간 내 확산 지역은 대피 준비가 이루어지는 ‘잠재적 위험 구역’으로 설정하기로 했습니다.
시스템을 활용하기 어려울 땐 이번 경북 산불의 확산 속도를 기준으로 시간당 8.2km의 속도로 산불이 확산한다고 가정하고 5시간 내 산불 도달 지역(41km)은 즉시 대피를, 8시간 내 지역(65.6km)은 대피 준비를 진행하도록 했습니다.
야간에 위험 구역이 포함된 경우에는 일몰 전에 사전 대피를 진행하고, 고령자 등 안전 취약 계층은 준비 단계에서 대피시키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또 이번 산불처럼 전기나 통신망이 단절될 경우 민방공 경보 단말과 가두방송 차량, 마을 순찰대 등을 활용해 대피 상황을 전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대형 산불로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극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때는 마을 순찰대 등을 통한 자력 대피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향후 이에 대비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초고속 산불’ 기준으로 대피 체계 개선키로
-
- 입력 2025-04-16 12:00:04
- 수정2025-04-16 15:23:51

지난달 경북 산불 당시 불길이 빠르게 번지면서 인명 피해가 잇따른 것과 관련해, 정부가 대피 기준과 상황 전파 등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행정안전부와 기상청, 산림청 등은 오늘(16일) 경북 산불과 같은 ‘초고속 산불’에 대비한 주민 대피 체계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먼저, 이번 산불 당시 시시각각 변하는 풍향이나 풍속 탓에 기존의 ‘산불 확산 예측 시스템’을 활용하지 못했고, 헬기나 드론 등을 통한 화선 측정도 어려웠다고 평가했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향후 산불이 발생할 경우 산불 예측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따라 각각 대피 계획을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화선 정보와 최대 순간 풍속, 풍향 등을 확보할 수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을 활용해 5시간 내 산불이 확산할 수 있는 지역을 즉시 대피가 필요한 ‘위험 구역’으로, 8시간 내 확산 지역은 대피 준비가 이루어지는 ‘잠재적 위험 구역’으로 설정하기로 했습니다.
시스템을 활용하기 어려울 땐 이번 경북 산불의 확산 속도를 기준으로 시간당 8.2km의 속도로 산불이 확산한다고 가정하고 5시간 내 산불 도달 지역(41km)은 즉시 대피를, 8시간 내 지역(65.6km)은 대피 준비를 진행하도록 했습니다.
야간에 위험 구역이 포함된 경우에는 일몰 전에 사전 대피를 진행하고, 고령자 등 안전 취약 계층은 준비 단계에서 대피시키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또 이번 산불처럼 전기나 통신망이 단절될 경우 민방공 경보 단말과 가두방송 차량, 마을 순찰대 등을 활용해 대피 상황을 전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대형 산불로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극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때는 마을 순찰대 등을 통한 자력 대피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향후 이에 대비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행정안전부와 기상청, 산림청 등은 오늘(16일) 경북 산불과 같은 ‘초고속 산불’에 대비한 주민 대피 체계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먼저, 이번 산불 당시 시시각각 변하는 풍향이나 풍속 탓에 기존의 ‘산불 확산 예측 시스템’을 활용하지 못했고, 헬기나 드론 등을 통한 화선 측정도 어려웠다고 평가했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향후 산불이 발생할 경우 산불 예측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따라 각각 대피 계획을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화선 정보와 최대 순간 풍속, 풍향 등을 확보할 수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을 활용해 5시간 내 산불이 확산할 수 있는 지역을 즉시 대피가 필요한 ‘위험 구역’으로, 8시간 내 확산 지역은 대피 준비가 이루어지는 ‘잠재적 위험 구역’으로 설정하기로 했습니다.
시스템을 활용하기 어려울 땐 이번 경북 산불의 확산 속도를 기준으로 시간당 8.2km의 속도로 산불이 확산한다고 가정하고 5시간 내 산불 도달 지역(41km)은 즉시 대피를, 8시간 내 지역(65.6km)은 대피 준비를 진행하도록 했습니다.
야간에 위험 구역이 포함된 경우에는 일몰 전에 사전 대피를 진행하고, 고령자 등 안전 취약 계층은 준비 단계에서 대피시키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또 이번 산불처럼 전기나 통신망이 단절될 경우 민방공 경보 단말과 가두방송 차량, 마을 순찰대 등을 활용해 대피 상황을 전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대형 산불로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극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때는 마을 순찰대 등을 통한 자력 대피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향후 이에 대비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정새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