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노동자의 날’ 국가 기념일로…죽음의 일터 ‘여전’
입력 2025.04.28 (19:25)
수정 2025.04.28 (20: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은 산재 노동자의 날입니다.
올해 처음 국가 기념일이 됐는데요.
일하다 죽지 않게 해달란 외침은 언제쯤 현실이 될 수 있을까요?
안승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열아홉 청년이 숨진 전주페이퍼.
고열과 분진에 노동자 세 명이 최근 온몸에 화상을 입었습니다.
이달에만 아파트 외벽에 매달려 작업하던 2명이 떨어져 목숨을 잃었고, 이 땅에 정착하려던 태완의 꿈은 산업재해로 한순간 사그라들었습니다.
[이민경/민주노총 전북본부장 : "아빠가 죽고 가장이 다쳤을 때 그 가정은 이후의 삶이 없어집니다. 얼마에 이들의 목숨값을 쳐줄까, 어떻게 하면 법망을 피해갈까…."]
1993년 태국 인형 공장 화재 참사를 잊지 말자며 세계가 정한 산재 노동자의 날.
노동계의 오랜 요구에 국회가 답했고, 올해 처음 법정 기념일이 됐습니다.
OECD 국가 중 산재 사망률이 최고 수준이란 오명 속, 지난해엔 전년보다 사망자 수가 소폭 준 한국.
안전 투자보단 건설업 불황 여파로 해석되는 데다, 7번째로 사망자가 많은 전북은 산업 규모 대비 산재에 취약합니다.
산재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갈수록 길어지고, 중대재해처벌법 등 수사와 재판도 지연돼 재해 억제 효과를 낮춘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박영민/공인노무사 : "사고 경위 조사하고 보고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위험한 작업 방식인지,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 다단계 하청 구조에 의한 위험성이…."]
한편 군인과 공무원, 농·어업인 등을 포함하면 일하다 숨진 이는 한 해 2,500여 명, 날마다 7명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용혜인/기본소득당 국회의원 : "통계 바깥에 있는 노동자를 묶어내기 위한 체계적인 노동 재해 통계 시스템을 갖춰야 합니다. 재해율이 높은 직종에 대해 실태 조사나 대책 수립을…."]
노동계는 근로기준법 확대 적용과 위험 작업 중지권 보장을 거듭 요구했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그래픽:오진실
오늘은 산재 노동자의 날입니다.
올해 처음 국가 기념일이 됐는데요.
일하다 죽지 않게 해달란 외침은 언제쯤 현실이 될 수 있을까요?
안승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열아홉 청년이 숨진 전주페이퍼.
고열과 분진에 노동자 세 명이 최근 온몸에 화상을 입었습니다.
이달에만 아파트 외벽에 매달려 작업하던 2명이 떨어져 목숨을 잃었고, 이 땅에 정착하려던 태완의 꿈은 산업재해로 한순간 사그라들었습니다.
[이민경/민주노총 전북본부장 : "아빠가 죽고 가장이 다쳤을 때 그 가정은 이후의 삶이 없어집니다. 얼마에 이들의 목숨값을 쳐줄까, 어떻게 하면 법망을 피해갈까…."]
1993년 태국 인형 공장 화재 참사를 잊지 말자며 세계가 정한 산재 노동자의 날.
노동계의 오랜 요구에 국회가 답했고, 올해 처음 법정 기념일이 됐습니다.
OECD 국가 중 산재 사망률이 최고 수준이란 오명 속, 지난해엔 전년보다 사망자 수가 소폭 준 한국.
안전 투자보단 건설업 불황 여파로 해석되는 데다, 7번째로 사망자가 많은 전북은 산업 규모 대비 산재에 취약합니다.
산재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갈수록 길어지고, 중대재해처벌법 등 수사와 재판도 지연돼 재해 억제 효과를 낮춘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박영민/공인노무사 : "사고 경위 조사하고 보고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위험한 작업 방식인지,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 다단계 하청 구조에 의한 위험성이…."]
한편 군인과 공무원, 농·어업인 등을 포함하면 일하다 숨진 이는 한 해 2,500여 명, 날마다 7명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용혜인/기본소득당 국회의원 : "통계 바깥에 있는 노동자를 묶어내기 위한 체계적인 노동 재해 통계 시스템을 갖춰야 합니다. 재해율이 높은 직종에 대해 실태 조사나 대책 수립을…."]
노동계는 근로기준법 확대 적용과 위험 작업 중지권 보장을 거듭 요구했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그래픽:오진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재 노동자의 날’ 국가 기념일로…죽음의 일터 ‘여전’
-
- 입력 2025-04-28 19:25:16
- 수정2025-04-28 20:00:05

[앵커]
오늘은 산재 노동자의 날입니다.
올해 처음 국가 기념일이 됐는데요.
일하다 죽지 않게 해달란 외침은 언제쯤 현실이 될 수 있을까요?
안승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열아홉 청년이 숨진 전주페이퍼.
고열과 분진에 노동자 세 명이 최근 온몸에 화상을 입었습니다.
이달에만 아파트 외벽에 매달려 작업하던 2명이 떨어져 목숨을 잃었고, 이 땅에 정착하려던 태완의 꿈은 산업재해로 한순간 사그라들었습니다.
[이민경/민주노총 전북본부장 : "아빠가 죽고 가장이 다쳤을 때 그 가정은 이후의 삶이 없어집니다. 얼마에 이들의 목숨값을 쳐줄까, 어떻게 하면 법망을 피해갈까…."]
1993년 태국 인형 공장 화재 참사를 잊지 말자며 세계가 정한 산재 노동자의 날.
노동계의 오랜 요구에 국회가 답했고, 올해 처음 법정 기념일이 됐습니다.
OECD 국가 중 산재 사망률이 최고 수준이란 오명 속, 지난해엔 전년보다 사망자 수가 소폭 준 한국.
안전 투자보단 건설업 불황 여파로 해석되는 데다, 7번째로 사망자가 많은 전북은 산업 규모 대비 산재에 취약합니다.
산재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갈수록 길어지고, 중대재해처벌법 등 수사와 재판도 지연돼 재해 억제 효과를 낮춘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박영민/공인노무사 : "사고 경위 조사하고 보고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위험한 작업 방식인지,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 다단계 하청 구조에 의한 위험성이…."]
한편 군인과 공무원, 농·어업인 등을 포함하면 일하다 숨진 이는 한 해 2,500여 명, 날마다 7명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용혜인/기본소득당 국회의원 : "통계 바깥에 있는 노동자를 묶어내기 위한 체계적인 노동 재해 통계 시스템을 갖춰야 합니다. 재해율이 높은 직종에 대해 실태 조사나 대책 수립을…."]
노동계는 근로기준법 확대 적용과 위험 작업 중지권 보장을 거듭 요구했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그래픽:오진실
오늘은 산재 노동자의 날입니다.
올해 처음 국가 기념일이 됐는데요.
일하다 죽지 않게 해달란 외침은 언제쯤 현실이 될 수 있을까요?
안승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열아홉 청년이 숨진 전주페이퍼.
고열과 분진에 노동자 세 명이 최근 온몸에 화상을 입었습니다.
이달에만 아파트 외벽에 매달려 작업하던 2명이 떨어져 목숨을 잃었고, 이 땅에 정착하려던 태완의 꿈은 산업재해로 한순간 사그라들었습니다.
[이민경/민주노총 전북본부장 : "아빠가 죽고 가장이 다쳤을 때 그 가정은 이후의 삶이 없어집니다. 얼마에 이들의 목숨값을 쳐줄까, 어떻게 하면 법망을 피해갈까…."]
1993년 태국 인형 공장 화재 참사를 잊지 말자며 세계가 정한 산재 노동자의 날.
노동계의 오랜 요구에 국회가 답했고, 올해 처음 법정 기념일이 됐습니다.
OECD 국가 중 산재 사망률이 최고 수준이란 오명 속, 지난해엔 전년보다 사망자 수가 소폭 준 한국.
안전 투자보단 건설업 불황 여파로 해석되는 데다, 7번째로 사망자가 많은 전북은 산업 규모 대비 산재에 취약합니다.
산재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갈수록 길어지고, 중대재해처벌법 등 수사와 재판도 지연돼 재해 억제 효과를 낮춘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박영민/공인노무사 : "사고 경위 조사하고 보고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위험한 작업 방식인지,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 다단계 하청 구조에 의한 위험성이…."]
한편 군인과 공무원, 농·어업인 등을 포함하면 일하다 숨진 이는 한 해 2,500여 명, 날마다 7명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용혜인/기본소득당 국회의원 : "통계 바깥에 있는 노동자를 묶어내기 위한 체계적인 노동 재해 통계 시스템을 갖춰야 합니다. 재해율이 높은 직종에 대해 실태 조사나 대책 수립을…."]
노동계는 근로기준법 확대 적용과 위험 작업 중지권 보장을 거듭 요구했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그래픽:오진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