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자동차 관세 후퇴…“대선 전 타결 원해 보여”

입력 2025.04.30 (15:16) 수정 2025.04.30 (15: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자동차 업계의 부담을 이유로 관세 완화 정책을 발표하며 한발 또 물러섰습니다.

이와 별도로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 협상팀이 대선 전 타결을 원하고 있단 취지의 발언을 했는데, 기재부는 그런 취지로 의사를 전달하거나 논의한 적이 없다며 부인했습니다.

금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 상무부가 미국 내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제조업체들을 위해 관세 부담을 2년간 한시적으로 줄인다고 밝혔습니다.

4월 3일을 기점으로 1년 차에 15%, 2년 차에는 10%의 수입 관세 환급 비율을 적용해 숨통을 틔워주자는 게 골자입니다.

이렇게 되면 첫해에는 차량 가격의 최대 3.75%, 2년 차에는 최대 2.5%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중국산 부품일 경우엔 이번 완화 조치 대상에서 제외돼 여전히 최대 145%의 관세가 적용됩니다.

미 상무부 고위 당국자는 자동차 부품의 15%는 미국에서 조달할 수 없기 때문에 이같이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자동차 업계는 물론 근로자들에게도 피해가 예상되자, 트럼프 대통령이 또 한발 물러선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그들이 이 짧은 과도기를 잘 넘기도록 돕고자 했습니다. 부품을 구할 수 없더라도 불이익을 주고 싶지 않았습니다."]

이와 별개로 나라별 관세 협상엔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입니다.

이런 가운데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과의 관세 협상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대선 전에 미국과 협상을 마치길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놨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 "우리가 보기엔 그들이 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해서 합의를 성사시키고, 선거에 임하려는 열망이 매우 강해 보였습니다."]

베센트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이 공개되자 기획재정부는 오늘 부처 합동 설명자료를 배포해 "대선 전에 미국과 협상의 틀을 마무리 짓고 그다음 선거운동을 원한다는 의사를 전달하거나 논의한 바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이장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자동차 관세 후퇴…“대선 전 타결 원해 보여”
    • 입력 2025-04-30 15:16:11
    • 수정2025-04-30 15:22:44
    월드24
[앵커]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자동차 업계의 부담을 이유로 관세 완화 정책을 발표하며 한발 또 물러섰습니다.

이와 별도로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 협상팀이 대선 전 타결을 원하고 있단 취지의 발언을 했는데, 기재부는 그런 취지로 의사를 전달하거나 논의한 적이 없다며 부인했습니다.

금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 상무부가 미국 내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제조업체들을 위해 관세 부담을 2년간 한시적으로 줄인다고 밝혔습니다.

4월 3일을 기점으로 1년 차에 15%, 2년 차에는 10%의 수입 관세 환급 비율을 적용해 숨통을 틔워주자는 게 골자입니다.

이렇게 되면 첫해에는 차량 가격의 최대 3.75%, 2년 차에는 최대 2.5%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중국산 부품일 경우엔 이번 완화 조치 대상에서 제외돼 여전히 최대 145%의 관세가 적용됩니다.

미 상무부 고위 당국자는 자동차 부품의 15%는 미국에서 조달할 수 없기 때문에 이같이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자동차 업계는 물론 근로자들에게도 피해가 예상되자, 트럼프 대통령이 또 한발 물러선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그들이 이 짧은 과도기를 잘 넘기도록 돕고자 했습니다. 부품을 구할 수 없더라도 불이익을 주고 싶지 않았습니다."]

이와 별개로 나라별 관세 협상엔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입니다.

이런 가운데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과의 관세 협상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대선 전에 미국과 협상을 마치길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놨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 "우리가 보기엔 그들이 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해서 합의를 성사시키고, 선거에 임하려는 열망이 매우 강해 보였습니다."]

베센트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이 공개되자 기획재정부는 오늘 부처 합동 설명자료를 배포해 "대선 전에 미국과 협상의 틀을 마무리 짓고 그다음 선거운동을 원한다는 의사를 전달하거나 논의한 바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이장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