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8,305명 유급·46명 제적 확정…의대생 “교육부 차관 고발”
입력 2025.05.09 (19:10)
수정 2025.05.09 (1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의대생 8천 3백여 명이 무더기 유급되고 40여 명은 제적 처리된다고 발표했습니다.
정부의 징계 확정 발표에 의대생 단체는 교육부 차관을 고발하는 등 강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국의 의대생은 만 9천여 명, 교육부는 이 가운데 42.6%에 달하는 8,305명에 대해 '유급'을 확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의대생 신분을 잃게 되는 '제적' 처분을 받은 학생도 46명입니다.
학칙상 예과 학생의 유급이 불가능한 대학들은 '성적 경고' 조치를 내릴 예정인데, 3천여 명이 대상이 됩니다.
만 명이 넘는 의대생들에 대한 무더기 징계가 현실화한 건데, 이제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교육부는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복귀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자퇴와 제적 등으로 인한 결원을 메우기 위해, 각 대학의 편입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집단 징계가 현실화하자, 의대생 협회는 오석환 교육부 차관 등을 공수처에 고발하며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의대생들이 낸 휴학계는 적법했는데도, 정부가 학교를 압박해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분 등을 강요했다는 겁니다.
앞서 의대생 제적이 확정될 경우 의대생 대표들이 자퇴서를 제출하겠다고도 밝힌 상탭니다.
[이선우/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장 : "(교육부는)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을 제적시키지 않으면 대학에 대한 정부 지원을 중단하겠다는 협박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집단 징계가 확정되면서 유급된 24·25학번과 내년도 신입생이 함께 1학년 수업을 듣는 이른바 '트리플링' 은 불가피해졌단 분석입니다.
일부 학교는 학칙 개정을 통해 내년 신입생에게 수강 신청 우선권을 주기로 하는 등 대응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유현우/영상편집:유지영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의대생 8천 3백여 명이 무더기 유급되고 40여 명은 제적 처리된다고 발표했습니다.
정부의 징계 확정 발표에 의대생 단체는 교육부 차관을 고발하는 등 강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국의 의대생은 만 9천여 명, 교육부는 이 가운데 42.6%에 달하는 8,305명에 대해 '유급'을 확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의대생 신분을 잃게 되는 '제적' 처분을 받은 학생도 46명입니다.
학칙상 예과 학생의 유급이 불가능한 대학들은 '성적 경고' 조치를 내릴 예정인데, 3천여 명이 대상이 됩니다.
만 명이 넘는 의대생들에 대한 무더기 징계가 현실화한 건데, 이제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교육부는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복귀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자퇴와 제적 등으로 인한 결원을 메우기 위해, 각 대학의 편입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집단 징계가 현실화하자, 의대생 협회는 오석환 교육부 차관 등을 공수처에 고발하며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의대생들이 낸 휴학계는 적법했는데도, 정부가 학교를 압박해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분 등을 강요했다는 겁니다.
앞서 의대생 제적이 확정될 경우 의대생 대표들이 자퇴서를 제출하겠다고도 밝힌 상탭니다.
[이선우/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장 : "(교육부는)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을 제적시키지 않으면 대학에 대한 정부 지원을 중단하겠다는 협박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집단 징계가 확정되면서 유급된 24·25학번과 내년도 신입생이 함께 1학년 수업을 듣는 이른바 '트리플링' 은 불가피해졌단 분석입니다.
일부 학교는 학칙 개정을 통해 내년 신입생에게 수강 신청 우선권을 주기로 하는 등 대응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유현우/영상편집:유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대생 8,305명 유급·46명 제적 확정…의대생 “교육부 차관 고발”
-
- 입력 2025-05-09 19:10:26
- 수정2025-05-09 19:50:49

[앵커]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의대생 8천 3백여 명이 무더기 유급되고 40여 명은 제적 처리된다고 발표했습니다.
정부의 징계 확정 발표에 의대생 단체는 교육부 차관을 고발하는 등 강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국의 의대생은 만 9천여 명, 교육부는 이 가운데 42.6%에 달하는 8,305명에 대해 '유급'을 확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의대생 신분을 잃게 되는 '제적' 처분을 받은 학생도 46명입니다.
학칙상 예과 학생의 유급이 불가능한 대학들은 '성적 경고' 조치를 내릴 예정인데, 3천여 명이 대상이 됩니다.
만 명이 넘는 의대생들에 대한 무더기 징계가 현실화한 건데, 이제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교육부는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복귀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자퇴와 제적 등으로 인한 결원을 메우기 위해, 각 대학의 편입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집단 징계가 현실화하자, 의대생 협회는 오석환 교육부 차관 등을 공수처에 고발하며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의대생들이 낸 휴학계는 적법했는데도, 정부가 학교를 압박해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분 등을 강요했다는 겁니다.
앞서 의대생 제적이 확정될 경우 의대생 대표들이 자퇴서를 제출하겠다고도 밝힌 상탭니다.
[이선우/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장 : "(교육부는)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을 제적시키지 않으면 대학에 대한 정부 지원을 중단하겠다는 협박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집단 징계가 확정되면서 유급된 24·25학번과 내년도 신입생이 함께 1학년 수업을 듣는 이른바 '트리플링' 은 불가피해졌단 분석입니다.
일부 학교는 학칙 개정을 통해 내년 신입생에게 수강 신청 우선권을 주기로 하는 등 대응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유현우/영상편집:유지영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의대생 8천 3백여 명이 무더기 유급되고 40여 명은 제적 처리된다고 발표했습니다.
정부의 징계 확정 발표에 의대생 단체는 교육부 차관을 고발하는 등 강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성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국의 의대생은 만 9천여 명, 교육부는 이 가운데 42.6%에 달하는 8,305명에 대해 '유급'을 확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의대생 신분을 잃게 되는 '제적' 처분을 받은 학생도 46명입니다.
학칙상 예과 학생의 유급이 불가능한 대학들은 '성적 경고' 조치를 내릴 예정인데, 3천여 명이 대상이 됩니다.
만 명이 넘는 의대생들에 대한 무더기 징계가 현실화한 건데, 이제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교육부는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복귀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자퇴와 제적 등으로 인한 결원을 메우기 위해, 각 대학의 편입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집단 징계가 현실화하자, 의대생 협회는 오석환 교육부 차관 등을 공수처에 고발하며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의대생들이 낸 휴학계는 적법했는데도, 정부가 학교를 압박해 학생들에 대한 제적 처분 등을 강요했다는 겁니다.
앞서 의대생 제적이 확정될 경우 의대생 대표들이 자퇴서를 제출하겠다고도 밝힌 상탭니다.
[이선우/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장 : "(교육부는)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을 제적시키지 않으면 대학에 대한 정부 지원을 중단하겠다는 협박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집단 징계가 확정되면서 유급된 24·25학번과 내년도 신입생이 함께 1학년 수업을 듣는 이른바 '트리플링' 은 불가피해졌단 분석입니다.
일부 학교는 학칙 개정을 통해 내년 신입생에게 수강 신청 우선권을 주기로 하는 등 대응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촬영기자:유현우/영상편집:유지영
-
-
김성수 기자 ssoo@kbs.co.kr
김성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