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망빙 사 먹게 15만 원만”…여름 앞두고 마른안주에 빙수까지 ‘줄인상’ [이슈픽]
입력 2025.05.15 (18:08)
수정 2025.05.15 (18: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겹살엔 소주, 맥주엔 치킨이라지만 이 궁합 또한 빼놓을 수 없죠.
가벼운 한 잔, 또는 회차를 거듭하는 자리에 빠지지 않는 메뉴.
맥주와 땅콩입니다.
[쿨/맥주와 땅콩 MV : "맥주처럼 새하얀 거품의 파도~"]
무더위도 코앞, 해변가에서 먹는 맥주 한 캔과 마른 안주는 곧 기분좋은 일탈입니다.
그런데 가볍게만 여겨지던 이 메뉴가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마른안주로 통하는 아몬드, 땅콩, 호두를 비롯한 수입 견과류 가격이 지난해보다 많게는 30% 오른 거죠.
지난해 가뭄으로 미 캘리포니아 일대의 아몬드와 호두 작황이 좋지 않았고, 원달러 환율도 치솟으면서 크게 가격이 오른 탓입니다.
[울릉도 어민/KBS 뉴스12 /2024.7.1 : "바다에서 오징어가 안 나. 한 5시쯤 되어가서 이거밖에 못 잡았잖아."]
또다른 마른 안주 메뉴죠.
오징어는 고수온에 어획량이 크게 줄어 '노(NO)징어'란 별칭까지 붙었습니다.
마른오징어 10마리 소매가격은 7만 7천 원에 이릅니다.
1년 전보다 10% 이상 올랐죠.
[KBS 드라마 '속아도 꿈결' : "너무 늦어서요. 맥주는 다음에 먹을까요?"]
술 안 마시는 사람은 상관 없다고 넘어가면 좋겠지만 가격 상승, 마른안주에만 국한된 게 아닙니다.
여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표적 디저트죠, 빙수 가격을 한 번 볼까요?
'인절미 빙수'로 유명한 빙수전문 브랜드는 최근 일부 빙수 가격을 4% 넘게 인상했습니다.
애플망고와 치즈가 함께 올라간 이 빙수 하나에 만 4천 5백 원입니다.
또다른 중저가 커피 브랜드의 '눈꽃빙수'는 지난해보다 9% 가까이 인상돼 만 3천원에 달하는데요.
원유와 설탕, 과일 등 기본 식재료에 인건비와 물류비까지 올라 상승곡선이 그려졌단 게 업체의 설명입니다.
'스몰 럭셔리'라고 하는 호텔 빙수는 더 합니다.
주황빛 제주산 애플망고, 그 위로 흰색의 초콜릿 꽃 장식과 꽃잎이 내려앉은 이 빙수.
가격이 무려 '14만 9천 원'으로 지난해 12만 원대보다 20% 가까이 올랐습니다.
[유튜브 '마미선' : "12만 6천 원으로 여섯명이 먹으면 2만 원씩 내면 되는 거네?"]
또 다른 호텔에서 내놓은 망고 빙수도 지난해 9만원 대에서 11만 원대로 가격을 인상했는데요.
호텔 빙수 가격에는 '비쌀수록 잘 팔린다'는 역설도 포함돼 있습니다.
고급 호텔 디저트는 단순히 '식음료'를 넘어, '경험 소비'의 한 형태라서 아낌없이 지갑을 연다는 건데요.
경기가 갈수록 어렵다는 올해도 그럴까요?
가벼운 한 잔, 또는 회차를 거듭하는 자리에 빠지지 않는 메뉴.
맥주와 땅콩입니다.
[쿨/맥주와 땅콩 MV : "맥주처럼 새하얀 거품의 파도~"]
무더위도 코앞, 해변가에서 먹는 맥주 한 캔과 마른 안주는 곧 기분좋은 일탈입니다.
그런데 가볍게만 여겨지던 이 메뉴가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마른안주로 통하는 아몬드, 땅콩, 호두를 비롯한 수입 견과류 가격이 지난해보다 많게는 30% 오른 거죠.
지난해 가뭄으로 미 캘리포니아 일대의 아몬드와 호두 작황이 좋지 않았고, 원달러 환율도 치솟으면서 크게 가격이 오른 탓입니다.
[울릉도 어민/KBS 뉴스12 /2024.7.1 : "바다에서 오징어가 안 나. 한 5시쯤 되어가서 이거밖에 못 잡았잖아."]
또다른 마른 안주 메뉴죠.
오징어는 고수온에 어획량이 크게 줄어 '노(NO)징어'란 별칭까지 붙었습니다.
마른오징어 10마리 소매가격은 7만 7천 원에 이릅니다.
1년 전보다 10% 이상 올랐죠.
[KBS 드라마 '속아도 꿈결' : "너무 늦어서요. 맥주는 다음에 먹을까요?"]
술 안 마시는 사람은 상관 없다고 넘어가면 좋겠지만 가격 상승, 마른안주에만 국한된 게 아닙니다.
여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표적 디저트죠, 빙수 가격을 한 번 볼까요?
'인절미 빙수'로 유명한 빙수전문 브랜드는 최근 일부 빙수 가격을 4% 넘게 인상했습니다.
애플망고와 치즈가 함께 올라간 이 빙수 하나에 만 4천 5백 원입니다.
또다른 중저가 커피 브랜드의 '눈꽃빙수'는 지난해보다 9% 가까이 인상돼 만 3천원에 달하는데요.
원유와 설탕, 과일 등 기본 식재료에 인건비와 물류비까지 올라 상승곡선이 그려졌단 게 업체의 설명입니다.
'스몰 럭셔리'라고 하는 호텔 빙수는 더 합니다.
주황빛 제주산 애플망고, 그 위로 흰색의 초콜릿 꽃 장식과 꽃잎이 내려앉은 이 빙수.
가격이 무려 '14만 9천 원'으로 지난해 12만 원대보다 20% 가까이 올랐습니다.
[유튜브 '마미선' : "12만 6천 원으로 여섯명이 먹으면 2만 원씩 내면 되는 거네?"]
또 다른 호텔에서 내놓은 망고 빙수도 지난해 9만원 대에서 11만 원대로 가격을 인상했는데요.
호텔 빙수 가격에는 '비쌀수록 잘 팔린다'는 역설도 포함돼 있습니다.
고급 호텔 디저트는 단순히 '식음료'를 넘어, '경험 소비'의 한 형태라서 아낌없이 지갑을 연다는 건데요.
경기가 갈수록 어렵다는 올해도 그럴까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애망빙 사 먹게 15만 원만”…여름 앞두고 마른안주에 빙수까지 ‘줄인상’ [이슈픽]
-
- 입력 2025-05-15 18:08:13
- 수정2025-05-15 18:14:46

삼겹살엔 소주, 맥주엔 치킨이라지만 이 궁합 또한 빼놓을 수 없죠.
가벼운 한 잔, 또는 회차를 거듭하는 자리에 빠지지 않는 메뉴.
맥주와 땅콩입니다.
[쿨/맥주와 땅콩 MV : "맥주처럼 새하얀 거품의 파도~"]
무더위도 코앞, 해변가에서 먹는 맥주 한 캔과 마른 안주는 곧 기분좋은 일탈입니다.
그런데 가볍게만 여겨지던 이 메뉴가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마른안주로 통하는 아몬드, 땅콩, 호두를 비롯한 수입 견과류 가격이 지난해보다 많게는 30% 오른 거죠.
지난해 가뭄으로 미 캘리포니아 일대의 아몬드와 호두 작황이 좋지 않았고, 원달러 환율도 치솟으면서 크게 가격이 오른 탓입니다.
[울릉도 어민/KBS 뉴스12 /2024.7.1 : "바다에서 오징어가 안 나. 한 5시쯤 되어가서 이거밖에 못 잡았잖아."]
또다른 마른 안주 메뉴죠.
오징어는 고수온에 어획량이 크게 줄어 '노(NO)징어'란 별칭까지 붙었습니다.
마른오징어 10마리 소매가격은 7만 7천 원에 이릅니다.
1년 전보다 10% 이상 올랐죠.
[KBS 드라마 '속아도 꿈결' : "너무 늦어서요. 맥주는 다음에 먹을까요?"]
술 안 마시는 사람은 상관 없다고 넘어가면 좋겠지만 가격 상승, 마른안주에만 국한된 게 아닙니다.
여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표적 디저트죠, 빙수 가격을 한 번 볼까요?
'인절미 빙수'로 유명한 빙수전문 브랜드는 최근 일부 빙수 가격을 4% 넘게 인상했습니다.
애플망고와 치즈가 함께 올라간 이 빙수 하나에 만 4천 5백 원입니다.
또다른 중저가 커피 브랜드의 '눈꽃빙수'는 지난해보다 9% 가까이 인상돼 만 3천원에 달하는데요.
원유와 설탕, 과일 등 기본 식재료에 인건비와 물류비까지 올라 상승곡선이 그려졌단 게 업체의 설명입니다.
'스몰 럭셔리'라고 하는 호텔 빙수는 더 합니다.
주황빛 제주산 애플망고, 그 위로 흰색의 초콜릿 꽃 장식과 꽃잎이 내려앉은 이 빙수.
가격이 무려 '14만 9천 원'으로 지난해 12만 원대보다 20% 가까이 올랐습니다.
[유튜브 '마미선' : "12만 6천 원으로 여섯명이 먹으면 2만 원씩 내면 되는 거네?"]
또 다른 호텔에서 내놓은 망고 빙수도 지난해 9만원 대에서 11만 원대로 가격을 인상했는데요.
호텔 빙수 가격에는 '비쌀수록 잘 팔린다'는 역설도 포함돼 있습니다.
고급 호텔 디저트는 단순히 '식음료'를 넘어, '경험 소비'의 한 형태라서 아낌없이 지갑을 연다는 건데요.
경기가 갈수록 어렵다는 올해도 그럴까요?
가벼운 한 잔, 또는 회차를 거듭하는 자리에 빠지지 않는 메뉴.
맥주와 땅콩입니다.
[쿨/맥주와 땅콩 MV : "맥주처럼 새하얀 거품의 파도~"]
무더위도 코앞, 해변가에서 먹는 맥주 한 캔과 마른 안주는 곧 기분좋은 일탈입니다.
그런데 가볍게만 여겨지던 이 메뉴가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마른안주로 통하는 아몬드, 땅콩, 호두를 비롯한 수입 견과류 가격이 지난해보다 많게는 30% 오른 거죠.
지난해 가뭄으로 미 캘리포니아 일대의 아몬드와 호두 작황이 좋지 않았고, 원달러 환율도 치솟으면서 크게 가격이 오른 탓입니다.
[울릉도 어민/KBS 뉴스12 /2024.7.1 : "바다에서 오징어가 안 나. 한 5시쯤 되어가서 이거밖에 못 잡았잖아."]
또다른 마른 안주 메뉴죠.
오징어는 고수온에 어획량이 크게 줄어 '노(NO)징어'란 별칭까지 붙었습니다.
마른오징어 10마리 소매가격은 7만 7천 원에 이릅니다.
1년 전보다 10% 이상 올랐죠.
[KBS 드라마 '속아도 꿈결' : "너무 늦어서요. 맥주는 다음에 먹을까요?"]
술 안 마시는 사람은 상관 없다고 넘어가면 좋겠지만 가격 상승, 마른안주에만 국한된 게 아닙니다.
여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표적 디저트죠, 빙수 가격을 한 번 볼까요?
'인절미 빙수'로 유명한 빙수전문 브랜드는 최근 일부 빙수 가격을 4% 넘게 인상했습니다.
애플망고와 치즈가 함께 올라간 이 빙수 하나에 만 4천 5백 원입니다.
또다른 중저가 커피 브랜드의 '눈꽃빙수'는 지난해보다 9% 가까이 인상돼 만 3천원에 달하는데요.
원유와 설탕, 과일 등 기본 식재료에 인건비와 물류비까지 올라 상승곡선이 그려졌단 게 업체의 설명입니다.
'스몰 럭셔리'라고 하는 호텔 빙수는 더 합니다.
주황빛 제주산 애플망고, 그 위로 흰색의 초콜릿 꽃 장식과 꽃잎이 내려앉은 이 빙수.
가격이 무려 '14만 9천 원'으로 지난해 12만 원대보다 20% 가까이 올랐습니다.
[유튜브 '마미선' : "12만 6천 원으로 여섯명이 먹으면 2만 원씩 내면 되는 거네?"]
또 다른 호텔에서 내놓은 망고 빙수도 지난해 9만원 대에서 11만 원대로 가격을 인상했는데요.
호텔 빙수 가격에는 '비쌀수록 잘 팔린다'는 역설도 포함돼 있습니다.
고급 호텔 디저트는 단순히 '식음료'를 넘어, '경험 소비'의 한 형태라서 아낌없이 지갑을 연다는 건데요.
경기가 갈수록 어렵다는 올해도 그럴까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