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한령’ 해빙 조짐?…미중 ‘반도체 전쟁’으로 확산
입력 2025.04.17 (23:10)
수정 2025.04.17 (23: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장 나와있습니다.
중국이 K컬쳐를 상대로 걸어 잠근 빗장을 이제 푸는 게 아니냐 이런 기대가 있습니다.
이런 변화의 이유는 무엇일 지 궁금한데요?
[앵커]
사실 한한령이 비공식적인 조치긴 하죠?
실제로 풀릴 걸로 보시나요?
[앵커]
해제됐을 때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어느 정돌까요?
[앵커]
그런데 지금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악화일로에 있는데 우리가 덥썩 중국이 내민 손을 잡기도 어려운 거 아닐까요?
지금 한중 관계 어떻게 풀어가야 할까요?
[앵커]
미중 무역전쟁도 좀 짚어보겠습니다.
관세전쟁이 반도체 전쟁으로 확전 양상을 보이고 있죠?
[앵커]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이 중국에 갔잖아요?
어떤 의미로 봐야할까요?
[앵커]
미중간에 난타전이 이어지는 양상인데 잘 뜯어보면 미국은 조급해하고 중국은 느긋해하는 그런 느낌을 줍니다.
중국이 미국을 상대로 상당한 자신감을 보이는 이유는 뭔가요?
[앵커]
그럼 미국과 중국 중 누가 과연 먼저 물러설 것인가.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앵커]
그리고 미국와 일본이 관세협상 테이블을 차렸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없이 나타서 일본을 압박하는 듯히 모습을 연출했습니다.
당장 우리도 다음주 협상이 있지 않습니까?
뭘 어떻게 준비해야할까요?
[앵커]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장이었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장 나와있습니다.
중국이 K컬쳐를 상대로 걸어 잠근 빗장을 이제 푸는 게 아니냐 이런 기대가 있습니다.
이런 변화의 이유는 무엇일 지 궁금한데요?
[앵커]
사실 한한령이 비공식적인 조치긴 하죠?
실제로 풀릴 걸로 보시나요?
[앵커]
해제됐을 때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어느 정돌까요?
[앵커]
그런데 지금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악화일로에 있는데 우리가 덥썩 중국이 내민 손을 잡기도 어려운 거 아닐까요?
지금 한중 관계 어떻게 풀어가야 할까요?
[앵커]
미중 무역전쟁도 좀 짚어보겠습니다.
관세전쟁이 반도체 전쟁으로 확전 양상을 보이고 있죠?
[앵커]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이 중국에 갔잖아요?
어떤 의미로 봐야할까요?
[앵커]
미중간에 난타전이 이어지는 양상인데 잘 뜯어보면 미국은 조급해하고 중국은 느긋해하는 그런 느낌을 줍니다.
중국이 미국을 상대로 상당한 자신감을 보이는 이유는 뭔가요?
[앵커]
그럼 미국과 중국 중 누가 과연 먼저 물러설 것인가.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앵커]
그리고 미국와 일본이 관세협상 테이블을 차렸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없이 나타서 일본을 압박하는 듯히 모습을 연출했습니다.
당장 우리도 다음주 협상이 있지 않습니까?
뭘 어떻게 준비해야할까요?
[앵커]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장이었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한령’ 해빙 조짐?…미중 ‘반도체 전쟁’으로 확산
-
- 입력 2025-04-17 23:10:50
- 수정2025-04-17 23:15:34

[앵커]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장 나와있습니다.
중국이 K컬쳐를 상대로 걸어 잠근 빗장을 이제 푸는 게 아니냐 이런 기대가 있습니다.
이런 변화의 이유는 무엇일 지 궁금한데요?
[앵커]
사실 한한령이 비공식적인 조치긴 하죠?
실제로 풀릴 걸로 보시나요?
[앵커]
해제됐을 때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어느 정돌까요?
[앵커]
그런데 지금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악화일로에 있는데 우리가 덥썩 중국이 내민 손을 잡기도 어려운 거 아닐까요?
지금 한중 관계 어떻게 풀어가야 할까요?
[앵커]
미중 무역전쟁도 좀 짚어보겠습니다.
관세전쟁이 반도체 전쟁으로 확전 양상을 보이고 있죠?
[앵커]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이 중국에 갔잖아요?
어떤 의미로 봐야할까요?
[앵커]
미중간에 난타전이 이어지는 양상인데 잘 뜯어보면 미국은 조급해하고 중국은 느긋해하는 그런 느낌을 줍니다.
중국이 미국을 상대로 상당한 자신감을 보이는 이유는 뭔가요?
[앵커]
그럼 미국과 중국 중 누가 과연 먼저 물러설 것인가.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앵커]
그리고 미국와 일본이 관세협상 테이블을 차렸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없이 나타서 일본을 압박하는 듯히 모습을 연출했습니다.
당장 우리도 다음주 협상이 있지 않습니까?
뭘 어떻게 준비해야할까요?
[앵커]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장이었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장 나와있습니다.
중국이 K컬쳐를 상대로 걸어 잠근 빗장을 이제 푸는 게 아니냐 이런 기대가 있습니다.
이런 변화의 이유는 무엇일 지 궁금한데요?
[앵커]
사실 한한령이 비공식적인 조치긴 하죠?
실제로 풀릴 걸로 보시나요?
[앵커]
해제됐을 때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어느 정돌까요?
[앵커]
그런데 지금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악화일로에 있는데 우리가 덥썩 중국이 내민 손을 잡기도 어려운 거 아닐까요?
지금 한중 관계 어떻게 풀어가야 할까요?
[앵커]
미중 무역전쟁도 좀 짚어보겠습니다.
관세전쟁이 반도체 전쟁으로 확전 양상을 보이고 있죠?
[앵커]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이 중국에 갔잖아요?
어떤 의미로 봐야할까요?
[앵커]
미중간에 난타전이 이어지는 양상인데 잘 뜯어보면 미국은 조급해하고 중국은 느긋해하는 그런 느낌을 줍니다.
중국이 미국을 상대로 상당한 자신감을 보이는 이유는 뭔가요?
[앵커]
그럼 미국과 중국 중 누가 과연 먼저 물러설 것인가.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앵커]
그리고 미국와 일본이 관세협상 테이블을 차렸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없이 나타서 일본을 압박하는 듯히 모습을 연출했습니다.
당장 우리도 다음주 협상이 있지 않습니까?
뭘 어떻게 준비해야할까요?
[앵커]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장이었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