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나이 70세로 올려야” 제안…“더 가난해져” 반발도
입력 2025.05.09 (19:18)
수정 2025.05.09 (2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노인 기준 나이를 65살에서 70살로 단계적으로 올리자는 전문가들 제안이 나왔습니다.
기대 수명이 늘어난 초고령사회에서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자는 건데요.
노인 기준 나이를 올리면 취약 계층의 경제적 고충이 심해질 거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홍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당구를 치는 어르신들.
은퇴 이후에도 활동이 왕성한 이른바 '액티브 시니어'입니다.
요즘 70살 어르신의 건강 수준은 10년 전 65살과 비슷합니다.
우리나라의 기대 수명은 83.5살.
65살을 노인 기준으로 정했던 1981년과 비교하면 15살 이상 늘었습니다.
전문가들이 65살인 노인 나이를 70살로 올리자고 정부에 공식 제안했습니다.
2년에 한 살씩 점진적으로 올려 10년 뒤인 2035년 70살에 맞추는 방안입니다.
고용 ·기간을 연장하고 63살인 연금 수급 개시 연령도 함께 올리자고 했습니다.
저출생과 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정부의 재정 지출 부담을 젊은 층이 떠안게 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우리는 지속 가능한 복지 체계와 세대 간 공존을 위해 현행 만 65세 노인 연령 기준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데 문제 인식을 같이 하고…."]
하지만 노인 나이 기준이 70살로 올라가면, 65살에서 70살 사이 취약 계층의 경제적 부담은 늘어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이나 지하철 무임승차와 같은 복지 혜택을 못 받게 되기 때문입니다.
[서OO/67살 : "정신 안 차리면 힘들어요. 통장이 비어버려 어느 순간에 그러면 다음 연금 나올 때까지 굶는 거지. 거의 바보가 되더라고요."]
노인 단체는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며 정년 연장과 복지 안전망 확충이 먼저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결국 노인 나이 상향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여현수
노인 기준 나이를 65살에서 70살로 단계적으로 올리자는 전문가들 제안이 나왔습니다.
기대 수명이 늘어난 초고령사회에서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자는 건데요.
노인 기준 나이를 올리면 취약 계층의 경제적 고충이 심해질 거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홍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당구를 치는 어르신들.
은퇴 이후에도 활동이 왕성한 이른바 '액티브 시니어'입니다.
요즘 70살 어르신의 건강 수준은 10년 전 65살과 비슷합니다.
우리나라의 기대 수명은 83.5살.
65살을 노인 기준으로 정했던 1981년과 비교하면 15살 이상 늘었습니다.
전문가들이 65살인 노인 나이를 70살로 올리자고 정부에 공식 제안했습니다.
2년에 한 살씩 점진적으로 올려 10년 뒤인 2035년 70살에 맞추는 방안입니다.
고용 ·기간을 연장하고 63살인 연금 수급 개시 연령도 함께 올리자고 했습니다.
저출생과 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정부의 재정 지출 부담을 젊은 층이 떠안게 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우리는 지속 가능한 복지 체계와 세대 간 공존을 위해 현행 만 65세 노인 연령 기준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데 문제 인식을 같이 하고…."]
하지만 노인 나이 기준이 70살로 올라가면, 65살에서 70살 사이 취약 계층의 경제적 부담은 늘어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이나 지하철 무임승차와 같은 복지 혜택을 못 받게 되기 때문입니다.
[서OO/67살 : "정신 안 차리면 힘들어요. 통장이 비어버려 어느 순간에 그러면 다음 연금 나올 때까지 굶는 거지. 거의 바보가 되더라고요."]
노인 단체는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며 정년 연장과 복지 안전망 확충이 먼저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결국 노인 나이 상향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인 나이 70세로 올려야” 제안…“더 가난해져” 반발도
-
- 입력 2025-05-09 19:18:26
- 수정2025-05-09 20:01:48

[앵커]
노인 기준 나이를 65살에서 70살로 단계적으로 올리자는 전문가들 제안이 나왔습니다.
기대 수명이 늘어난 초고령사회에서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자는 건데요.
노인 기준 나이를 올리면 취약 계층의 경제적 고충이 심해질 거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홍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당구를 치는 어르신들.
은퇴 이후에도 활동이 왕성한 이른바 '액티브 시니어'입니다.
요즘 70살 어르신의 건강 수준은 10년 전 65살과 비슷합니다.
우리나라의 기대 수명은 83.5살.
65살을 노인 기준으로 정했던 1981년과 비교하면 15살 이상 늘었습니다.
전문가들이 65살인 노인 나이를 70살로 올리자고 정부에 공식 제안했습니다.
2년에 한 살씩 점진적으로 올려 10년 뒤인 2035년 70살에 맞추는 방안입니다.
고용 ·기간을 연장하고 63살인 연금 수급 개시 연령도 함께 올리자고 했습니다.
저출생과 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정부의 재정 지출 부담을 젊은 층이 떠안게 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우리는 지속 가능한 복지 체계와 세대 간 공존을 위해 현행 만 65세 노인 연령 기준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데 문제 인식을 같이 하고…."]
하지만 노인 나이 기준이 70살로 올라가면, 65살에서 70살 사이 취약 계층의 경제적 부담은 늘어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이나 지하철 무임승차와 같은 복지 혜택을 못 받게 되기 때문입니다.
[서OO/67살 : "정신 안 차리면 힘들어요. 통장이 비어버려 어느 순간에 그러면 다음 연금 나올 때까지 굶는 거지. 거의 바보가 되더라고요."]
노인 단체는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며 정년 연장과 복지 안전망 확충이 먼저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결국 노인 나이 상향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여현수
노인 기준 나이를 65살에서 70살로 단계적으로 올리자는 전문가들 제안이 나왔습니다.
기대 수명이 늘어난 초고령사회에서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자는 건데요.
노인 기준 나이를 올리면 취약 계층의 경제적 고충이 심해질 거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홍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당구를 치는 어르신들.
은퇴 이후에도 활동이 왕성한 이른바 '액티브 시니어'입니다.
요즘 70살 어르신의 건강 수준은 10년 전 65살과 비슷합니다.
우리나라의 기대 수명은 83.5살.
65살을 노인 기준으로 정했던 1981년과 비교하면 15살 이상 늘었습니다.
전문가들이 65살인 노인 나이를 70살로 올리자고 정부에 공식 제안했습니다.
2년에 한 살씩 점진적으로 올려 10년 뒤인 2035년 70살에 맞추는 방안입니다.
고용 ·기간을 연장하고 63살인 연금 수급 개시 연령도 함께 올리자고 했습니다.
저출생과 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정부의 재정 지출 부담을 젊은 층이 떠안게 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정순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우리는 지속 가능한 복지 체계와 세대 간 공존을 위해 현행 만 65세 노인 연령 기준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데 문제 인식을 같이 하고…."]
하지만 노인 나이 기준이 70살로 올라가면, 65살에서 70살 사이 취약 계층의 경제적 부담은 늘어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이나 지하철 무임승차와 같은 복지 혜택을 못 받게 되기 때문입니다.
[서OO/67살 : "정신 안 차리면 힘들어요. 통장이 비어버려 어느 순간에 그러면 다음 연금 나올 때까지 굶는 거지. 거의 바보가 되더라고요."]
노인 단체는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며 정년 연장과 복지 안전망 확충이 먼저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결국 노인 나이 상향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여현수
-
-
홍성희 기자 bombom@kbs.co.kr
홍성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