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립한다”…아이플라이텍, 화웨이 칩 활용 AI 공개
입력 2025.04.23 (14:27)
수정 2025.04.23 (14: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인공지능(AI) 기업 아이플라이텍이 중국 화웨이의 AI칩만 이용해 훈련을 거친 추론 AI 모델을 공개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습니다.
아이플라이텍은 현지시각 22일 자사의 추론 AI 모델인 ‘싱훠 X1’이 업그레이드를 거친 이후 전반적인 성능이 오픈AI의 o1 및 딥시크의 R1을 따라잡았다고 발표했습니다.
회사 측은 싱훠 X1에 대해 “국산 컴퓨팅 파워로 훈련한 ‘자급자족’ 거대언어모델(LLM)”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아이플라이텍과 화웨이는 지난 1월 싱훠 X1 개발을 발표하면서 중국산 칩의 약점인 상호연결 대역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아이플라이텍 설립자인 류칭펑 회장은 전날 실적 발표회에서 추론 모델 훈련을 위한 화웨이의 ‘910B’ AI칩의 효율성은 지난해 말에는 엔비디아 칩의 20% 수준에 그쳤지만, 양사가 협력해 거의 80%까지 올렸다고 말했습니다.
두 회사는 미국의 대 중국 반도체 규제가 강화되던 지난해 6월 처음으로 AI 모델을 공동 개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특히 싱훠 X1의 업그레이드 발표는 최근 미국이 엔비디아의 ‘H20’ 칩도 수출 규제 대상에 포함한 이후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미국 정부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이유 등을 내세워 중국에 첨단 반도체 수출을 제한해왔으며 엔비디아는 AI칩 ‘H100’이 출시도 전에 중국 수출이 금지되자 사양이 낮은 ‘H20’을 제작해 중국에 판매한 바 있습니다.
류 회장은 “중국의 컴퓨팅 파워에 대한 미국의 제한은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이라며 “중국 국영기업과 기간산업은 자립적이고 통제할 수 있는 LLM을 더욱 중요하게 여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중국의 엔비디아 칩 접근이 완전히 차단된다면 중국 내 인프라로 LLM을 구축한 아이플라이텍의 노력은 중국에 중요한 안전망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21일 화웨이가 엔비디아의 H100 성능에 비견할만한 제품을 개발했으며 이르면 다음 달부터 고객사에 대량으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화웨이는 기존 910B 2개를 하나의 패키지로 만든 910C를 개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아이플라이텍은 현지시각 22일 자사의 추론 AI 모델인 ‘싱훠 X1’이 업그레이드를 거친 이후 전반적인 성능이 오픈AI의 o1 및 딥시크의 R1을 따라잡았다고 발표했습니다.
회사 측은 싱훠 X1에 대해 “국산 컴퓨팅 파워로 훈련한 ‘자급자족’ 거대언어모델(LLM)”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아이플라이텍과 화웨이는 지난 1월 싱훠 X1 개발을 발표하면서 중국산 칩의 약점인 상호연결 대역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아이플라이텍 설립자인 류칭펑 회장은 전날 실적 발표회에서 추론 모델 훈련을 위한 화웨이의 ‘910B’ AI칩의 효율성은 지난해 말에는 엔비디아 칩의 20% 수준에 그쳤지만, 양사가 협력해 거의 80%까지 올렸다고 말했습니다.
두 회사는 미국의 대 중국 반도체 규제가 강화되던 지난해 6월 처음으로 AI 모델을 공동 개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특히 싱훠 X1의 업그레이드 발표는 최근 미국이 엔비디아의 ‘H20’ 칩도 수출 규제 대상에 포함한 이후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미국 정부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이유 등을 내세워 중국에 첨단 반도체 수출을 제한해왔으며 엔비디아는 AI칩 ‘H100’이 출시도 전에 중국 수출이 금지되자 사양이 낮은 ‘H20’을 제작해 중국에 판매한 바 있습니다.
류 회장은 “중국의 컴퓨팅 파워에 대한 미국의 제한은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이라며 “중국 국영기업과 기간산업은 자립적이고 통제할 수 있는 LLM을 더욱 중요하게 여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중국의 엔비디아 칩 접근이 완전히 차단된다면 중국 내 인프라로 LLM을 구축한 아이플라이텍의 노력은 중국에 중요한 안전망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21일 화웨이가 엔비디아의 H100 성능에 비견할만한 제품을 개발했으며 이르면 다음 달부터 고객사에 대량으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화웨이는 기존 910B 2개를 하나의 패키지로 만든 910C를 개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자립한다”…아이플라이텍, 화웨이 칩 활용 AI 공개
-
- 입력 2025-04-23 14:27:45
- 수정2025-04-23 14:29:05

중국의 인공지능(AI) 기업 아이플라이텍이 중국 화웨이의 AI칩만 이용해 훈련을 거친 추론 AI 모델을 공개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습니다.
아이플라이텍은 현지시각 22일 자사의 추론 AI 모델인 ‘싱훠 X1’이 업그레이드를 거친 이후 전반적인 성능이 오픈AI의 o1 및 딥시크의 R1을 따라잡았다고 발표했습니다.
회사 측은 싱훠 X1에 대해 “국산 컴퓨팅 파워로 훈련한 ‘자급자족’ 거대언어모델(LLM)”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아이플라이텍과 화웨이는 지난 1월 싱훠 X1 개발을 발표하면서 중국산 칩의 약점인 상호연결 대역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아이플라이텍 설립자인 류칭펑 회장은 전날 실적 발표회에서 추론 모델 훈련을 위한 화웨이의 ‘910B’ AI칩의 효율성은 지난해 말에는 엔비디아 칩의 20% 수준에 그쳤지만, 양사가 협력해 거의 80%까지 올렸다고 말했습니다.
두 회사는 미국의 대 중국 반도체 규제가 강화되던 지난해 6월 처음으로 AI 모델을 공동 개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특히 싱훠 X1의 업그레이드 발표는 최근 미국이 엔비디아의 ‘H20’ 칩도 수출 규제 대상에 포함한 이후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미국 정부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이유 등을 내세워 중국에 첨단 반도체 수출을 제한해왔으며 엔비디아는 AI칩 ‘H100’이 출시도 전에 중국 수출이 금지되자 사양이 낮은 ‘H20’을 제작해 중국에 판매한 바 있습니다.
류 회장은 “중국의 컴퓨팅 파워에 대한 미국의 제한은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이라며 “중국 국영기업과 기간산업은 자립적이고 통제할 수 있는 LLM을 더욱 중요하게 여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중국의 엔비디아 칩 접근이 완전히 차단된다면 중국 내 인프라로 LLM을 구축한 아이플라이텍의 노력은 중국에 중요한 안전망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21일 화웨이가 엔비디아의 H100 성능에 비견할만한 제품을 개발했으며 이르면 다음 달부터 고객사에 대량으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화웨이는 기존 910B 2개를 하나의 패키지로 만든 910C를 개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아이플라이텍은 현지시각 22일 자사의 추론 AI 모델인 ‘싱훠 X1’이 업그레이드를 거친 이후 전반적인 성능이 오픈AI의 o1 및 딥시크의 R1을 따라잡았다고 발표했습니다.
회사 측은 싱훠 X1에 대해 “국산 컴퓨팅 파워로 훈련한 ‘자급자족’ 거대언어모델(LLM)”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아이플라이텍과 화웨이는 지난 1월 싱훠 X1 개발을 발표하면서 중국산 칩의 약점인 상호연결 대역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아이플라이텍 설립자인 류칭펑 회장은 전날 실적 발표회에서 추론 모델 훈련을 위한 화웨이의 ‘910B’ AI칩의 효율성은 지난해 말에는 엔비디아 칩의 20% 수준에 그쳤지만, 양사가 협력해 거의 80%까지 올렸다고 말했습니다.
두 회사는 미국의 대 중국 반도체 규제가 강화되던 지난해 6월 처음으로 AI 모델을 공동 개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특히 싱훠 X1의 업그레이드 발표는 최근 미국이 엔비디아의 ‘H20’ 칩도 수출 규제 대상에 포함한 이후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미국 정부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이유 등을 내세워 중국에 첨단 반도체 수출을 제한해왔으며 엔비디아는 AI칩 ‘H100’이 출시도 전에 중국 수출이 금지되자 사양이 낮은 ‘H20’을 제작해 중국에 판매한 바 있습니다.
류 회장은 “중국의 컴퓨팅 파워에 대한 미국의 제한은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이라며 “중국 국영기업과 기간산업은 자립적이고 통제할 수 있는 LLM을 더욱 중요하게 여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중국의 엔비디아 칩 접근이 완전히 차단된다면 중국 내 인프라로 LLM을 구축한 아이플라이텍의 노력은 중국에 중요한 안전망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21일 화웨이가 엔비디아의 H100 성능에 비견할만한 제품을 개발했으며 이르면 다음 달부터 고객사에 대량으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화웨이는 기존 910B 2개를 하나의 패키지로 만든 910C를 개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