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기억하시죠?” 일본 치매고령자 노리는 첫 마디
입력 2025.05.08 (21:40)
수정 2025.05.08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일본에선 치매 등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자들을 상대로 한 부동산 사기가 사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노인들을 현혹시켜, 말도 안 되는 부동산 계약을 맺게 해 돈을 가로채는 방식입니다.
도쿄, 황진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도쿄에서 혼자 살고 있는 86살 여성입니다.
여러 번 집을 찾아와 살갑게 굴던 부동산업자 권유에 아파트의 지분 일부를 사들였습니다.
우리 돈 4천만 원 가까이를 냈지만, 보장한다던 월세는 10만 원씩 몇 번 입금된 게 전부였습니다.
[부동산 사기 피해 노인 : "전혀 기억나지 않아요. 이런 (계약의) 세부 내용도 무슨 소린지 그 의미를 잘 모르겠어요."]
자신이 살던 집을 시세의 반값에 파는 노인들도 있습니다.
복잡한 설명 끝에 세금은 안 내도 되고, 그 집에 계속 살게 해주겠다는 사기 조직의 말에 속아 넘어가는 경우입니다.
[사기 피해 노인 가족 : "아버지 나이의 인지 수준으로는 정말 이해할 수 없었을 거예요."]
이런 부동산 사기 조직은 "오랜만입니다. 저 기억하시죠?"라는 말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매 등 인지능력이 떨어진 노인들이 사실은 기억이 안 나면서도, 기억난다고 맞장구를 치는 경향이 있다는 걸 노린 겁니다.
[나루모토 진/교토부립의과대학 교수 : "인지기능이 저하될수록 주변에 '나는 문제없다, 괜찮다'라는 걸 강조하고 싶어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고령화가 빠른 일본은 2040년이면 치매 환자가 584만 명, 이들의 금융 자산도 197조엔, 우리 돈 천9백조 원이 넘을 걸로 추산됩니다.
기억 못 해 동결 되거나 사기의 타깃이 되는 이 자산을 어떻게 관리할지가 일본 사회의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진우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권애림 백주희
최근 일본에선 치매 등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자들을 상대로 한 부동산 사기가 사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노인들을 현혹시켜, 말도 안 되는 부동산 계약을 맺게 해 돈을 가로채는 방식입니다.
도쿄, 황진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도쿄에서 혼자 살고 있는 86살 여성입니다.
여러 번 집을 찾아와 살갑게 굴던 부동산업자 권유에 아파트의 지분 일부를 사들였습니다.
우리 돈 4천만 원 가까이를 냈지만, 보장한다던 월세는 10만 원씩 몇 번 입금된 게 전부였습니다.
[부동산 사기 피해 노인 : "전혀 기억나지 않아요. 이런 (계약의) 세부 내용도 무슨 소린지 그 의미를 잘 모르겠어요."]
자신이 살던 집을 시세의 반값에 파는 노인들도 있습니다.
복잡한 설명 끝에 세금은 안 내도 되고, 그 집에 계속 살게 해주겠다는 사기 조직의 말에 속아 넘어가는 경우입니다.
[사기 피해 노인 가족 : "아버지 나이의 인지 수준으로는 정말 이해할 수 없었을 거예요."]
이런 부동산 사기 조직은 "오랜만입니다. 저 기억하시죠?"라는 말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매 등 인지능력이 떨어진 노인들이 사실은 기억이 안 나면서도, 기억난다고 맞장구를 치는 경향이 있다는 걸 노린 겁니다.
[나루모토 진/교토부립의과대학 교수 : "인지기능이 저하될수록 주변에 '나는 문제없다, 괜찮다'라는 걸 강조하고 싶어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고령화가 빠른 일본은 2040년이면 치매 환자가 584만 명, 이들의 금융 자산도 197조엔, 우리 돈 천9백조 원이 넘을 걸로 추산됩니다.
기억 못 해 동결 되거나 사기의 타깃이 되는 이 자산을 어떻게 관리할지가 일본 사회의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진우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권애림 백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저 기억하시죠?” 일본 치매고령자 노리는 첫 마디
-
- 입력 2025-05-08 21:40:44
- 수정2025-05-08 22:18:27

[앵커]
최근 일본에선 치매 등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자들을 상대로 한 부동산 사기가 사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노인들을 현혹시켜, 말도 안 되는 부동산 계약을 맺게 해 돈을 가로채는 방식입니다.
도쿄, 황진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도쿄에서 혼자 살고 있는 86살 여성입니다.
여러 번 집을 찾아와 살갑게 굴던 부동산업자 권유에 아파트의 지분 일부를 사들였습니다.
우리 돈 4천만 원 가까이를 냈지만, 보장한다던 월세는 10만 원씩 몇 번 입금된 게 전부였습니다.
[부동산 사기 피해 노인 : "전혀 기억나지 않아요. 이런 (계약의) 세부 내용도 무슨 소린지 그 의미를 잘 모르겠어요."]
자신이 살던 집을 시세의 반값에 파는 노인들도 있습니다.
복잡한 설명 끝에 세금은 안 내도 되고, 그 집에 계속 살게 해주겠다는 사기 조직의 말에 속아 넘어가는 경우입니다.
[사기 피해 노인 가족 : "아버지 나이의 인지 수준으로는 정말 이해할 수 없었을 거예요."]
이런 부동산 사기 조직은 "오랜만입니다. 저 기억하시죠?"라는 말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매 등 인지능력이 떨어진 노인들이 사실은 기억이 안 나면서도, 기억난다고 맞장구를 치는 경향이 있다는 걸 노린 겁니다.
[나루모토 진/교토부립의과대학 교수 : "인지기능이 저하될수록 주변에 '나는 문제없다, 괜찮다'라는 걸 강조하고 싶어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고령화가 빠른 일본은 2040년이면 치매 환자가 584만 명, 이들의 금융 자산도 197조엔, 우리 돈 천9백조 원이 넘을 걸로 추산됩니다.
기억 못 해 동결 되거나 사기의 타깃이 되는 이 자산을 어떻게 관리할지가 일본 사회의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진우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권애림 백주희
최근 일본에선 치매 등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자들을 상대로 한 부동산 사기가 사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노인들을 현혹시켜, 말도 안 되는 부동산 계약을 맺게 해 돈을 가로채는 방식입니다.
도쿄, 황진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도쿄에서 혼자 살고 있는 86살 여성입니다.
여러 번 집을 찾아와 살갑게 굴던 부동산업자 권유에 아파트의 지분 일부를 사들였습니다.
우리 돈 4천만 원 가까이를 냈지만, 보장한다던 월세는 10만 원씩 몇 번 입금된 게 전부였습니다.
[부동산 사기 피해 노인 : "전혀 기억나지 않아요. 이런 (계약의) 세부 내용도 무슨 소린지 그 의미를 잘 모르겠어요."]
자신이 살던 집을 시세의 반값에 파는 노인들도 있습니다.
복잡한 설명 끝에 세금은 안 내도 되고, 그 집에 계속 살게 해주겠다는 사기 조직의 말에 속아 넘어가는 경우입니다.
[사기 피해 노인 가족 : "아버지 나이의 인지 수준으로는 정말 이해할 수 없었을 거예요."]
이런 부동산 사기 조직은 "오랜만입니다. 저 기억하시죠?"라는 말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매 등 인지능력이 떨어진 노인들이 사실은 기억이 안 나면서도, 기억난다고 맞장구를 치는 경향이 있다는 걸 노린 겁니다.
[나루모토 진/교토부립의과대학 교수 : "인지기능이 저하될수록 주변에 '나는 문제없다, 괜찮다'라는 걸 강조하고 싶어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고령화가 빠른 일본은 2040년이면 치매 환자가 584만 명, 이들의 금융 자산도 197조엔, 우리 돈 천9백조 원이 넘을 걸로 추산됩니다.
기억 못 해 동결 되거나 사기의 타깃이 되는 이 자산을 어떻게 관리할지가 일본 사회의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진우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권애림 백주희
-
-
황진우 기자 simon@kbs.co.kr
황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