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에만 30년…부산 산불 현장 돌아보니

입력 2025.04.18 (21:45) 수정 2025.04.18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형 산불이 나면 진화가 어렵지만 산림 복구는 더 힘겹습니다.

산불이 휩쓸고 간 자리는 복구에만 30년 넘게 걸립니다.

몇 년 동안 수십 헥타르의 피해를 본 부산의 산불 현장은 지금 어떨지, 김아르내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부산 운봉산 자락.

산꼭대기에 황토색 맨땅이 고스란히 드러났습니다.

산불이 덮쳐 인공 조림이 이뤄진 자리에는 높이가 3m가량, 새로 심은 어린나무가 세워졌습니다.

당시, 불에 탄 나무들은 지금까지 아무렇게나 방치돼 있습니다.

산불 피해를 보고 벌목한 나무인데요.

경사로 곳곳에 쌓여있어 폭우 같은 재난 상황에는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운봉산은 2019년 산불로 47ha의 산림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 가운데 27ha는 인공 복원, 20ha는 자연 복원 중입니다.

[김동필/부산대 조경학과 교수 : "자연으로 복원되는 지역들도 나무가 성장하는 데는 우리나라 같은 온대림의 경우에는 20년 길게는 한 30년 정도…."]

2022년 산불로 20ha의 피해를 본 부산 아홉산.

산 전체가 푸르러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수풀 사이로 잎을 내지 못해 죽은 나무들이 속속 눈에 띕니다.

산불 진화 작업이 진행된 임도입니다.

산불이 난 지 3년이 넘었지만, 나무 곳곳에 불에 그을린 자국이 고스란히 남아있습니다.

아홉산은 인공 복원조차 어렵습니다.

산 대부분이 암석이라, 나무를 베어내면 산을 지탱하는 힘이 약해져 오히려 산사태 위험이 커집니다.

그래서 복구 시간이 긴 자연 복원을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대형 산불은 순식간이지만, 산림 복구는 최소 30년입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복구에만 30년…부산 산불 현장 돌아보니
    • 입력 2025-04-18 21:45:32
    • 수정2025-04-18 22:11:23
    뉴스9(부산)
[앵커]

대형 산불이 나면 진화가 어렵지만 산림 복구는 더 힘겹습니다.

산불이 휩쓸고 간 자리는 복구에만 30년 넘게 걸립니다.

몇 년 동안 수십 헥타르의 피해를 본 부산의 산불 현장은 지금 어떨지, 김아르내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부산 운봉산 자락.

산꼭대기에 황토색 맨땅이 고스란히 드러났습니다.

산불이 덮쳐 인공 조림이 이뤄진 자리에는 높이가 3m가량, 새로 심은 어린나무가 세워졌습니다.

당시, 불에 탄 나무들은 지금까지 아무렇게나 방치돼 있습니다.

산불 피해를 보고 벌목한 나무인데요.

경사로 곳곳에 쌓여있어 폭우 같은 재난 상황에는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운봉산은 2019년 산불로 47ha의 산림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 가운데 27ha는 인공 복원, 20ha는 자연 복원 중입니다.

[김동필/부산대 조경학과 교수 : "자연으로 복원되는 지역들도 나무가 성장하는 데는 우리나라 같은 온대림의 경우에는 20년 길게는 한 30년 정도…."]

2022년 산불로 20ha의 피해를 본 부산 아홉산.

산 전체가 푸르러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수풀 사이로 잎을 내지 못해 죽은 나무들이 속속 눈에 띕니다.

산불 진화 작업이 진행된 임도입니다.

산불이 난 지 3년이 넘었지만, 나무 곳곳에 불에 그을린 자국이 고스란히 남아있습니다.

아홉산은 인공 복원조차 어렵습니다.

산 대부분이 암석이라, 나무를 베어내면 산을 지탱하는 힘이 약해져 오히려 산사태 위험이 커집니다.

그래서 복구 시간이 긴 자연 복원을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대형 산불은 순식간이지만, 산림 복구는 최소 30년입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