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24시간 내 보고’ 규정 위반…알뜰폰 고객 ‘USIM’은?
입력 2025.04.24 (19:13)
수정 2025.04.24 (22: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휴대전화의 신분증 격인 유심 관련 정보를 해킹 당한 SK텔레콤이 사건 신고를 규정보다 늦게 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24시간 안에 신고를 해야 하는데, 거의 이틀 가까이 늦어진 건데요,
구체적 피해는 아직 없다지만, 소비자 불안은 여전합니다.
보도에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SKT가 시스템에서 이상을 감지한 건 지난 18일 저녁 6시 10분쯤,
사태 파악을 시작한 5시간 정도 지난 18일 밤 11시 20분에 해킹공격 사실을 확인합니다.
규정을 보면 SKT 측은 시스템 이상을 감지한 지 24시간 안에 이런 사실을 당국에 신고해야 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SKT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보고한 시점은 20일 오후 4시 46분, 이상을 감지한 지 45시간 정도 지난 시점입니다.
정보통신망법 위반입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이 꾸려졌다지만, 휴대전화의 신분증 격인 유심 정보가 유출됐다는 것 말고는 사고 경위와 피해규모는 파악된 게 없습니다.
가장 우려되는 건 탈취한 유심 정보를 악용한 2차 피해, 이에 따라 SKT는 가입자를 위한 '유심보호서비스'를 무료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 오늘부터는 SKT망을 쓰는 알뜰폰 이용자도 관련 서비스를 받게 됐습니다.
알뜰폰을 고령층이 많이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보호서비스를 가입하려면 문자로 받은 간단한 절차를 거치면 되고, 가입이 어렵다면 114고객센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SKT측은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휴대전화의 신분증 격인 유심 관련 정보를 해킹 당한 SK텔레콤이 사건 신고를 규정보다 늦게 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24시간 안에 신고를 해야 하는데, 거의 이틀 가까이 늦어진 건데요,
구체적 피해는 아직 없다지만, 소비자 불안은 여전합니다.
보도에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SKT가 시스템에서 이상을 감지한 건 지난 18일 저녁 6시 10분쯤,
사태 파악을 시작한 5시간 정도 지난 18일 밤 11시 20분에 해킹공격 사실을 확인합니다.
규정을 보면 SKT 측은 시스템 이상을 감지한 지 24시간 안에 이런 사실을 당국에 신고해야 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SKT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보고한 시점은 20일 오후 4시 46분, 이상을 감지한 지 45시간 정도 지난 시점입니다.
정보통신망법 위반입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이 꾸려졌다지만, 휴대전화의 신분증 격인 유심 정보가 유출됐다는 것 말고는 사고 경위와 피해규모는 파악된 게 없습니다.
가장 우려되는 건 탈취한 유심 정보를 악용한 2차 피해, 이에 따라 SKT는 가입자를 위한 '유심보호서비스'를 무료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 오늘부터는 SKT망을 쓰는 알뜰폰 이용자도 관련 서비스를 받게 됐습니다.
알뜰폰을 고령층이 많이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보호서비스를 가입하려면 문자로 받은 간단한 절차를 거치면 되고, 가입이 어렵다면 114고객센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SKT측은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SKT ‘24시간 내 보고’ 규정 위반…알뜰폰 고객 ‘USIM’은?
-
- 입력 2025-04-24 19:13:18
- 수정2025-04-24 22:23:25

[앵커]
휴대전화의 신분증 격인 유심 관련 정보를 해킹 당한 SK텔레콤이 사건 신고를 규정보다 늦게 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24시간 안에 신고를 해야 하는데, 거의 이틀 가까이 늦어진 건데요,
구체적 피해는 아직 없다지만, 소비자 불안은 여전합니다.
보도에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SKT가 시스템에서 이상을 감지한 건 지난 18일 저녁 6시 10분쯤,
사태 파악을 시작한 5시간 정도 지난 18일 밤 11시 20분에 해킹공격 사실을 확인합니다.
규정을 보면 SKT 측은 시스템 이상을 감지한 지 24시간 안에 이런 사실을 당국에 신고해야 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SKT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보고한 시점은 20일 오후 4시 46분, 이상을 감지한 지 45시간 정도 지난 시점입니다.
정보통신망법 위반입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이 꾸려졌다지만, 휴대전화의 신분증 격인 유심 정보가 유출됐다는 것 말고는 사고 경위와 피해규모는 파악된 게 없습니다.
가장 우려되는 건 탈취한 유심 정보를 악용한 2차 피해, 이에 따라 SKT는 가입자를 위한 '유심보호서비스'를 무료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 오늘부터는 SKT망을 쓰는 알뜰폰 이용자도 관련 서비스를 받게 됐습니다.
알뜰폰을 고령층이 많이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보호서비스를 가입하려면 문자로 받은 간단한 절차를 거치면 되고, 가입이 어렵다면 114고객센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SKT측은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휴대전화의 신분증 격인 유심 관련 정보를 해킹 당한 SK텔레콤이 사건 신고를 규정보다 늦게 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24시간 안에 신고를 해야 하는데, 거의 이틀 가까이 늦어진 건데요,
구체적 피해는 아직 없다지만, 소비자 불안은 여전합니다.
보도에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SKT가 시스템에서 이상을 감지한 건 지난 18일 저녁 6시 10분쯤,
사태 파악을 시작한 5시간 정도 지난 18일 밤 11시 20분에 해킹공격 사실을 확인합니다.
규정을 보면 SKT 측은 시스템 이상을 감지한 지 24시간 안에 이런 사실을 당국에 신고해야 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SKT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보고한 시점은 20일 오후 4시 46분, 이상을 감지한 지 45시간 정도 지난 시점입니다.
정보통신망법 위반입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이 꾸려졌다지만, 휴대전화의 신분증 격인 유심 정보가 유출됐다는 것 말고는 사고 경위와 피해규모는 파악된 게 없습니다.
가장 우려되는 건 탈취한 유심 정보를 악용한 2차 피해, 이에 따라 SKT는 가입자를 위한 '유심보호서비스'를 무료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 오늘부터는 SKT망을 쓰는 알뜰폰 이용자도 관련 서비스를 받게 됐습니다.
알뜰폰을 고령층이 많이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보호서비스를 가입하려면 문자로 받은 간단한 절차를 거치면 되고, 가입이 어렵다면 114고객센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SKT측은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
-
우정화 기자 jhw01@kbs.co.kr
우정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