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조심기간’ 끝났지만…5~6월 산불 88건
입력 2025.05.16 (21:47)
수정 2025.05.16 (22: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처럼 비 피해 대비가 시작되는 걸 보면 산불 걱정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안심하기는 이릅니다.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나고도 매년 수십 건의 산불이 발생하기 때문인데 입산 통제가 풀린 지금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류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역대 최대 규모의 경북 산불로 주민 3천5백여 명이 삶의 터전을 잃고 산림 9만 9천여 ha가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불과 한 달 뒤, 대구 도심에서도 산불이 나 시민 수백 명이 대피하는 등 역대급 혼란을 불렀습니다.
대구 경북에 유독 잔인했던 봄철 산불이 대부분 실화로 추정되면서 주요 등산로도 모두 폐쇄했습니다.
하지만 산림청은 어제(15일) 석 달간의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나면서 통제했던 등산로를 모두 개방했습니다.
[산림청 관계자 : "(전국) 182만 ha가 통제구역이고 산불 조심 기간 통제가 되는 거라서,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났기 때문에 통제구역은 해제됩니다."]
대구도 폐쇄했던 등산로 160여 곳의 입산을 허용하고 경상북도도 입산 통제를 대부분 해제하기로 하면서 주말부터 등산객은 크게 늘 전망입니다.
문제는 산불 발생 우려는 끝나지 않았단 겁니다.
실제 산불 조심 기간이 아닌 시기 산불 발생은 전체 산불의 28%를 차지했고, 발생 일수도 2000년 136일에서 2020년 161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특히 장마철 직전 아직 나무에 수분이 부족한 5월과 6월에 발생한 산불도 전국적으로 평균 88건, 대구와 경북은 16건에 이릅니다.
[서재철/녹색연합 전문위원 : "6월 중순까지는 건조 상황을 주시해야 할 필요도 있기도 해서 인화성 물질 라이터라든지 이런 것들은 각별히 방문자 스스로가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고요."]
기후변화로 갈수록 대형화, 장기화하는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났다고 경각심을 놓는 순간이 가장 위험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이처럼 비 피해 대비가 시작되는 걸 보면 산불 걱정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안심하기는 이릅니다.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나고도 매년 수십 건의 산불이 발생하기 때문인데 입산 통제가 풀린 지금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류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역대 최대 규모의 경북 산불로 주민 3천5백여 명이 삶의 터전을 잃고 산림 9만 9천여 ha가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불과 한 달 뒤, 대구 도심에서도 산불이 나 시민 수백 명이 대피하는 등 역대급 혼란을 불렀습니다.
대구 경북에 유독 잔인했던 봄철 산불이 대부분 실화로 추정되면서 주요 등산로도 모두 폐쇄했습니다.
하지만 산림청은 어제(15일) 석 달간의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나면서 통제했던 등산로를 모두 개방했습니다.
[산림청 관계자 : "(전국) 182만 ha가 통제구역이고 산불 조심 기간 통제가 되는 거라서,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났기 때문에 통제구역은 해제됩니다."]
대구도 폐쇄했던 등산로 160여 곳의 입산을 허용하고 경상북도도 입산 통제를 대부분 해제하기로 하면서 주말부터 등산객은 크게 늘 전망입니다.
문제는 산불 발생 우려는 끝나지 않았단 겁니다.
실제 산불 조심 기간이 아닌 시기 산불 발생은 전체 산불의 28%를 차지했고, 발생 일수도 2000년 136일에서 2020년 161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특히 장마철 직전 아직 나무에 수분이 부족한 5월과 6월에 발생한 산불도 전국적으로 평균 88건, 대구와 경북은 16건에 이릅니다.
[서재철/녹색연합 전문위원 : "6월 중순까지는 건조 상황을 주시해야 할 필요도 있기도 해서 인화성 물질 라이터라든지 이런 것들은 각별히 방문자 스스로가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고요."]
기후변화로 갈수록 대형화, 장기화하는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났다고 경각심을 놓는 순간이 가장 위험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조심기간’ 끝났지만…5~6월 산불 88건
-
- 입력 2025-05-16 21:47:34
- 수정2025-05-16 22:14:18

[앵커]
이처럼 비 피해 대비가 시작되는 걸 보면 산불 걱정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안심하기는 이릅니다.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나고도 매년 수십 건의 산불이 발생하기 때문인데 입산 통제가 풀린 지금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류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역대 최대 규모의 경북 산불로 주민 3천5백여 명이 삶의 터전을 잃고 산림 9만 9천여 ha가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불과 한 달 뒤, 대구 도심에서도 산불이 나 시민 수백 명이 대피하는 등 역대급 혼란을 불렀습니다.
대구 경북에 유독 잔인했던 봄철 산불이 대부분 실화로 추정되면서 주요 등산로도 모두 폐쇄했습니다.
하지만 산림청은 어제(15일) 석 달간의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나면서 통제했던 등산로를 모두 개방했습니다.
[산림청 관계자 : "(전국) 182만 ha가 통제구역이고 산불 조심 기간 통제가 되는 거라서,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났기 때문에 통제구역은 해제됩니다."]
대구도 폐쇄했던 등산로 160여 곳의 입산을 허용하고 경상북도도 입산 통제를 대부분 해제하기로 하면서 주말부터 등산객은 크게 늘 전망입니다.
문제는 산불 발생 우려는 끝나지 않았단 겁니다.
실제 산불 조심 기간이 아닌 시기 산불 발생은 전체 산불의 28%를 차지했고, 발생 일수도 2000년 136일에서 2020년 161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특히 장마철 직전 아직 나무에 수분이 부족한 5월과 6월에 발생한 산불도 전국적으로 평균 88건, 대구와 경북은 16건에 이릅니다.
[서재철/녹색연합 전문위원 : "6월 중순까지는 건조 상황을 주시해야 할 필요도 있기도 해서 인화성 물질 라이터라든지 이런 것들은 각별히 방문자 스스로가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고요."]
기후변화로 갈수록 대형화, 장기화하는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났다고 경각심을 놓는 순간이 가장 위험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이처럼 비 피해 대비가 시작되는 걸 보면 산불 걱정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안심하기는 이릅니다.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나고도 매년 수십 건의 산불이 발생하기 때문인데 입산 통제가 풀린 지금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류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역대 최대 규모의 경북 산불로 주민 3천5백여 명이 삶의 터전을 잃고 산림 9만 9천여 ha가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불과 한 달 뒤, 대구 도심에서도 산불이 나 시민 수백 명이 대피하는 등 역대급 혼란을 불렀습니다.
대구 경북에 유독 잔인했던 봄철 산불이 대부분 실화로 추정되면서 주요 등산로도 모두 폐쇄했습니다.
하지만 산림청은 어제(15일) 석 달간의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나면서 통제했던 등산로를 모두 개방했습니다.
[산림청 관계자 : "(전국) 182만 ha가 통제구역이고 산불 조심 기간 통제가 되는 거라서,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났기 때문에 통제구역은 해제됩니다."]
대구도 폐쇄했던 등산로 160여 곳의 입산을 허용하고 경상북도도 입산 통제를 대부분 해제하기로 하면서 주말부터 등산객은 크게 늘 전망입니다.
문제는 산불 발생 우려는 끝나지 않았단 겁니다.
실제 산불 조심 기간이 아닌 시기 산불 발생은 전체 산불의 28%를 차지했고, 발생 일수도 2000년 136일에서 2020년 161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특히 장마철 직전 아직 나무에 수분이 부족한 5월과 6월에 발생한 산불도 전국적으로 평균 88건, 대구와 경북은 16건에 이릅니다.
[서재철/녹색연합 전문위원 : "6월 중순까지는 건조 상황을 주시해야 할 필요도 있기도 해서 인화성 물질 라이터라든지 이런 것들은 각별히 방문자 스스로가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고요."]
기후변화로 갈수록 대형화, 장기화하는 산불, 조심 기간이 끝났다고 경각심을 놓는 순간이 가장 위험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
-
류재현 기자 jae@kbs.co.kr
류재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