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밀 공유’ 국방장관 후임 물색” 보도…백악관 “가짜 뉴스”
입력 2025.04.22 (06:10)
수정 2025.04.22 (07: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밀 정보를 민간 메신저로 공유해 논란이 된 미국 국방부 장관이, 이번엔 가족이 있는 대화방에 기밀 정보를 올렸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습니다.
백악관이 후임 장관을 물색한다는 보도까지 나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가짜 뉴스'라며 헤그세스 장관을 두둔하고 나섰습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예멘 후티 반군 공습 일정 등 민감한 정보를 부인과 가족 그리고 측근이 포함된 채팅방에 공유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후티 반군 공격 관련 기밀을 민간 메신저를 통해 부적절하게 공유한 것으로 드러난 것은 이번이 두 번쨉니다.
1차 논란은 지난달 정부 유관부처 당국자들이 초대된 별도의 채팅방에 후티 반군 정보를 올렸는데 시사잡지 애틀랜틱 편집인이 실수로 초대되며 알려지게 됐습니다.
헤그세스 장관은 강하게 부인했습니다.
[피트 헤그세스/미국 국방장관 : "(언론이) 사기꾼들로 가득합니다. 앙심을 품은 익명 제보자들의 정보를 퍼뜨리고 있어요. 그 모든 걸 마치 뉴스 기사인 것처럼 포장해 내보내고요."]
관련 의혹이 증폭되면서 후임 국방장관을 물색하고 있다는 미국 공영 라디오 NPR의 보도도 나왔지만 백악관은 '가짜 뉴스'라고 일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헤그세스 장관이 업무 수행을 잘하고 있다고 두둔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냥 가짜 뉴스일 뿐입니다. 그저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거죠. 불만을 가진 직원들이 한 말처럼 들리네요. 그는 많은 문제 있는 사람들을 내보내기 위해 그 자리에 임명됐습니다."]
그러나 미국 국방부 대변인과 비서실장이 잇따라 사임하는 등 기밀 유출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1월 헤그세스 장관 미국 상원 인준안은 공화당 내에서도 반대표 나와 간신히 통과됐습니다.
기밀 유출 논란이 확산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결단을 하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기밀 정보를 민간 메신저로 공유해 논란이 된 미국 국방부 장관이, 이번엔 가족이 있는 대화방에 기밀 정보를 올렸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습니다.
백악관이 후임 장관을 물색한다는 보도까지 나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가짜 뉴스'라며 헤그세스 장관을 두둔하고 나섰습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예멘 후티 반군 공습 일정 등 민감한 정보를 부인과 가족 그리고 측근이 포함된 채팅방에 공유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후티 반군 공격 관련 기밀을 민간 메신저를 통해 부적절하게 공유한 것으로 드러난 것은 이번이 두 번쨉니다.
1차 논란은 지난달 정부 유관부처 당국자들이 초대된 별도의 채팅방에 후티 반군 정보를 올렸는데 시사잡지 애틀랜틱 편집인이 실수로 초대되며 알려지게 됐습니다.
헤그세스 장관은 강하게 부인했습니다.
[피트 헤그세스/미국 국방장관 : "(언론이) 사기꾼들로 가득합니다. 앙심을 품은 익명 제보자들의 정보를 퍼뜨리고 있어요. 그 모든 걸 마치 뉴스 기사인 것처럼 포장해 내보내고요."]
관련 의혹이 증폭되면서 후임 국방장관을 물색하고 있다는 미국 공영 라디오 NPR의 보도도 나왔지만 백악관은 '가짜 뉴스'라고 일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헤그세스 장관이 업무 수행을 잘하고 있다고 두둔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냥 가짜 뉴스일 뿐입니다. 그저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거죠. 불만을 가진 직원들이 한 말처럼 들리네요. 그는 많은 문제 있는 사람들을 내보내기 위해 그 자리에 임명됐습니다."]
그러나 미국 국방부 대변인과 비서실장이 잇따라 사임하는 등 기밀 유출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1월 헤그세스 장관 미국 상원 인준안은 공화당 내에서도 반대표 나와 간신히 통과됐습니다.
기밀 유출 논란이 확산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결단을 하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밀 공유’ 국방장관 후임 물색” 보도…백악관 “가짜 뉴스”
-
- 입력 2025-04-22 06:10:40
- 수정2025-04-22 07:56:20

[앵커]
기밀 정보를 민간 메신저로 공유해 논란이 된 미국 국방부 장관이, 이번엔 가족이 있는 대화방에 기밀 정보를 올렸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습니다.
백악관이 후임 장관을 물색한다는 보도까지 나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가짜 뉴스'라며 헤그세스 장관을 두둔하고 나섰습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예멘 후티 반군 공습 일정 등 민감한 정보를 부인과 가족 그리고 측근이 포함된 채팅방에 공유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후티 반군 공격 관련 기밀을 민간 메신저를 통해 부적절하게 공유한 것으로 드러난 것은 이번이 두 번쨉니다.
1차 논란은 지난달 정부 유관부처 당국자들이 초대된 별도의 채팅방에 후티 반군 정보를 올렸는데 시사잡지 애틀랜틱 편집인이 실수로 초대되며 알려지게 됐습니다.
헤그세스 장관은 강하게 부인했습니다.
[피트 헤그세스/미국 국방장관 : "(언론이) 사기꾼들로 가득합니다. 앙심을 품은 익명 제보자들의 정보를 퍼뜨리고 있어요. 그 모든 걸 마치 뉴스 기사인 것처럼 포장해 내보내고요."]
관련 의혹이 증폭되면서 후임 국방장관을 물색하고 있다는 미국 공영 라디오 NPR의 보도도 나왔지만 백악관은 '가짜 뉴스'라고 일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헤그세스 장관이 업무 수행을 잘하고 있다고 두둔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냥 가짜 뉴스일 뿐입니다. 그저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거죠. 불만을 가진 직원들이 한 말처럼 들리네요. 그는 많은 문제 있는 사람들을 내보내기 위해 그 자리에 임명됐습니다."]
그러나 미국 국방부 대변인과 비서실장이 잇따라 사임하는 등 기밀 유출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1월 헤그세스 장관 미국 상원 인준안은 공화당 내에서도 반대표 나와 간신히 통과됐습니다.
기밀 유출 논란이 확산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결단을 하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기밀 정보를 민간 메신저로 공유해 논란이 된 미국 국방부 장관이, 이번엔 가족이 있는 대화방에 기밀 정보를 올렸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습니다.
백악관이 후임 장관을 물색한다는 보도까지 나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가짜 뉴스'라며 헤그세스 장관을 두둔하고 나섰습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예멘 후티 반군 공습 일정 등 민감한 정보를 부인과 가족 그리고 측근이 포함된 채팅방에 공유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후티 반군 공격 관련 기밀을 민간 메신저를 통해 부적절하게 공유한 것으로 드러난 것은 이번이 두 번쨉니다.
1차 논란은 지난달 정부 유관부처 당국자들이 초대된 별도의 채팅방에 후티 반군 정보를 올렸는데 시사잡지 애틀랜틱 편집인이 실수로 초대되며 알려지게 됐습니다.
헤그세스 장관은 강하게 부인했습니다.
[피트 헤그세스/미국 국방장관 : "(언론이) 사기꾼들로 가득합니다. 앙심을 품은 익명 제보자들의 정보를 퍼뜨리고 있어요. 그 모든 걸 마치 뉴스 기사인 것처럼 포장해 내보내고요."]
관련 의혹이 증폭되면서 후임 국방장관을 물색하고 있다는 미국 공영 라디오 NPR의 보도도 나왔지만 백악관은 '가짜 뉴스'라고 일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헤그세스 장관이 업무 수행을 잘하고 있다고 두둔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그냥 가짜 뉴스일 뿐입니다. 그저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거죠. 불만을 가진 직원들이 한 말처럼 들리네요. 그는 많은 문제 있는 사람들을 내보내기 위해 그 자리에 임명됐습니다."]
그러나 미국 국방부 대변인과 비서실장이 잇따라 사임하는 등 기밀 유출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1월 헤그세스 장관 미국 상원 인준안은 공화당 내에서도 반대표 나와 간신히 통과됐습니다.
기밀 유출 논란이 확산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결단을 하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
-
김경수 기자 bada@kbs.co.kr
김경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