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신청사 건립 본궤도…“재산권 침해 최소화”
입력 2025.05.09 (21:43)
수정 2025.05.09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구시 신청사 건립 사업이 처음 착수된 지 20년 만에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첫 행정 절차인 주민 설명회에서, 많은 시민은 그동안 반복돼 온 사업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시가 신청사 건립 방침을 처음 세운 건 2004년, 이후 예산 부족과 지역별 유치경쟁 등으로 지지부진하던 논의는 2019년 시민 숙의를 통해, 옛 두류정수장 터로 입지가 결정되면서 탄력이 붙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홍준표 시장 취임 이후, 재정 건전성을 이유로 논의는 다시 멈췄고, 지난해 9월, 현 산격청사 부지를 정부가 문화예술 허브 사업지로 확정하면서 신청사 건립은 재추진됐습니다.
이전 목표는 2030년, 청사 면적은 첫 계획보다 8%가량 줄어든 7만 2천여㎡로 정했고 건립비 4천5백억 원은 시유지 23곳을 팔아서 충당하기로 했습니다.
이 계획을 토대로 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앞두고 첫 주민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많은 주민은, 시장 부재로 사업이 다시 좌초하지 않을까 우려했습니다.
[윤권근/대구시의원 : "2030년 준공하는 데 이상 없다는 설명을 여러 차례 드렸는데도 잘 신뢰를 안 하는 (주민)분들이 많아요."]
특히 부지 선정 이후 5년간 묶였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준공 시점에 따라 다시 5년 연장된 데 따른 재산권 피해를 호소했습니다.
[손범구/대구 달서구의원 :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하는 이유가 있지 않습니까, 그 이유가 소멸하면 다시 그 기간(5년)을 단축할 수 있을지, 아니면 전면 해제할 수 있을지…."]
이에 대해 대구시는 신청사 이전 방침은 변함이 없으며 주민 재산권 침해는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중곤/대구시 행정국장 : "5월에 설계 공모를 하게 되면 신청사 사업이 본격화하게 됩니다.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실시설계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해서…."]
지역 국회의원도, 신청사 건립에 맞춰 주변 연계 발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권영진/국회의원 : "두류공원을 국가도시공원으로 조성을 해서 신청사와 어우러지는 랜드마크 공간을 만드는 것은 저나 국회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결해야 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20여 년을 끌어온 숙원사업, 신청사 건립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다양한 의견을 담아내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대구시 신청사 건립 사업이 처음 착수된 지 20년 만에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첫 행정 절차인 주민 설명회에서, 많은 시민은 그동안 반복돼 온 사업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시가 신청사 건립 방침을 처음 세운 건 2004년, 이후 예산 부족과 지역별 유치경쟁 등으로 지지부진하던 논의는 2019년 시민 숙의를 통해, 옛 두류정수장 터로 입지가 결정되면서 탄력이 붙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홍준표 시장 취임 이후, 재정 건전성을 이유로 논의는 다시 멈췄고, 지난해 9월, 현 산격청사 부지를 정부가 문화예술 허브 사업지로 확정하면서 신청사 건립은 재추진됐습니다.
이전 목표는 2030년, 청사 면적은 첫 계획보다 8%가량 줄어든 7만 2천여㎡로 정했고 건립비 4천5백억 원은 시유지 23곳을 팔아서 충당하기로 했습니다.
이 계획을 토대로 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앞두고 첫 주민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많은 주민은, 시장 부재로 사업이 다시 좌초하지 않을까 우려했습니다.
[윤권근/대구시의원 : "2030년 준공하는 데 이상 없다는 설명을 여러 차례 드렸는데도 잘 신뢰를 안 하는 (주민)분들이 많아요."]
특히 부지 선정 이후 5년간 묶였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준공 시점에 따라 다시 5년 연장된 데 따른 재산권 피해를 호소했습니다.
[손범구/대구 달서구의원 :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하는 이유가 있지 않습니까, 그 이유가 소멸하면 다시 그 기간(5년)을 단축할 수 있을지, 아니면 전면 해제할 수 있을지…."]
이에 대해 대구시는 신청사 이전 방침은 변함이 없으며 주민 재산권 침해는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중곤/대구시 행정국장 : "5월에 설계 공모를 하게 되면 신청사 사업이 본격화하게 됩니다.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실시설계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해서…."]
지역 국회의원도, 신청사 건립에 맞춰 주변 연계 발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권영진/국회의원 : "두류공원을 국가도시공원으로 조성을 해서 신청사와 어우러지는 랜드마크 공간을 만드는 것은 저나 국회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결해야 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20여 년을 끌어온 숙원사업, 신청사 건립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다양한 의견을 담아내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구시 신청사 건립 본궤도…“재산권 침해 최소화”
-
- 입력 2025-05-09 21:43:30
- 수정2025-05-09 22:02:35

[앵커]
대구시 신청사 건립 사업이 처음 착수된 지 20년 만에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첫 행정 절차인 주민 설명회에서, 많은 시민은 그동안 반복돼 온 사업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시가 신청사 건립 방침을 처음 세운 건 2004년, 이후 예산 부족과 지역별 유치경쟁 등으로 지지부진하던 논의는 2019년 시민 숙의를 통해, 옛 두류정수장 터로 입지가 결정되면서 탄력이 붙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홍준표 시장 취임 이후, 재정 건전성을 이유로 논의는 다시 멈췄고, 지난해 9월, 현 산격청사 부지를 정부가 문화예술 허브 사업지로 확정하면서 신청사 건립은 재추진됐습니다.
이전 목표는 2030년, 청사 면적은 첫 계획보다 8%가량 줄어든 7만 2천여㎡로 정했고 건립비 4천5백억 원은 시유지 23곳을 팔아서 충당하기로 했습니다.
이 계획을 토대로 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앞두고 첫 주민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많은 주민은, 시장 부재로 사업이 다시 좌초하지 않을까 우려했습니다.
[윤권근/대구시의원 : "2030년 준공하는 데 이상 없다는 설명을 여러 차례 드렸는데도 잘 신뢰를 안 하는 (주민)분들이 많아요."]
특히 부지 선정 이후 5년간 묶였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준공 시점에 따라 다시 5년 연장된 데 따른 재산권 피해를 호소했습니다.
[손범구/대구 달서구의원 :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하는 이유가 있지 않습니까, 그 이유가 소멸하면 다시 그 기간(5년)을 단축할 수 있을지, 아니면 전면 해제할 수 있을지…."]
이에 대해 대구시는 신청사 이전 방침은 변함이 없으며 주민 재산권 침해는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중곤/대구시 행정국장 : "5월에 설계 공모를 하게 되면 신청사 사업이 본격화하게 됩니다.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실시설계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해서…."]
지역 국회의원도, 신청사 건립에 맞춰 주변 연계 발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권영진/국회의원 : "두류공원을 국가도시공원으로 조성을 해서 신청사와 어우러지는 랜드마크 공간을 만드는 것은 저나 국회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결해야 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20여 년을 끌어온 숙원사업, 신청사 건립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다양한 의견을 담아내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대구시 신청사 건립 사업이 처음 착수된 지 20년 만에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첫 행정 절차인 주민 설명회에서, 많은 시민은 그동안 반복돼 온 사업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최보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시가 신청사 건립 방침을 처음 세운 건 2004년, 이후 예산 부족과 지역별 유치경쟁 등으로 지지부진하던 논의는 2019년 시민 숙의를 통해, 옛 두류정수장 터로 입지가 결정되면서 탄력이 붙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홍준표 시장 취임 이후, 재정 건전성을 이유로 논의는 다시 멈췄고, 지난해 9월, 현 산격청사 부지를 정부가 문화예술 허브 사업지로 확정하면서 신청사 건립은 재추진됐습니다.
이전 목표는 2030년, 청사 면적은 첫 계획보다 8%가량 줄어든 7만 2천여㎡로 정했고 건립비 4천5백억 원은 시유지 23곳을 팔아서 충당하기로 했습니다.
이 계획을 토대로 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앞두고 첫 주민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많은 주민은, 시장 부재로 사업이 다시 좌초하지 않을까 우려했습니다.
[윤권근/대구시의원 : "2030년 준공하는 데 이상 없다는 설명을 여러 차례 드렸는데도 잘 신뢰를 안 하는 (주민)분들이 많아요."]
특히 부지 선정 이후 5년간 묶였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준공 시점에 따라 다시 5년 연장된 데 따른 재산권 피해를 호소했습니다.
[손범구/대구 달서구의원 :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하는 이유가 있지 않습니까, 그 이유가 소멸하면 다시 그 기간(5년)을 단축할 수 있을지, 아니면 전면 해제할 수 있을지…."]
이에 대해 대구시는 신청사 이전 방침은 변함이 없으며 주민 재산권 침해는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중곤/대구시 행정국장 : "5월에 설계 공모를 하게 되면 신청사 사업이 본격화하게 됩니다.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실시설계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해서…."]
지역 국회의원도, 신청사 건립에 맞춰 주변 연계 발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권영진/국회의원 : "두류공원을 국가도시공원으로 조성을 해서 신청사와 어우러지는 랜드마크 공간을 만드는 것은 저나 국회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결해야 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20여 년을 끌어온 숙원사업, 신청사 건립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다양한 의견을 담아내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최보규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
-
최보규 기자 bokgil@kbs.co.kr
최보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