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 넘어 ‘제로 성장’…KDI “2040년 되면 0% 성장”

입력 2025.05.08 (14:08) 수정 2025.05.08 (14: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고 있는데, 장기 전망도 우울합니다.

15년 뒤인 2040년쯤 되면 잠재 성장률이 0% 안팎일 거라고 국책 연구기관 KDI가 전망했습니다.

저성장을 넘어 '제로 성장'이 머지않았단 얘기입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올해부터 2030년까지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1.5% 수준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난 2022년에 내놓은 전망치 1.9%를 0.4% 포인트 낮췄습니다.

잠재성장률은 계속 떨어져 2030년대에는 0.7% 2040년대에는 0.1% 정도일 거로 봤습니다.

2030년대와 2040년대 전망은 2022년 전망치보다 각각 0.6% 포인트 내려 잡았습니다.

KDI는 가장 큰 원인을 인구 구조변화에서 찾았습니다.

급격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생산 연령인구가 줄면서, 5년 뒤인 2030년부터는 성장률에 대한 노동 투입의 기여도가 마이너스로 전환할 거라는 게 KDI의 예측입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생산성 증가세가 둔화한걸 노동 투입으로 보완해 왔는데, 이제 그런 효과마저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는 겁니다.

[김준형/KDI 동향총괄 : "노동투입도 감소함에 따라 자본의 수익성이 하락하고, 이와 함께 자본투입의 증가세도 하락하는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그나마 이런 시나리오는 최근 10년의 평균 경제 성적이 앞으로도 이어질 거라는 가정에 따른 추산입니다.

미·중 갈등이 심화하고 경제 구조개혁이 지연되는 비관적 시나리오를 적용할 경우, 2041년부터는 잠재성장률 자체가 마이너스로 내려갈 수 있다고 KDI는 내다봤습니다.

KDI는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경제 구조개혁과 경영혁신 등 총요소 생산성을 개선하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영상편집:여동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저성장 넘어 ‘제로 성장’…KDI “2040년 되면 0% 성장”
    • 입력 2025-05-08 14:08:41
    • 수정2025-05-08 14:18:41
    뉴스2
[앵커]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고 있는데, 장기 전망도 우울합니다.

15년 뒤인 2040년쯤 되면 잠재 성장률이 0% 안팎일 거라고 국책 연구기관 KDI가 전망했습니다.

저성장을 넘어 '제로 성장'이 머지않았단 얘기입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올해부터 2030년까지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1.5% 수준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난 2022년에 내놓은 전망치 1.9%를 0.4% 포인트 낮췄습니다.

잠재성장률은 계속 떨어져 2030년대에는 0.7% 2040년대에는 0.1% 정도일 거로 봤습니다.

2030년대와 2040년대 전망은 2022년 전망치보다 각각 0.6% 포인트 내려 잡았습니다.

KDI는 가장 큰 원인을 인구 구조변화에서 찾았습니다.

급격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생산 연령인구가 줄면서, 5년 뒤인 2030년부터는 성장률에 대한 노동 투입의 기여도가 마이너스로 전환할 거라는 게 KDI의 예측입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생산성 증가세가 둔화한걸 노동 투입으로 보완해 왔는데, 이제 그런 효과마저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는 겁니다.

[김준형/KDI 동향총괄 : "노동투입도 감소함에 따라 자본의 수익성이 하락하고, 이와 함께 자본투입의 증가세도 하락하는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그나마 이런 시나리오는 최근 10년의 평균 경제 성적이 앞으로도 이어질 거라는 가정에 따른 추산입니다.

미·중 갈등이 심화하고 경제 구조개혁이 지연되는 비관적 시나리오를 적용할 경우, 2041년부터는 잠재성장률 자체가 마이너스로 내려갈 수 있다고 KDI는 내다봤습니다.

KDI는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경제 구조개혁과 경영혁신 등 총요소 생산성을 개선하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영상편집:여동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