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만 원 내고 남편·아이들까지”…축의금 논쟁 [잇슈 키워드]

입력 2025.05.13 (06:55) 수정 2025.05.13 (07: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키워드는 '축의금'입니다.

축의금 논쟁에 또 불이 붙었습니다.

얼마 전 결혼식을 올렸다는 A 씨의 경험담을 놓고 시작된 논쟁입니다.

전 직장 동료가 남편과 아이 둘을 데리고 와서 축의금 8만 원을 내고 뷔페를 먹고 갔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내용이었습니다.

A 씨는 호텔에서 식을 올렸고, 식대가 1인당 8만 9천 원이었다고 했는데요.

누리꾼들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호텔이면 식대 비싼데 가족을 데려간 건 너무 했다" "축하해주러 간 건데 좋은 마음으로 넘겨라" 같은 의견을 내놓으며 갑론을박을 벌였습니다.

요즘 부쩍 오른 결혼 물가 때문에 식을 올리는 부부도, 또 축하해주는 하객도 결혼식이 큰 부담이 된 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8만 원 내고 남편·아이들까지”…축의금 논쟁 [잇슈 키워드]
    • 입력 2025-05-13 06:55:42
    • 수정2025-05-13 07:02:32
    뉴스광장 1부
다음 키워드는 '축의금'입니다.

축의금 논쟁에 또 불이 붙었습니다.

얼마 전 결혼식을 올렸다는 A 씨의 경험담을 놓고 시작된 논쟁입니다.

전 직장 동료가 남편과 아이 둘을 데리고 와서 축의금 8만 원을 내고 뷔페를 먹고 갔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내용이었습니다.

A 씨는 호텔에서 식을 올렸고, 식대가 1인당 8만 9천 원이었다고 했는데요.

누리꾼들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호텔이면 식대 비싼데 가족을 데려간 건 너무 했다" "축하해주러 간 건데 좋은 마음으로 넘겨라" 같은 의견을 내놓으며 갑론을박을 벌였습니다.

요즘 부쩍 오른 결혼 물가 때문에 식을 올리는 부부도, 또 축하해주는 하객도 결혼식이 큰 부담이 된 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