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원스톱 쇼핑론’ 우리에겐 함정일 수도…전문가 인터뷰 [이런뉴스]

입력 2025.04.17 (16:25) 수정 2025.04.17 (18: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이 미국과 첫 관세 협상을 마쳤습니다. 미국은 방위비를 포함한 군사지원 비용을 관세협상과 공식적으로 연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상호관세 유예기간인 90일 안에 협상을 끝내자고도 했는데, 곧 추가 협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은 미국 측에 일방적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한 유감을 거듭 밝혔지만, 성과는 없었다고 일본 언론은 전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하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원스톱 쇼핑'을 공언합니다. 패키지 딜, 즉 한 번에 모두 묶어 협상하자는 것이고 "먼저 협상하면 유리할 것"이라고 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미국은 한국에 50조 원 넘는 알래스카 LNG 개발사업 참여나 조선 협력 등을 요구합니다. 얼핏 한미 모두 윈-윈 아니냐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방위비 등과 연계해 어떻게든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협상을 끌어갈 거란 예상이 나옵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나 자동차 안전기준 같은, 이른바 '비관세 장벽'을 얼마나 완화하라고 요구할지도 초미의 관심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비즈니스 맨' 출신입니다. 주고받는 협상에 능숙한 사람입니다. 우리가 관세를 많이 낮추려고 하면 그만큼 더 줘야 할 게 많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입니다. 쉽지 않은 협상. 미국은 빨리 끝내려고 하는데, 두 달도 안 남은 한국의 대통령 선거도 변수가 될 것 같습니다.

정부 통상정책자문위원장을 맡은 서강대 국제대학원 허윤 교수에게 '관세 협상'에 관한 이모저모를 물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원스톱 쇼핑론’ 우리에겐 함정일 수도…전문가 인터뷰 [이런뉴스]
    • 입력 2025-04-17 16:25:21
    • 수정2025-04-17 18:28:02
    영상K
일본이 미국과 첫 관세 협상을 마쳤습니다. 미국은 방위비를 포함한 군사지원 비용을 관세협상과 공식적으로 연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상호관세 유예기간인 90일 안에 협상을 끝내자고도 했는데, 곧 추가 협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은 미국 측에 일방적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한 유감을 거듭 밝혔지만, 성과는 없었다고 일본 언론은 전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하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원스톱 쇼핑'을 공언합니다. 패키지 딜, 즉 한 번에 모두 묶어 협상하자는 것이고 "먼저 협상하면 유리할 것"이라고 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미국은 한국에 50조 원 넘는 알래스카 LNG 개발사업 참여나 조선 협력 등을 요구합니다. 얼핏 한미 모두 윈-윈 아니냐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방위비 등과 연계해 어떻게든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협상을 끌어갈 거란 예상이 나옵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나 자동차 안전기준 같은, 이른바 '비관세 장벽'을 얼마나 완화하라고 요구할지도 초미의 관심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비즈니스 맨' 출신입니다. 주고받는 협상에 능숙한 사람입니다. 우리가 관세를 많이 낮추려고 하면 그만큼 더 줘야 할 게 많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입니다. 쉽지 않은 협상. 미국은 빨리 끝내려고 하는데, 두 달도 안 남은 한국의 대통령 선거도 변수가 될 것 같습니다.

정부 통상정책자문위원장을 맡은 서강대 국제대학원 허윤 교수에게 '관세 협상'에 관한 이모저모를 물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