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픽] 세계가 반한 K김인데…김새는 어민들

입력 2025.05.08 (18:25) 수정 2025.05.08 (18: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며 품절 대란까지 일으켰던 냉동 김밥입니다.

그런데 김밥을 싸는 이 김!

한국 김의 인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유튜브 '넷플릭스 코리아' : "김 진짜 맛있어요! 김 진짜 먹어봐요."]

지난해 큰 화제를 모았던 OTT 콘텐츠 '흑백요리사'.

그중에서도 시청자들이 가장 궁금해했던 건, 출연자들 주문이 잇따랐던 흑수저 요리사, 이모카세의 구운 김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맛을 요즘 외국인들도 아는 거 같습니다.

지난해 연간 최고 수출액을 달성한 김. 올해는 1분기부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올 1분기 김 수출액은 2억 8100만 달러, 한국 돈으로 4천억 원인데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넘게 증가했습니다.

어느 나라에서 우리 김을 가장 많이 사갈까요.

바로 미국입니다.

김 스낵이 꾸준한 인기를 끈 탓에 조미김 수출이 많은데요.

실제로 외국인들의 김 먹방을 보면요, 우리는 김으로 밥을 싸 먹는데, 이들은 그냥 간식으로 먹습니다.

짭짤하고 바삭해서 한 번 뜯으면 멈출 수 없죠.

두 번째로 한국 김을 많이 사는 중국에선 마른 김이 인기입니다.

지난해 대비 수출액이 86% 이상 급증했는데요.

["자 여기 있습니다. (아침엔 항상 우영우 김밥을 먹습니다. 김밥은 믿음직스러워요.)"]

한국 드라마와 영화에 자주 등장하죠.

k 콘텐츠의 영향력이 커지자 김밥 붐도 덩달아 일어난 겁니다.

한국 김이 이렇게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정작 김 양식 어민들에게는 딴 세상 이야깁니다.

[최원서/김 양식 어민/지난 1월/KBS '뉴스' : "(오늘 위판가 어느 정도 받으셨어요?) 오늘 폐기 처분받았습니다. 인건비 못 건지고. 뭐 기름값 그런 거 한 푼도 못 건졌죠."]

올해 작황이 좋은데다 김 수출을 고려해 해수부의 신규 양식장 허가가 늘었는데, 무허가 양식장까지 생겨나면서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떨어진 겁니다.

지난달 물김 가격은 ㎏당 1078원으로 1년 전 가격의 절반 수준인데요.

물김 최대 생산지, 전라남도는 무허가 시설 적발 시 양식 면허 갱신을 제한하겠다고 했지만, 적발은 쉽지 않은데요.

세계인의 입맛까지 사로잡은 한국 김.

어민들에게도 그 수혜가 닿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픽] 세계가 반한 K김인데…김새는 어민들
    • 입력 2025-05-08 18:25:25
    • 수정2025-05-08 18:32:04
    경제콘서트
지난해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며 품절 대란까지 일으켰던 냉동 김밥입니다.

그런데 김밥을 싸는 이 김!

한국 김의 인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유튜브 '넷플릭스 코리아' : "김 진짜 맛있어요! 김 진짜 먹어봐요."]

지난해 큰 화제를 모았던 OTT 콘텐츠 '흑백요리사'.

그중에서도 시청자들이 가장 궁금해했던 건, 출연자들 주문이 잇따랐던 흑수저 요리사, 이모카세의 구운 김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맛을 요즘 외국인들도 아는 거 같습니다.

지난해 연간 최고 수출액을 달성한 김. 올해는 1분기부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올 1분기 김 수출액은 2억 8100만 달러, 한국 돈으로 4천억 원인데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넘게 증가했습니다.

어느 나라에서 우리 김을 가장 많이 사갈까요.

바로 미국입니다.

김 스낵이 꾸준한 인기를 끈 탓에 조미김 수출이 많은데요.

실제로 외국인들의 김 먹방을 보면요, 우리는 김으로 밥을 싸 먹는데, 이들은 그냥 간식으로 먹습니다.

짭짤하고 바삭해서 한 번 뜯으면 멈출 수 없죠.

두 번째로 한국 김을 많이 사는 중국에선 마른 김이 인기입니다.

지난해 대비 수출액이 86% 이상 급증했는데요.

["자 여기 있습니다. (아침엔 항상 우영우 김밥을 먹습니다. 김밥은 믿음직스러워요.)"]

한국 드라마와 영화에 자주 등장하죠.

k 콘텐츠의 영향력이 커지자 김밥 붐도 덩달아 일어난 겁니다.

한국 김이 이렇게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정작 김 양식 어민들에게는 딴 세상 이야깁니다.

[최원서/김 양식 어민/지난 1월/KBS '뉴스' : "(오늘 위판가 어느 정도 받으셨어요?) 오늘 폐기 처분받았습니다. 인건비 못 건지고. 뭐 기름값 그런 거 한 푼도 못 건졌죠."]

올해 작황이 좋은데다 김 수출을 고려해 해수부의 신규 양식장 허가가 늘었는데, 무허가 양식장까지 생겨나면서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떨어진 겁니다.

지난달 물김 가격은 ㎏당 1078원으로 1년 전 가격의 절반 수준인데요.

물김 최대 생산지, 전라남도는 무허가 시설 적발 시 양식 면허 갱신을 제한하겠다고 했지만, 적발은 쉽지 않은데요.

세계인의 입맛까지 사로잡은 한국 김.

어민들에게도 그 수혜가 닿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