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종근 “여인형 ‘방송 보고 비상계엄 알았다고 하자’ 말해”

입력 2025.04.30 (19:28) 수정 2025.04.30 (19: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이 12·3 비상계엄 해제 이후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으로부터 ‘계엄 선포를 TV 방송을 보고 알았다고 하자’는 말 맞추기 요구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오늘(30일) 군사법원에서 열린 여 전 사령관과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곽 전 사령관 본인도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피고인이지만 오늘은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그는 ‘여 전 사령관이 계엄을 방송을 통해 알았다고 하자, 안보폰 통화내역을 지우라는 얘기를 했느냐’는 검찰 측 질문에 “그렇게 기억한다”고 말했습니다.

비상계엄 해제 직후인 지난해 12월 4일 오전 5시 34분께 여 전 사령관이 먼저 전화를 걸어와 이같이 말했다고 곽 전 사령관은 증언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여 전 사령관 측 변호인의 반대신문에서도 여 전 사령관으로부터 이 같은 내용의 전화를 받은 사실이 있다고 재차 확인했습니다.

실제로 곽 전 사령관과 여 전 사령관 등 계엄 관련자들은 국회 청문회 등에서 방송 뉴스를 통해 계엄 선포 사실을 알게 됐다고 주장해왔습니다.

하지만 곽 전 사령관은 이후 ‘양심 고백’을 통해 계엄 선포 수개월 전부터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대권’ 등을 언급해왔고, 계엄선포 이틀 전인 지난해 12월 1일 계엄 선포 시 특전사가 출동할 구체적인 장소도 부여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이날 재판에서 지난해 11월 9일 국방부 장관 공관 모임 당시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 등 병력이 출동할 구체적인 장소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저녁 모임에는 김용현 전 장관과 곽종근·여인형·이진우 전 사령관이 있었고, 중간에 윤석열 전 대통령도 합류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앞에 계셨고, 김용현 장관이 한마디씩 해보라고 말했다”며 “(이진우·여인형 전 사령관이) 수방사는 국회에 간다, 방첩사는 선관위에 간다고 말한 게 기억난다”고 증언했습니다.

이어 “김 전 장관이 강호필 육군 지상작전사령관에게 전화를 연결해 대통령과 통화를 하게 했다”며 “통화하는 것까지는 들었는데 내용이 들리진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당시 직접적으로 ‘계엄’이란 용어가 나오진 않았지만, 확보해야 할 여러 장소에 관해 얘기했던 것 같다”며 “저와 여인형, 이진우, 강호필까지 임무 복창한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소회를 묻자 ‘비상계엄은 경고용이었다’는 윤 전 대통령 주장을 언급하며 “경고용이라면 특전사나 방첩사는 왜 들어갔나. 군이 한번 쓰고 마는 수단인가”라며 “대통령의 그 말을 듣고 이틀을 못 잤다. 군의 자존심을 지키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헌법재판소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곽종근 “여인형 ‘방송 보고 비상계엄 알았다고 하자’ 말해”
    • 입력 2025-04-30 19:28:53
    • 수정2025-04-30 19:29:51
    정치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이 12·3 비상계엄 해제 이후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으로부터 ‘계엄 선포를 TV 방송을 보고 알았다고 하자’는 말 맞추기 요구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오늘(30일) 군사법원에서 열린 여 전 사령관과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곽 전 사령관 본인도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피고인이지만 오늘은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그는 ‘여 전 사령관이 계엄을 방송을 통해 알았다고 하자, 안보폰 통화내역을 지우라는 얘기를 했느냐’는 검찰 측 질문에 “그렇게 기억한다”고 말했습니다.

비상계엄 해제 직후인 지난해 12월 4일 오전 5시 34분께 여 전 사령관이 먼저 전화를 걸어와 이같이 말했다고 곽 전 사령관은 증언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여 전 사령관 측 변호인의 반대신문에서도 여 전 사령관으로부터 이 같은 내용의 전화를 받은 사실이 있다고 재차 확인했습니다.

실제로 곽 전 사령관과 여 전 사령관 등 계엄 관련자들은 국회 청문회 등에서 방송 뉴스를 통해 계엄 선포 사실을 알게 됐다고 주장해왔습니다.

하지만 곽 전 사령관은 이후 ‘양심 고백’을 통해 계엄 선포 수개월 전부터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대권’ 등을 언급해왔고, 계엄선포 이틀 전인 지난해 12월 1일 계엄 선포 시 특전사가 출동할 구체적인 장소도 부여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이날 재판에서 지난해 11월 9일 국방부 장관 공관 모임 당시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 등 병력이 출동할 구체적인 장소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저녁 모임에는 김용현 전 장관과 곽종근·여인형·이진우 전 사령관이 있었고, 중간에 윤석열 전 대통령도 합류했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앞에 계셨고, 김용현 장관이 한마디씩 해보라고 말했다”며 “(이진우·여인형 전 사령관이) 수방사는 국회에 간다, 방첩사는 선관위에 간다고 말한 게 기억난다”고 증언했습니다.

이어 “김 전 장관이 강호필 육군 지상작전사령관에게 전화를 연결해 대통령과 통화를 하게 했다”며 “통화하는 것까지는 들었는데 내용이 들리진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당시 직접적으로 ‘계엄’이란 용어가 나오진 않았지만, 확보해야 할 여러 장소에 관해 얘기했던 것 같다”며 “저와 여인형, 이진우, 강호필까지 임무 복창한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곽 전 사령관은 소회를 묻자 ‘비상계엄은 경고용이었다’는 윤 전 대통령 주장을 언급하며 “경고용이라면 특전사나 방첩사는 왜 들어갔나. 군이 한번 쓰고 마는 수단인가”라며 “대통령의 그 말을 듣고 이틀을 못 잤다. 군의 자존심을 지키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헌법재판소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