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에 정책 선거 실종?…“공약에 집중을”
입력 2025.05.15 (21:31)
수정 2025.05.15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선이 이제 19일 남았습니다.
후보 현수막에 이어 벽보도 곳곳에 내걸렸는데요.
조기 대선으로 공약을 알릴 시간도, 정보도 부족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정책 선거'에 더 집중하자는 요구가 큽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의 한 행정복지센터에 대선 후보자 7명의 벽보가 붙었습니다.
아파트 단지 등 주택가와 다중이용시설 등 충북 11개 시·군 3,860여 곳에 일제히 게시됐습니다.
선거 벽보를 통해 후보의 사진과 이름, 기호부터 학력과 경력, 정견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책자형 선거 공보물은 선거 2주 전인 오는 20일에 집마다 발송됩니다.
선관위 누리집에는 후보별 10대 공약이 게시돼 주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기 대선 여파로 선거 때, 정당마다 내는 정책 공약집 발간은 불투명합니다.
[김희중/청주시 가경동 : "충북에서는 어디에 뭘 한다고는 하는데, 별로 없어요. 이분이 뭘 한다는 것, 그게 없잖아요. 그래서 아쉬운 것 같아요."]
지역의 관심 현안을 분야별로 제공하는 선관위 차원의 공약 안내 서비스도 아직 계획이 없습니다.
[방용호/청주시 가경동 : "다 모여서 토론해서 '이건 이렇게, 이렇게 한다', 이런 말은 안 하고 자꾸 헐뜯기만 하는 건 좀 나쁘죠."]
전문가들은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 경쟁', 그리고 유권자와 자치단체가 의제를 제안하면 후보와 정부가 답하는 '녹서 문화' 정착을 강조합니다.
[이광재/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 : "내 정책을 얘기했다가 검증받고 비판받으면 내가 불리하다고 보는 거잖아요. 유권자가 묻고 행정이 답해야 하는 거죠."]
이번 대선 1차 유권자 조사에서, 정책과 공약을 중요하게 본다는 응답은 27.3%로 인물에 이어 두 번째였습니다.
특히 20·30대는 인물보다 공약을 우선한다고 답했습니다.
이제 10여 일 남은 선거.
유권자들은 각 후보와 정당이 얼마 남지 않은 선거 운동 기간을 소모적인 공방과 비방보다 내실 있는 정책과 의제 중심으로 채우길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최승원/그래픽:박소현
대선이 이제 19일 남았습니다.
후보 현수막에 이어 벽보도 곳곳에 내걸렸는데요.
조기 대선으로 공약을 알릴 시간도, 정보도 부족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정책 선거'에 더 집중하자는 요구가 큽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의 한 행정복지센터에 대선 후보자 7명의 벽보가 붙었습니다.
아파트 단지 등 주택가와 다중이용시설 등 충북 11개 시·군 3,860여 곳에 일제히 게시됐습니다.
선거 벽보를 통해 후보의 사진과 이름, 기호부터 학력과 경력, 정견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책자형 선거 공보물은 선거 2주 전인 오는 20일에 집마다 발송됩니다.
선관위 누리집에는 후보별 10대 공약이 게시돼 주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기 대선 여파로 선거 때, 정당마다 내는 정책 공약집 발간은 불투명합니다.
[김희중/청주시 가경동 : "충북에서는 어디에 뭘 한다고는 하는데, 별로 없어요. 이분이 뭘 한다는 것, 그게 없잖아요. 그래서 아쉬운 것 같아요."]
지역의 관심 현안을 분야별로 제공하는 선관위 차원의 공약 안내 서비스도 아직 계획이 없습니다.
[방용호/청주시 가경동 : "다 모여서 토론해서 '이건 이렇게, 이렇게 한다', 이런 말은 안 하고 자꾸 헐뜯기만 하는 건 좀 나쁘죠."]
전문가들은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 경쟁', 그리고 유권자와 자치단체가 의제를 제안하면 후보와 정부가 답하는 '녹서 문화' 정착을 강조합니다.
[이광재/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 : "내 정책을 얘기했다가 검증받고 비판받으면 내가 불리하다고 보는 거잖아요. 유권자가 묻고 행정이 답해야 하는 거죠."]
이번 대선 1차 유권자 조사에서, 정책과 공약을 중요하게 본다는 응답은 27.3%로 인물에 이어 두 번째였습니다.
특히 20·30대는 인물보다 공약을 우선한다고 답했습니다.
이제 10여 일 남은 선거.
유권자들은 각 후보와 정당이 얼마 남지 않은 선거 운동 기간을 소모적인 공방과 비방보다 내실 있는 정책과 의제 중심으로 채우길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최승원/그래픽:박소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기 대선에 정책 선거 실종?…“공약에 집중을”
-
- 입력 2025-05-15 21:31:38
- 수정2025-05-15 22:09:59

[앵커]
대선이 이제 19일 남았습니다.
후보 현수막에 이어 벽보도 곳곳에 내걸렸는데요.
조기 대선으로 공약을 알릴 시간도, 정보도 부족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정책 선거'에 더 집중하자는 요구가 큽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의 한 행정복지센터에 대선 후보자 7명의 벽보가 붙었습니다.
아파트 단지 등 주택가와 다중이용시설 등 충북 11개 시·군 3,860여 곳에 일제히 게시됐습니다.
선거 벽보를 통해 후보의 사진과 이름, 기호부터 학력과 경력, 정견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책자형 선거 공보물은 선거 2주 전인 오는 20일에 집마다 발송됩니다.
선관위 누리집에는 후보별 10대 공약이 게시돼 주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기 대선 여파로 선거 때, 정당마다 내는 정책 공약집 발간은 불투명합니다.
[김희중/청주시 가경동 : "충북에서는 어디에 뭘 한다고는 하는데, 별로 없어요. 이분이 뭘 한다는 것, 그게 없잖아요. 그래서 아쉬운 것 같아요."]
지역의 관심 현안을 분야별로 제공하는 선관위 차원의 공약 안내 서비스도 아직 계획이 없습니다.
[방용호/청주시 가경동 : "다 모여서 토론해서 '이건 이렇게, 이렇게 한다', 이런 말은 안 하고 자꾸 헐뜯기만 하는 건 좀 나쁘죠."]
전문가들은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 경쟁', 그리고 유권자와 자치단체가 의제를 제안하면 후보와 정부가 답하는 '녹서 문화' 정착을 강조합니다.
[이광재/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 : "내 정책을 얘기했다가 검증받고 비판받으면 내가 불리하다고 보는 거잖아요. 유권자가 묻고 행정이 답해야 하는 거죠."]
이번 대선 1차 유권자 조사에서, 정책과 공약을 중요하게 본다는 응답은 27.3%로 인물에 이어 두 번째였습니다.
특히 20·30대는 인물보다 공약을 우선한다고 답했습니다.
이제 10여 일 남은 선거.
유권자들은 각 후보와 정당이 얼마 남지 않은 선거 운동 기간을 소모적인 공방과 비방보다 내실 있는 정책과 의제 중심으로 채우길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최승원/그래픽:박소현
대선이 이제 19일 남았습니다.
후보 현수막에 이어 벽보도 곳곳에 내걸렸는데요.
조기 대선으로 공약을 알릴 시간도, 정보도 부족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정책 선거'에 더 집중하자는 요구가 큽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의 한 행정복지센터에 대선 후보자 7명의 벽보가 붙었습니다.
아파트 단지 등 주택가와 다중이용시설 등 충북 11개 시·군 3,860여 곳에 일제히 게시됐습니다.
선거 벽보를 통해 후보의 사진과 이름, 기호부터 학력과 경력, 정견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책자형 선거 공보물은 선거 2주 전인 오는 20일에 집마다 발송됩니다.
선관위 누리집에는 후보별 10대 공약이 게시돼 주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기 대선 여파로 선거 때, 정당마다 내는 정책 공약집 발간은 불투명합니다.
[김희중/청주시 가경동 : "충북에서는 어디에 뭘 한다고는 하는데, 별로 없어요. 이분이 뭘 한다는 것, 그게 없잖아요. 그래서 아쉬운 것 같아요."]
지역의 관심 현안을 분야별로 제공하는 선관위 차원의 공약 안내 서비스도 아직 계획이 없습니다.
[방용호/청주시 가경동 : "다 모여서 토론해서 '이건 이렇게, 이렇게 한다', 이런 말은 안 하고 자꾸 헐뜯기만 하는 건 좀 나쁘죠."]
전문가들은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 경쟁', 그리고 유권자와 자치단체가 의제를 제안하면 후보와 정부가 답하는 '녹서 문화' 정착을 강조합니다.
[이광재/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 : "내 정책을 얘기했다가 검증받고 비판받으면 내가 불리하다고 보는 거잖아요. 유권자가 묻고 행정이 답해야 하는 거죠."]
이번 대선 1차 유권자 조사에서, 정책과 공약을 중요하게 본다는 응답은 27.3%로 인물에 이어 두 번째였습니다.
특히 20·30대는 인물보다 공약을 우선한다고 답했습니다.
이제 10여 일 남은 선거.
유권자들은 각 후보와 정당이 얼마 남지 않은 선거 운동 기간을 소모적인 공방과 비방보다 내실 있는 정책과 의제 중심으로 채우길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최승원/그래픽:박소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