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육아기 주 4일제 한 달…‘일·육아 병행’ 지속 과제는
입력 2025.04.23 (08:12)
수정 2025.04.23 (08: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북도가 출산 장려 정책의 하나로, 8살 이하 자녀를 둔 직원을 대상으로 주4일 출근제를 도입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그 동안 주4일제를 택한 직원은 대상자의 3분의 2에 달하는데요.
실제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요?
조선우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연년생 자녀를 키우는 전북도 소속 공무원 김진주 씨.
월화수목금 평일 닷새 가운데 하루는 집에서 아이를 돌봅니다.
[김진주/전북도 주택건축과 : "식구라는 거는 같이 밥을 먹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아이들한테 갓 지은 따뜻한 밥을 평일에 먹일 수 있는 게 제일 좋았고요."]
전북도가 육아기 주 4일 출근제를 시행하면서, 양육 부담이 다소 줄었습니다.
[김진주/전북도 주택건축과 : "아이들하고 소통하는 게 아니라 여유 없이 보냈었는데 조금 숨통도 트이고 뭔가 살아가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
공무원 박홍모 씨도 갓 돌 지난 아기를 돌보기 위해 금요일 하루는 출근하지 않습니다.
[박홍모/전북도 총무과 : "그전에는 저한테도 엄마라고 했거든요. 아이가. 근데 이제 지금은 엄마보다 아빠를 더 많이 하는 것 같아요."]
다만 휴무일이 겹치지 않게 서로 조정해야 하고, 동료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미리 업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박홍모/전북도 총무과 : "업무 대행자한테 어떤 인센티브(혜택)나 이런 게 좀 생겼으면 좀 더 이 제도가 활성화되지 않을까…."]
8살 이하 자녀를 둔 전북도 소속 공무원 2백 90여 명 가운데 현재 68퍼센트가 주 4일 출근제를 쓰고 있습니다.
[김종필/전북도 자치행정국장 : "직원들의 반응이 좋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들은 보완해서 더욱 확대해 나가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주4일 출근제가 다른 기관과 민간으로 더 확대되려면, 육아 배려 문화에 대한 직장 내 분위기 확산과 사회적 공감대 조성 노력이 보다 필요합니다.
KBS 뉴스 조선우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전북도가 출산 장려 정책의 하나로, 8살 이하 자녀를 둔 직원을 대상으로 주4일 출근제를 도입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그 동안 주4일제를 택한 직원은 대상자의 3분의 2에 달하는데요.
실제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요?
조선우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연년생 자녀를 키우는 전북도 소속 공무원 김진주 씨.
월화수목금 평일 닷새 가운데 하루는 집에서 아이를 돌봅니다.
[김진주/전북도 주택건축과 : "식구라는 거는 같이 밥을 먹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아이들한테 갓 지은 따뜻한 밥을 평일에 먹일 수 있는 게 제일 좋았고요."]
전북도가 육아기 주 4일 출근제를 시행하면서, 양육 부담이 다소 줄었습니다.
[김진주/전북도 주택건축과 : "아이들하고 소통하는 게 아니라 여유 없이 보냈었는데 조금 숨통도 트이고 뭔가 살아가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
공무원 박홍모 씨도 갓 돌 지난 아기를 돌보기 위해 금요일 하루는 출근하지 않습니다.
[박홍모/전북도 총무과 : "그전에는 저한테도 엄마라고 했거든요. 아이가. 근데 이제 지금은 엄마보다 아빠를 더 많이 하는 것 같아요."]
다만 휴무일이 겹치지 않게 서로 조정해야 하고, 동료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미리 업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박홍모/전북도 총무과 : "업무 대행자한테 어떤 인센티브(혜택)나 이런 게 좀 생겼으면 좀 더 이 제도가 활성화되지 않을까…."]
8살 이하 자녀를 둔 전북도 소속 공무원 2백 90여 명 가운데 현재 68퍼센트가 주 4일 출근제를 쓰고 있습니다.
[김종필/전북도 자치행정국장 : "직원들의 반응이 좋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들은 보완해서 더욱 확대해 나가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주4일 출근제가 다른 기관과 민간으로 더 확대되려면, 육아 배려 문화에 대한 직장 내 분위기 확산과 사회적 공감대 조성 노력이 보다 필요합니다.
KBS 뉴스 조선우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북도 육아기 주 4일제 한 달…‘일·육아 병행’ 지속 과제는
-
- 입력 2025-04-23 08:12:16
- 수정2025-04-23 08:46:05

[앵커]
전북도가 출산 장려 정책의 하나로, 8살 이하 자녀를 둔 직원을 대상으로 주4일 출근제를 도입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그 동안 주4일제를 택한 직원은 대상자의 3분의 2에 달하는데요.
실제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요?
조선우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연년생 자녀를 키우는 전북도 소속 공무원 김진주 씨.
월화수목금 평일 닷새 가운데 하루는 집에서 아이를 돌봅니다.
[김진주/전북도 주택건축과 : "식구라는 거는 같이 밥을 먹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아이들한테 갓 지은 따뜻한 밥을 평일에 먹일 수 있는 게 제일 좋았고요."]
전북도가 육아기 주 4일 출근제를 시행하면서, 양육 부담이 다소 줄었습니다.
[김진주/전북도 주택건축과 : "아이들하고 소통하는 게 아니라 여유 없이 보냈었는데 조금 숨통도 트이고 뭔가 살아가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
공무원 박홍모 씨도 갓 돌 지난 아기를 돌보기 위해 금요일 하루는 출근하지 않습니다.
[박홍모/전북도 총무과 : "그전에는 저한테도 엄마라고 했거든요. 아이가. 근데 이제 지금은 엄마보다 아빠를 더 많이 하는 것 같아요."]
다만 휴무일이 겹치지 않게 서로 조정해야 하고, 동료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미리 업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박홍모/전북도 총무과 : "업무 대행자한테 어떤 인센티브(혜택)나 이런 게 좀 생겼으면 좀 더 이 제도가 활성화되지 않을까…."]
8살 이하 자녀를 둔 전북도 소속 공무원 2백 90여 명 가운데 현재 68퍼센트가 주 4일 출근제를 쓰고 있습니다.
[김종필/전북도 자치행정국장 : "직원들의 반응이 좋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들은 보완해서 더욱 확대해 나가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주4일 출근제가 다른 기관과 민간으로 더 확대되려면, 육아 배려 문화에 대한 직장 내 분위기 확산과 사회적 공감대 조성 노력이 보다 필요합니다.
KBS 뉴스 조선우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전북도가 출산 장려 정책의 하나로, 8살 이하 자녀를 둔 직원을 대상으로 주4일 출근제를 도입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그 동안 주4일제를 택한 직원은 대상자의 3분의 2에 달하는데요.
실제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요?
조선우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연년생 자녀를 키우는 전북도 소속 공무원 김진주 씨.
월화수목금 평일 닷새 가운데 하루는 집에서 아이를 돌봅니다.
[김진주/전북도 주택건축과 : "식구라는 거는 같이 밥을 먹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아이들한테 갓 지은 따뜻한 밥을 평일에 먹일 수 있는 게 제일 좋았고요."]
전북도가 육아기 주 4일 출근제를 시행하면서, 양육 부담이 다소 줄었습니다.
[김진주/전북도 주택건축과 : "아이들하고 소통하는 게 아니라 여유 없이 보냈었는데 조금 숨통도 트이고 뭔가 살아가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
공무원 박홍모 씨도 갓 돌 지난 아기를 돌보기 위해 금요일 하루는 출근하지 않습니다.
[박홍모/전북도 총무과 : "그전에는 저한테도 엄마라고 했거든요. 아이가. 근데 이제 지금은 엄마보다 아빠를 더 많이 하는 것 같아요."]
다만 휴무일이 겹치지 않게 서로 조정해야 하고, 동료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미리 업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박홍모/전북도 총무과 : "업무 대행자한테 어떤 인센티브(혜택)나 이런 게 좀 생겼으면 좀 더 이 제도가 활성화되지 않을까…."]
8살 이하 자녀를 둔 전북도 소속 공무원 2백 90여 명 가운데 현재 68퍼센트가 주 4일 출근제를 쓰고 있습니다.
[김종필/전북도 자치행정국장 : "직원들의 반응이 좋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들은 보완해서 더욱 확대해 나가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주4일 출근제가 다른 기관과 민간으로 더 확대되려면, 육아 배려 문화에 대한 직장 내 분위기 확산과 사회적 공감대 조성 노력이 보다 필요합니다.
KBS 뉴스 조선우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
-
조선우 기자 ssun@kbs.co.kr
조선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