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종 열사 추모 잇따라…“스물한 살 청년의 꿈”

입력 2025.05.13 (21:47) 수정 2025.05.13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18 첫 희생자인 이세종 열사를 기리는 추모전이 전북대학교에서 열립니다.

오월 주간을 맞아 그 정신을 되새기기 위한 추념 행사도 이어집니다.

안승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빛바랜 겉옷과 푸른 교기, 그 위에 놓인 꽃 한 송이.

피로 얼룩진 흔적 너머 청년의 단단한 눈빛이 맺힙니다.

1980년 5월 18일 새벽, 비상계엄 철폐와 전두환 퇴진을 외치며 농성하다 계엄군에 희생된 이세종 열사.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지난해 이 열사를 민주화운동 첫 사망자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반승현/전북대학교 1학년 : "한 발짝 나서는 것도 두려울 텐데, 우리 사회에서 이런 식으로 무언가를 나서서 보여준다는 점이 다른 사람에게선 보여줄 수 없는 모습이라…."]

전북대 농과대 2학년, 스물한 살 나이에 스러진 삶을 반추하는 기록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민주주의를 열망한 청년의 용기와 동료들의 회한, 독재 정권이 남긴 폭력의 흔적까지.

비상계엄을 다시 극복한 오늘, 45년 전 그날 새벽을 기억해야 할 이유입니다.

[이정환/전북대학교 기록·역사관장 : "첫 희생자인 이세종 열사를 통해 민주주의 희생과 용기의 의미를 되새기는 자리입니다. 유관 기관과 협조를 통해 이세종 열사 추모전을 더욱 풍성하게…."]

당시 학생회관은 새 건물로 바뀌었지만 산화한 자리의 표지석은 안으로 옮겼습니다.

정확한 진상 규명과 역사적 재조명은 남은 과제입니다.

[박대길/전북민주주의연구소장 : "전국적인 민주화 운동이었단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이런 역사적 사건에 대해 우리 주변 인물이 바로 그 주인공이었단 걸 잊어선 안 되겠고요."]

앞으로 이세종 열사와 임균수 열사 추모식, 5·18 기념식을 엄수하고, 광주 묘역 순례에 이어, 전북의 1980년을 되짚는 학술제도 열어 오월 정신을 기립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그래픽:전현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세종 열사 추모 잇따라…“스물한 살 청년의 꿈”
    • 입력 2025-05-13 21:47:15
    • 수정2025-05-13 22:08:59
    뉴스9(전주)
[앵커]

5·18 첫 희생자인 이세종 열사를 기리는 추모전이 전북대학교에서 열립니다.

오월 주간을 맞아 그 정신을 되새기기 위한 추념 행사도 이어집니다.

안승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빛바랜 겉옷과 푸른 교기, 그 위에 놓인 꽃 한 송이.

피로 얼룩진 흔적 너머 청년의 단단한 눈빛이 맺힙니다.

1980년 5월 18일 새벽, 비상계엄 철폐와 전두환 퇴진을 외치며 농성하다 계엄군에 희생된 이세종 열사.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지난해 이 열사를 민주화운동 첫 사망자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반승현/전북대학교 1학년 : "한 발짝 나서는 것도 두려울 텐데, 우리 사회에서 이런 식으로 무언가를 나서서 보여준다는 점이 다른 사람에게선 보여줄 수 없는 모습이라…."]

전북대 농과대 2학년, 스물한 살 나이에 스러진 삶을 반추하는 기록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민주주의를 열망한 청년의 용기와 동료들의 회한, 독재 정권이 남긴 폭력의 흔적까지.

비상계엄을 다시 극복한 오늘, 45년 전 그날 새벽을 기억해야 할 이유입니다.

[이정환/전북대학교 기록·역사관장 : "첫 희생자인 이세종 열사를 통해 민주주의 희생과 용기의 의미를 되새기는 자리입니다. 유관 기관과 협조를 통해 이세종 열사 추모전을 더욱 풍성하게…."]

당시 학생회관은 새 건물로 바뀌었지만 산화한 자리의 표지석은 안으로 옮겼습니다.

정확한 진상 규명과 역사적 재조명은 남은 과제입니다.

[박대길/전북민주주의연구소장 : "전국적인 민주화 운동이었단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이런 역사적 사건에 대해 우리 주변 인물이 바로 그 주인공이었단 걸 잊어선 안 되겠고요."]

앞으로 이세종 열사와 임균수 열사 추모식, 5·18 기념식을 엄수하고, 광주 묘역 순례에 이어, 전북의 1980년을 되짚는 학술제도 열어 오월 정신을 기립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그래픽:전현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