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황금연휴마저도 ‘카드 결제’ 줄었다
입력 2025.05.12 (18:02)
수정 2025.05.12 (18: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소비 부진 심각하지만, 이달 초 '황금연휴'만큼은 좀 낫지 않을까 기대가 있었는데요.
소비 반등은 없었습니다.
신용카드 결제가 두 자릿수로 감소했습니다.
고강도 대책이 없으면 내수 진작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펜션은 이번 징검다리 엿새 연휴에도 공실 걱정을 했습니다.
나들이나 모임이 많은 5월 연휴는 한 달 전 만실이 기본이었지만, 이번에는 30% 할인까지 하고서 연휴 직전에 예약을 채웠습니다.
[펜션 10년 운영 : "(예전에는) 당일날 '오늘 방이 있어요?' 이런 문의도 엄청 받았거든요. (올해는) 문의조차 없어요. 아직도 5월 주말도 텅텅 비어 있고…."]
KBS는 BC카드에 의뢰해 이달 1일부터 6일, 가맹점 매출을 확인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매출 건수가 11% 줄었습니다.
영화관, 놀이공원 등 문화생활 업종이-15%.
유통업, 음식료품도 줄었습니다.
만나고, 먹고, 노는 업종인데 연휴 매출이 준 겁니다.
같은 엿새 동안 올해 휴일이 더 많았는데도 카드 결제가 감소했습니다.
5월 가정의 달에 황금연휴 효과가 겹쳐도 소비 심리를 못 살렸습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소득 안 받쳐주는 것 더하기 미래 상황이 너무 불확실하다 보니까 실직할 가능성, 폐업할 가능성이 상당히 지배하고 있어서 소비침체 현상이 뚜렷하거든요."]
이번 연휴 소비는 한국은행도 주목했던 대목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5월 연휴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최대 관심사"라고 말했는데, 소비 반등은 없었던 겁니다.
반면, 엿새 연휴 동안 해외 결제는 4% 늘었습니다.
연휴가 길면 국내 이동이 늘며 내수가 진작된다는 공식도 깨졌습니다.
경기가 어려울 때도 매출이 느는 편의점도 1분기 매출이 0.4% 감소, 사상 처음 역성장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최창준
최근 소비 부진 심각하지만, 이달 초 '황금연휴'만큼은 좀 낫지 않을까 기대가 있었는데요.
소비 반등은 없었습니다.
신용카드 결제가 두 자릿수로 감소했습니다.
고강도 대책이 없으면 내수 진작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펜션은 이번 징검다리 엿새 연휴에도 공실 걱정을 했습니다.
나들이나 모임이 많은 5월 연휴는 한 달 전 만실이 기본이었지만, 이번에는 30% 할인까지 하고서 연휴 직전에 예약을 채웠습니다.
[펜션 10년 운영 : "(예전에는) 당일날 '오늘 방이 있어요?' 이런 문의도 엄청 받았거든요. (올해는) 문의조차 없어요. 아직도 5월 주말도 텅텅 비어 있고…."]
KBS는 BC카드에 의뢰해 이달 1일부터 6일, 가맹점 매출을 확인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매출 건수가 11% 줄었습니다.
영화관, 놀이공원 등 문화생활 업종이-15%.
유통업, 음식료품도 줄었습니다.
만나고, 먹고, 노는 업종인데 연휴 매출이 준 겁니다.
같은 엿새 동안 올해 휴일이 더 많았는데도 카드 결제가 감소했습니다.
5월 가정의 달에 황금연휴 효과가 겹쳐도 소비 심리를 못 살렸습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소득 안 받쳐주는 것 더하기 미래 상황이 너무 불확실하다 보니까 실직할 가능성, 폐업할 가능성이 상당히 지배하고 있어서 소비침체 현상이 뚜렷하거든요."]
이번 연휴 소비는 한국은행도 주목했던 대목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5월 연휴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최대 관심사"라고 말했는데, 소비 반등은 없었던 겁니다.
반면, 엿새 연휴 동안 해외 결제는 4% 늘었습니다.
연휴가 길면 국내 이동이 늘며 내수가 진작된다는 공식도 깨졌습니다.
경기가 어려울 때도 매출이 느는 편의점도 1분기 매출이 0.4% 감소, 사상 처음 역성장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월 황금연휴마저도 ‘카드 결제’ 줄었다
-
- 입력 2025-05-12 18:02:06
- 수정2025-05-12 18:44:57

[앵커]
최근 소비 부진 심각하지만, 이달 초 '황금연휴'만큼은 좀 낫지 않을까 기대가 있었는데요.
소비 반등은 없었습니다.
신용카드 결제가 두 자릿수로 감소했습니다.
고강도 대책이 없으면 내수 진작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펜션은 이번 징검다리 엿새 연휴에도 공실 걱정을 했습니다.
나들이나 모임이 많은 5월 연휴는 한 달 전 만실이 기본이었지만, 이번에는 30% 할인까지 하고서 연휴 직전에 예약을 채웠습니다.
[펜션 10년 운영 : "(예전에는) 당일날 '오늘 방이 있어요?' 이런 문의도 엄청 받았거든요. (올해는) 문의조차 없어요. 아직도 5월 주말도 텅텅 비어 있고…."]
KBS는 BC카드에 의뢰해 이달 1일부터 6일, 가맹점 매출을 확인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매출 건수가 11% 줄었습니다.
영화관, 놀이공원 등 문화생활 업종이-15%.
유통업, 음식료품도 줄었습니다.
만나고, 먹고, 노는 업종인데 연휴 매출이 준 겁니다.
같은 엿새 동안 올해 휴일이 더 많았는데도 카드 결제가 감소했습니다.
5월 가정의 달에 황금연휴 효과가 겹쳐도 소비 심리를 못 살렸습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소득 안 받쳐주는 것 더하기 미래 상황이 너무 불확실하다 보니까 실직할 가능성, 폐업할 가능성이 상당히 지배하고 있어서 소비침체 현상이 뚜렷하거든요."]
이번 연휴 소비는 한국은행도 주목했던 대목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5월 연휴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최대 관심사"라고 말했는데, 소비 반등은 없었던 겁니다.
반면, 엿새 연휴 동안 해외 결제는 4% 늘었습니다.
연휴가 길면 국내 이동이 늘며 내수가 진작된다는 공식도 깨졌습니다.
경기가 어려울 때도 매출이 느는 편의점도 1분기 매출이 0.4% 감소, 사상 처음 역성장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최창준
최근 소비 부진 심각하지만, 이달 초 '황금연휴'만큼은 좀 낫지 않을까 기대가 있었는데요.
소비 반등은 없었습니다.
신용카드 결제가 두 자릿수로 감소했습니다.
고강도 대책이 없으면 내수 진작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펜션은 이번 징검다리 엿새 연휴에도 공실 걱정을 했습니다.
나들이나 모임이 많은 5월 연휴는 한 달 전 만실이 기본이었지만, 이번에는 30% 할인까지 하고서 연휴 직전에 예약을 채웠습니다.
[펜션 10년 운영 : "(예전에는) 당일날 '오늘 방이 있어요?' 이런 문의도 엄청 받았거든요. (올해는) 문의조차 없어요. 아직도 5월 주말도 텅텅 비어 있고…."]
KBS는 BC카드에 의뢰해 이달 1일부터 6일, 가맹점 매출을 확인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매출 건수가 11% 줄었습니다.
영화관, 놀이공원 등 문화생활 업종이-15%.
유통업, 음식료품도 줄었습니다.
만나고, 먹고, 노는 업종인데 연휴 매출이 준 겁니다.
같은 엿새 동안 올해 휴일이 더 많았는데도 카드 결제가 감소했습니다.
5월 가정의 달에 황금연휴 효과가 겹쳐도 소비 심리를 못 살렸습니다.
[주원/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소득 안 받쳐주는 것 더하기 미래 상황이 너무 불확실하다 보니까 실직할 가능성, 폐업할 가능성이 상당히 지배하고 있어서 소비침체 현상이 뚜렷하거든요."]
이번 연휴 소비는 한국은행도 주목했던 대목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5월 연휴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최대 관심사"라고 말했는데, 소비 반등은 없었던 겁니다.
반면, 엿새 연휴 동안 해외 결제는 4% 늘었습니다.
연휴가 길면 국내 이동이 늘며 내수가 진작된다는 공식도 깨졌습니다.
경기가 어려울 때도 매출이 느는 편의점도 1분기 매출이 0.4% 감소, 사상 처음 역성장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