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사 협상 결렬…파업 대신 ‘준법 투쟁’ 돌입

입력 2025.04.30 (12:19) 수정 2025.04.30 (17: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밤사이 진행됐던 서울 시내버스노조와 사측인 버스운송 사업 조합 사이 임금 협상이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총파업에는 들어가지 않는 대신, 오늘 새벽 첫 차부터 준법 투쟁에 돌입했습니다.

버스가 정상 운행하면서 우려했던 출근길 교통 대란은 없었습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9시간여 교섭 끝에 서울 시내버스 노사의 임금 협상은 결렬됐습니다.

이에 따라 노조는 오늘 새벽 첫 차부터 이른바 '준법 투쟁'에 돌입하면서 쟁의행위를 시작했습니다.

'준법 투쟁'은 승객의 착석 등 안전이 확보된 뒤 출발하거나, 앞선 차를 추월하지 않는 방법으로 연착을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총파업 보다 낮은 수준의 쟁의로, 버스는 정상 운행되면서 출근길 우려했던 혼잡은 빚어지지 않았습니다.

[김정민/서울 성북구 : "오늘 평소와 크게 다른 점은 못 느꼈던 것 같습니다. 파업이 되면 버스에 사람이 많이 몰리게 되면 출근하고 나서도 힘들고 퇴근할 때도 힘드니까…"]

노조는 인천시나 경기도보다 낮은 서울 버스 기사의 임금을 현실화하고 현행 63세인 정년을 65세로 연장할 것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대법원 판결로 바뀐 통상임금의 적용 범위도 노사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갈려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쟁의행위가 시작된 만큼 서울시는 계획됐던 비상수송대책을 시행 중입니다.

출근 시간 지하철 열차 투입을 47회 늘리고, 서울 시내 12개 노선을 정해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양측은 6일까지, 징검다리 연휴 기간 물밑 협의를 이어갈 걸로 보입니다.

교섭 상황에 따라 총파업 형태의 쟁의행위로 전환될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지난해 서울시내버스노조는 2012년 이후 12년 만에 파업에 돌입했다, 11시간 만에 복귀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이인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시내버스 노사 협상 결렬…파업 대신 ‘준법 투쟁’ 돌입
    • 입력 2025-04-30 12:19:35
    • 수정2025-04-30 17:41:52
    뉴스 12
[앵커]

밤사이 진행됐던 서울 시내버스노조와 사측인 버스운송 사업 조합 사이 임금 협상이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총파업에는 들어가지 않는 대신, 오늘 새벽 첫 차부터 준법 투쟁에 돌입했습니다.

버스가 정상 운행하면서 우려했던 출근길 교통 대란은 없었습니다.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9시간여 교섭 끝에 서울 시내버스 노사의 임금 협상은 결렬됐습니다.

이에 따라 노조는 오늘 새벽 첫 차부터 이른바 '준법 투쟁'에 돌입하면서 쟁의행위를 시작했습니다.

'준법 투쟁'은 승객의 착석 등 안전이 확보된 뒤 출발하거나, 앞선 차를 추월하지 않는 방법으로 연착을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총파업 보다 낮은 수준의 쟁의로, 버스는 정상 운행되면서 출근길 우려했던 혼잡은 빚어지지 않았습니다.

[김정민/서울 성북구 : "오늘 평소와 크게 다른 점은 못 느꼈던 것 같습니다. 파업이 되면 버스에 사람이 많이 몰리게 되면 출근하고 나서도 힘들고 퇴근할 때도 힘드니까…"]

노조는 인천시나 경기도보다 낮은 서울 버스 기사의 임금을 현실화하고 현행 63세인 정년을 65세로 연장할 것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대법원 판결로 바뀐 통상임금의 적용 범위도 노사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갈려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쟁의행위가 시작된 만큼 서울시는 계획됐던 비상수송대책을 시행 중입니다.

출근 시간 지하철 열차 투입을 47회 늘리고, 서울 시내 12개 노선을 정해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양측은 6일까지, 징검다리 연휴 기간 물밑 협의를 이어갈 걸로 보입니다.

교섭 상황에 따라 총파업 형태의 쟁의행위로 전환될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지난해 서울시내버스노조는 2012년 이후 12년 만에 파업에 돌입했다, 11시간 만에 복귀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이인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