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구, 첫 모내기…“올해 쌀값 좋았으면”

입력 2025.04.23 (19:34) 수정 2025.04.23 (19: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23) 양구에서는 올해 첫 모내기가 있었습니다.

농민들은 정성껏 모를 심으며 한해 농사의 풍년을 바랐는데요.

하지만 떨어진 쌀값이 좀처럼 오르지 않아 걱정이 깊습니다.

이유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물을 가득 댄 논에 푸른 모판을 실은 이앙기가 분주히 오갑니다.

이앙기가 지나간 자리에는 어린 모가 가지런히 자리를 잡았습니다.

구름 한 점 없는 맑은 날씨가 일손을 거들어 줍니다.

[이희수/농민 : "날씨가 그러면 못 심어요. 모가 뒤집히고 그래갖고 날씨가 좋아야만 심기가 좋습니다. (오늘은 어떠세요?) 아주 적기죠. 적기."]

올해, 양구의 첫 모내기는 지난해보다 사흘 빨라졌습니다.

품종은 낟알이 풍성하고, 식감이 좋기로 유명한 오대벼입니다.

이르게 심은 만큼 8월 중순이면 수확을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모내기는 시작됐지만 낮아질 대로 낮아진 쌀값 때문에 농민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달(4월) 쌀 20kg 한 포의 가격은 4만 8,000원 대.

가격이 좋았던 4년 전보다 14% 가량 떨어졌습니다.

특히, 올해는 양구에서만 벼 재배면적을 122ha 줄여야 해 농민들의 걱정은 더욱 큽니다.

[박봉화/한국쌀전업농 양구연합회장 : "옛날보다도 지금이 모든 물가가 많이 상승됐는데 쌀값만 계속 제자리 걸음을 하니 이게 농민들이 너무나 힘들어요."]

이 때문에 양구군은 올해 자재 지원 단가를 50% 높이고, 벼 재배용 상토 지원량도 늘렸습니다.

[김정현/양구군 식량작물팀장 : "병해충 예찰 및 관찰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쌀값 안정 대책을 위해 쌀 조기 출하나 아니면 특수미 재배 단지를 통해 판매 다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어려워지는 영농 환경.

그래도 농민들은 풍작의 희망을 붙잡고, 한 해 농사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남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양구, 첫 모내기…“올해 쌀값 좋았으면”
    • 입력 2025-04-23 19:34:16
    • 수정2025-04-23 19:54:46
    뉴스7(춘천)
[앵커]

오늘(23) 양구에서는 올해 첫 모내기가 있었습니다.

농민들은 정성껏 모를 심으며 한해 농사의 풍년을 바랐는데요.

하지만 떨어진 쌀값이 좀처럼 오르지 않아 걱정이 깊습니다.

이유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물을 가득 댄 논에 푸른 모판을 실은 이앙기가 분주히 오갑니다.

이앙기가 지나간 자리에는 어린 모가 가지런히 자리를 잡았습니다.

구름 한 점 없는 맑은 날씨가 일손을 거들어 줍니다.

[이희수/농민 : "날씨가 그러면 못 심어요. 모가 뒤집히고 그래갖고 날씨가 좋아야만 심기가 좋습니다. (오늘은 어떠세요?) 아주 적기죠. 적기."]

올해, 양구의 첫 모내기는 지난해보다 사흘 빨라졌습니다.

품종은 낟알이 풍성하고, 식감이 좋기로 유명한 오대벼입니다.

이르게 심은 만큼 8월 중순이면 수확을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모내기는 시작됐지만 낮아질 대로 낮아진 쌀값 때문에 농민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달(4월) 쌀 20kg 한 포의 가격은 4만 8,000원 대.

가격이 좋았던 4년 전보다 14% 가량 떨어졌습니다.

특히, 올해는 양구에서만 벼 재배면적을 122ha 줄여야 해 농민들의 걱정은 더욱 큽니다.

[박봉화/한국쌀전업농 양구연합회장 : "옛날보다도 지금이 모든 물가가 많이 상승됐는데 쌀값만 계속 제자리 걸음을 하니 이게 농민들이 너무나 힘들어요."]

이 때문에 양구군은 올해 자재 지원 단가를 50% 높이고, 벼 재배용 상토 지원량도 늘렸습니다.

[김정현/양구군 식량작물팀장 : "병해충 예찰 및 관찰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쌀값 안정 대책을 위해 쌀 조기 출하나 아니면 특수미 재배 단지를 통해 판매 다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어려워지는 영농 환경.

그래도 농민들은 풍작의 희망을 붙잡고, 한 해 농사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남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