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필리핀, 남중국해·대만 인근 훈련에 최신 대함미사일 배치

입력 2025.04.16 (15:43) 수정 2025.04.16 (15: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군이 필리핀군과 함께 남중국해·대만 주변에서 실시하는 대규모 합동 훈련에 최신 대함 미사일을 배치합니다.

현지 시각 16일 로이터·AP 통신과 인콰이어러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전날 필리핀군은 오는 21일부터 내달 9일까지 열리는 미국·필리핀의 최대 연례 합동 훈련 '발리카탄'에 대함 미사일 시스템인 '해군·해병대 원정 선박 차단 체계'(NMESIS·네메시스)를 투입한다고 밝혔습니다.

발리카탄 훈련 지휘관인 마이클 로지코 필리핀군 준장은 기자회견에서 "네메시스는 이미 필리핀에 배치돼 있다"면서 "어디에 배치될지는 밝히지 않겠지만, 이번 훈련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네메시스는 노르웨이 콩스베르그 사의 대함 미사일 'NSM'(Naval Strike Missile)을 지상 이동식 발사 플랫폼에 싣고 다니면서 발사하는 시스템입니다.

지난달 28일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 장관은 필리핀을 방문해 전쟁 억지력 구축을 위해 네메시스와 고성능 무인수상정(USV) 등 추가적인 군사력을 필리핀에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로지코 준장은 또 미국이 지난해 필리핀에 배치한 중거리 미사일 발사 시스템 '타이폰'도 이번 훈련에 투입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미군은 발리카탄 훈련을 계기로 타이폰을 필리핀에 반입했다가 이후 중국 견제를 위해 철수시키지 않고 활용하고 있으며, 올해 들어 필리핀에 타이폰 추가 배치를 추진 중입니다. 미군은 당초 루손섬 북서부 라오아그에 배치한 타이폰을 남중국해 암초에 접한 필리핀 서해안 지방의 전략지역에 재배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훈련은 필리핀 북부 루손섬은 물론이고 남중국해와 맞닿은 팔라완섬, 대만과 가까운 루손섬 이북 도서 지역에서도 열립니다. 미군 약 9,000명과 필리핀군 약 5,000명이 참가해 목표 선박을 격침하고 점령된 섬을 탈환하는 연습 등을 하게 됩니다. 남중국해나 대만 일대에서 중국 해군 등이 도발할 경우 이들 미사일 전력으로 중국 전력을 물리치는 시나리오가 훈련에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

로지코 준장은 훈련 장소가 무작위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면서 "훈련 자체만으로도 다른 국가의 영향력 행사를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하에서 미국의 필리핀 방위 공약이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해 "보다시피 (훈련) 규모 축소는 없다"면서 이번 훈련이 "완전한 전투 테스트"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필리핀이 내세우는 '서필리핀해'(West Philippines Sea·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중국해 해역의 필리핀명)라는 해역 표기가 이제 구글 지도에 표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AFP 통신이 전했습니다. 기존에는 구글 지도에서 서필리핀해로 검색을 해야만 이 명칭이 표시됐었으나, 이제 검색하지 않아도 기본 상태로 나옵니다.

프란셀 마르가레스 파디야 필리핀군 대변인은 "구글 지도에 서필리핀해가 포함된 것을 환영한다"면서 대중 인식 제고에 "귀중한 기여"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인콰이어러 홈페이지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필리핀, 남중국해·대만 인근 훈련에 최신 대함미사일 배치
    • 입력 2025-04-16 15:43:15
    • 수정2025-04-16 15:46:18
    국제
미군이 필리핀군과 함께 남중국해·대만 주변에서 실시하는 대규모 합동 훈련에 최신 대함 미사일을 배치합니다.

현지 시각 16일 로이터·AP 통신과 인콰이어러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전날 필리핀군은 오는 21일부터 내달 9일까지 열리는 미국·필리핀의 최대 연례 합동 훈련 '발리카탄'에 대함 미사일 시스템인 '해군·해병대 원정 선박 차단 체계'(NMESIS·네메시스)를 투입한다고 밝혔습니다.

발리카탄 훈련 지휘관인 마이클 로지코 필리핀군 준장은 기자회견에서 "네메시스는 이미 필리핀에 배치돼 있다"면서 "어디에 배치될지는 밝히지 않겠지만, 이번 훈련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네메시스는 노르웨이 콩스베르그 사의 대함 미사일 'NSM'(Naval Strike Missile)을 지상 이동식 발사 플랫폼에 싣고 다니면서 발사하는 시스템입니다.

지난달 28일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 장관은 필리핀을 방문해 전쟁 억지력 구축을 위해 네메시스와 고성능 무인수상정(USV) 등 추가적인 군사력을 필리핀에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로지코 준장은 또 미국이 지난해 필리핀에 배치한 중거리 미사일 발사 시스템 '타이폰'도 이번 훈련에 투입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미군은 발리카탄 훈련을 계기로 타이폰을 필리핀에 반입했다가 이후 중국 견제를 위해 철수시키지 않고 활용하고 있으며, 올해 들어 필리핀에 타이폰 추가 배치를 추진 중입니다. 미군은 당초 루손섬 북서부 라오아그에 배치한 타이폰을 남중국해 암초에 접한 필리핀 서해안 지방의 전략지역에 재배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훈련은 필리핀 북부 루손섬은 물론이고 남중국해와 맞닿은 팔라완섬, 대만과 가까운 루손섬 이북 도서 지역에서도 열립니다. 미군 약 9,000명과 필리핀군 약 5,000명이 참가해 목표 선박을 격침하고 점령된 섬을 탈환하는 연습 등을 하게 됩니다. 남중국해나 대만 일대에서 중국 해군 등이 도발할 경우 이들 미사일 전력으로 중국 전력을 물리치는 시나리오가 훈련에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

로지코 준장은 훈련 장소가 무작위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면서 "훈련 자체만으로도 다른 국가의 영향력 행사를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하에서 미국의 필리핀 방위 공약이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해 "보다시피 (훈련) 규모 축소는 없다"면서 이번 훈련이 "완전한 전투 테스트"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필리핀이 내세우는 '서필리핀해'(West Philippines Sea·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중국해 해역의 필리핀명)라는 해역 표기가 이제 구글 지도에 표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AFP 통신이 전했습니다. 기존에는 구글 지도에서 서필리핀해로 검색을 해야만 이 명칭이 표시됐었으나, 이제 검색하지 않아도 기본 상태로 나옵니다.

프란셀 마르가레스 파디야 필리핀군 대변인은 "구글 지도에 서필리핀해가 포함된 것을 환영한다"면서 대중 인식 제고에 "귀중한 기여"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인콰이어러 홈페이지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