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스스로를 지키는 법…태권도에서 배워요”
입력 2025.04.23 (19:29)
수정 2025.04.23 (19: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케냐 카쿠마의 난민 캠프, 십 대 소녀들이 태권도를 배우고 있습니다.
남수단, 소말리아, 우간다 등에서 온 삼십만 명의 난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카쿠마에서 UN 지원으로 태권도 강습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정착촌 내에서 젊은 여성들이 공격과 폭력의 대상이 되는 일이 자주 생기자, 스스로를 지키는 힘을 기르게 한다는 취지로 태권도 교육을 시작한 것입니다.
[와풀라/인도주의 활동가 : "소녀들과 젊은 여성들이 성차별적 폭력에 대한 취약성이 특히 높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련된 프로젝트입니다."]
태권도 교육은 주 2번, 3년 프로그램으로 짜여 있습니다.
15살 사미아는 심신 단련에 큰 도움을 받았다고 말합니다.
[사미아/태권도 수련생 : "처음에 난민촌에 와서 공격을 당했을 때는 방어할 수 없었지만, 이제는 저 스스로를 지킬 수 있게 됐습니다."]
다만 국제단체 후원이 갈수록 삭감된 데다, 곧 태권도 교육 프로그램 지원도 끝나게 될 예정입니다.
일부 난민 소녀들은 앞으로도 계속 태권도를 배워 직접 강사가 되고 싶다는 꿈을 밝혔습니다.
남수단, 소말리아, 우간다 등에서 온 삼십만 명의 난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카쿠마에서 UN 지원으로 태권도 강습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정착촌 내에서 젊은 여성들이 공격과 폭력의 대상이 되는 일이 자주 생기자, 스스로를 지키는 힘을 기르게 한다는 취지로 태권도 교육을 시작한 것입니다.
[와풀라/인도주의 활동가 : "소녀들과 젊은 여성들이 성차별적 폭력에 대한 취약성이 특히 높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련된 프로젝트입니다."]
태권도 교육은 주 2번, 3년 프로그램으로 짜여 있습니다.
15살 사미아는 심신 단련에 큰 도움을 받았다고 말합니다.
[사미아/태권도 수련생 : "처음에 난민촌에 와서 공격을 당했을 때는 방어할 수 없었지만, 이제는 저 스스로를 지킬 수 있게 됐습니다."]
다만 국제단체 후원이 갈수록 삭감된 데다, 곧 태권도 교육 프로그램 지원도 끝나게 될 예정입니다.
일부 난민 소녀들은 앞으로도 계속 태권도를 배워 직접 강사가 되고 싶다는 꿈을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케냐, “스스로를 지키는 법…태권도에서 배워요”
-
- 입력 2025-04-23 19:29:50
- 수정2025-04-23 19:35:53

케냐 카쿠마의 난민 캠프, 십 대 소녀들이 태권도를 배우고 있습니다.
남수단, 소말리아, 우간다 등에서 온 삼십만 명의 난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카쿠마에서 UN 지원으로 태권도 강습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정착촌 내에서 젊은 여성들이 공격과 폭력의 대상이 되는 일이 자주 생기자, 스스로를 지키는 힘을 기르게 한다는 취지로 태권도 교육을 시작한 것입니다.
[와풀라/인도주의 활동가 : "소녀들과 젊은 여성들이 성차별적 폭력에 대한 취약성이 특히 높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련된 프로젝트입니다."]
태권도 교육은 주 2번, 3년 프로그램으로 짜여 있습니다.
15살 사미아는 심신 단련에 큰 도움을 받았다고 말합니다.
[사미아/태권도 수련생 : "처음에 난민촌에 와서 공격을 당했을 때는 방어할 수 없었지만, 이제는 저 스스로를 지킬 수 있게 됐습니다."]
다만 국제단체 후원이 갈수록 삭감된 데다, 곧 태권도 교육 프로그램 지원도 끝나게 될 예정입니다.
일부 난민 소녀들은 앞으로도 계속 태권도를 배워 직접 강사가 되고 싶다는 꿈을 밝혔습니다.
남수단, 소말리아, 우간다 등에서 온 삼십만 명의 난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카쿠마에서 UN 지원으로 태권도 강습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정착촌 내에서 젊은 여성들이 공격과 폭력의 대상이 되는 일이 자주 생기자, 스스로를 지키는 힘을 기르게 한다는 취지로 태권도 교육을 시작한 것입니다.
[와풀라/인도주의 활동가 : "소녀들과 젊은 여성들이 성차별적 폭력에 대한 취약성이 특히 높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련된 프로젝트입니다."]
태권도 교육은 주 2번, 3년 프로그램으로 짜여 있습니다.
15살 사미아는 심신 단련에 큰 도움을 받았다고 말합니다.
[사미아/태권도 수련생 : "처음에 난민촌에 와서 공격을 당했을 때는 방어할 수 없었지만, 이제는 저 스스로를 지킬 수 있게 됐습니다."]
다만 국제단체 후원이 갈수록 삭감된 데다, 곧 태권도 교육 프로그램 지원도 끝나게 될 예정입니다.
일부 난민 소녀들은 앞으로도 계속 태권도를 배워 직접 강사가 되고 싶다는 꿈을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