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오르고 소득은 제자리…독일 빈곤율 상승
입력 2025.05.12 (12:45)
수정 2025.05.12 (12: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독일의 빈곤율이 다시 높아졌습니다.
특히 가난한 사람들이 더 가난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리포트]
아이 셋을 홀로 키우는 이 여성에겐 하루 세 끼 식사조차 큰 부담입니다.
음식 나눔 서비스의 도움을 받고 있지만, 치솟는 물가에 생활비 걱정은 줄어들 기미가 없습니다.
이처럼 음식 나눔에 의지하는 사람들은 점점 늘고 있습니다.
독일의 푸드뱅크 '타펠' 이용자는 최근 2년 새 50% 이상 증가해 전국 약 950개 지점에서 165만 명이 식료품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실은 빈곤 통계에도 그대로 반영됐습니다.
독일의 한 복지단체는 지난해 독일 인구의 15.5%, 약 1300만 명이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고 밝혔습니다.
[로크/파리태티셔 복지협회 사무국장 : "사회복지 정책의 긍정적 효과가 물가 상승으로 약화했습니다. 소득 인상 속도가 물가 인상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빈곤 인구가 느는 거죠."]
복지단체는 기준 생계비를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저소득 가정에 대한 직접 지원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독일의 빈곤율이 다시 높아졌습니다.
특히 가난한 사람들이 더 가난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리포트]
아이 셋을 홀로 키우는 이 여성에겐 하루 세 끼 식사조차 큰 부담입니다.
음식 나눔 서비스의 도움을 받고 있지만, 치솟는 물가에 생활비 걱정은 줄어들 기미가 없습니다.
이처럼 음식 나눔에 의지하는 사람들은 점점 늘고 있습니다.
독일의 푸드뱅크 '타펠' 이용자는 최근 2년 새 50% 이상 증가해 전국 약 950개 지점에서 165만 명이 식료품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실은 빈곤 통계에도 그대로 반영됐습니다.
독일의 한 복지단체는 지난해 독일 인구의 15.5%, 약 1300만 명이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고 밝혔습니다.
[로크/파리태티셔 복지협회 사무국장 : "사회복지 정책의 긍정적 효과가 물가 상승으로 약화했습니다. 소득 인상 속도가 물가 인상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빈곤 인구가 느는 거죠."]
복지단체는 기준 생계비를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저소득 가정에 대한 직접 지원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물가 오르고 소득은 제자리…독일 빈곤율 상승
-
- 입력 2025-05-12 12:45:00
- 수정2025-05-12 12:51:45

[앵커]
독일의 빈곤율이 다시 높아졌습니다.
특히 가난한 사람들이 더 가난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리포트]
아이 셋을 홀로 키우는 이 여성에겐 하루 세 끼 식사조차 큰 부담입니다.
음식 나눔 서비스의 도움을 받고 있지만, 치솟는 물가에 생활비 걱정은 줄어들 기미가 없습니다.
이처럼 음식 나눔에 의지하는 사람들은 점점 늘고 있습니다.
독일의 푸드뱅크 '타펠' 이용자는 최근 2년 새 50% 이상 증가해 전국 약 950개 지점에서 165만 명이 식료품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실은 빈곤 통계에도 그대로 반영됐습니다.
독일의 한 복지단체는 지난해 독일 인구의 15.5%, 약 1300만 명이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고 밝혔습니다.
[로크/파리태티셔 복지협회 사무국장 : "사회복지 정책의 긍정적 효과가 물가 상승으로 약화했습니다. 소득 인상 속도가 물가 인상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빈곤 인구가 느는 거죠."]
복지단체는 기준 생계비를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저소득 가정에 대한 직접 지원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독일의 빈곤율이 다시 높아졌습니다.
특히 가난한 사람들이 더 가난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리포트]
아이 셋을 홀로 키우는 이 여성에겐 하루 세 끼 식사조차 큰 부담입니다.
음식 나눔 서비스의 도움을 받고 있지만, 치솟는 물가에 생활비 걱정은 줄어들 기미가 없습니다.
이처럼 음식 나눔에 의지하는 사람들은 점점 늘고 있습니다.
독일의 푸드뱅크 '타펠' 이용자는 최근 2년 새 50% 이상 증가해 전국 약 950개 지점에서 165만 명이 식료품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실은 빈곤 통계에도 그대로 반영됐습니다.
독일의 한 복지단체는 지난해 독일 인구의 15.5%, 약 1300만 명이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고 밝혔습니다.
[로크/파리태티셔 복지협회 사무국장 : "사회복지 정책의 긍정적 효과가 물가 상승으로 약화했습니다. 소득 인상 속도가 물가 인상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빈곤 인구가 느는 거죠."]
복지단체는 기준 생계비를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저소득 가정에 대한 직접 지원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