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폼 중독’…뇌 건강에 악영향
입력 2025.05.18 (07:20)
수정 2025.05.18 (23: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재난방송센터를 시작하겠습니다.
요즘 1분 안팎의 짧은 동영상인 '쇼트폼' 많이들 보실 겁니다.
보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를 만큼 중독성이 강한데요.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시청에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이은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요즘 청소년들의 상담 과정에서 '쇼트폼' 중독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쇼트폼'이란 1분 안팎의 짧은 동영상을 말하는 것으로,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같은 SNS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정○○/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틱톡 가장 많이(보게) 된 게 한 8시간 이상. 보다 보면 여러 가지 많이 나와서 그냥 계속 보는 것 같아요."]
문제는 이같은 현상이 연령을 가리지않고 나타난다는 겁니다.
청소년의 40% 이상이 '쇼트폼' 시청 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유아와 성인도 30% 가량, 60대에서도 19%가 조절이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한국인의 1인당 '쇼트폼' 이용 시간이 넷플릭스와 같은 OTT 시청 시간보다 약 일곱 배 많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그만큼 쇼트폼 중독성이 크다는 얘깁니다.
[심용출/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기획운영부장 : "짧은 시간 안에 굉장히 자극적인 내용들 그런 영상들을 많이 보여주기 때문에 현실 세계와 구분하지 못하는, 구분이 어려운, 경계가 무너지는…."]
특히 어릴 때 쇼트폼에 중독되면 논리력과 추론력이 떨어지고 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심하면 불안, 우울, 무기력 등의 정신질환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쇼트폼을 한 번에 끊는 것보다 단계적인 이용 시간 축소를 권합니다.
[전상원/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시간을 정해놓고 그렇게 할 수도 있고, (이용 시간을) 제한하되 같이 해주는 사람이 모였을 때 가장 효과가 큽니다."]
또, 실패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다시 시도하는 노력도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재난방송센터를 시작하겠습니다.
요즘 1분 안팎의 짧은 동영상인 '쇼트폼' 많이들 보실 겁니다.
보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를 만큼 중독성이 강한데요.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시청에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이은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요즘 청소년들의 상담 과정에서 '쇼트폼' 중독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쇼트폼'이란 1분 안팎의 짧은 동영상을 말하는 것으로,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같은 SNS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정○○/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틱톡 가장 많이(보게) 된 게 한 8시간 이상. 보다 보면 여러 가지 많이 나와서 그냥 계속 보는 것 같아요."]
문제는 이같은 현상이 연령을 가리지않고 나타난다는 겁니다.
청소년의 40% 이상이 '쇼트폼' 시청 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유아와 성인도 30% 가량, 60대에서도 19%가 조절이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한국인의 1인당 '쇼트폼' 이용 시간이 넷플릭스와 같은 OTT 시청 시간보다 약 일곱 배 많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그만큼 쇼트폼 중독성이 크다는 얘깁니다.
[심용출/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기획운영부장 : "짧은 시간 안에 굉장히 자극적인 내용들 그런 영상들을 많이 보여주기 때문에 현실 세계와 구분하지 못하는, 구분이 어려운, 경계가 무너지는…."]
특히 어릴 때 쇼트폼에 중독되면 논리력과 추론력이 떨어지고 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심하면 불안, 우울, 무기력 등의 정신질환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쇼트폼을 한 번에 끊는 것보다 단계적인 이용 시간 축소를 권합니다.
[전상원/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시간을 정해놓고 그렇게 할 수도 있고, (이용 시간을) 제한하되 같이 해주는 사람이 모였을 때 가장 효과가 큽니다."]
또, 실패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다시 시도하는 노력도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쇼트폼 중독’…뇌 건강에 악영향
-
- 입력 2025-05-18 07:20:25
- 수정2025-05-18 23:13:50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재난방송센터를 시작하겠습니다.
요즘 1분 안팎의 짧은 동영상인 '쇼트폼' 많이들 보실 겁니다.
보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를 만큼 중독성이 강한데요.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시청에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이은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요즘 청소년들의 상담 과정에서 '쇼트폼' 중독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쇼트폼'이란 1분 안팎의 짧은 동영상을 말하는 것으로,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같은 SNS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정○○/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틱톡 가장 많이(보게) 된 게 한 8시간 이상. 보다 보면 여러 가지 많이 나와서 그냥 계속 보는 것 같아요."]
문제는 이같은 현상이 연령을 가리지않고 나타난다는 겁니다.
청소년의 40% 이상이 '쇼트폼' 시청 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유아와 성인도 30% 가량, 60대에서도 19%가 조절이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한국인의 1인당 '쇼트폼' 이용 시간이 넷플릭스와 같은 OTT 시청 시간보다 약 일곱 배 많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그만큼 쇼트폼 중독성이 크다는 얘깁니다.
[심용출/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기획운영부장 : "짧은 시간 안에 굉장히 자극적인 내용들 그런 영상들을 많이 보여주기 때문에 현실 세계와 구분하지 못하는, 구분이 어려운, 경계가 무너지는…."]
특히 어릴 때 쇼트폼에 중독되면 논리력과 추론력이 떨어지고 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심하면 불안, 우울, 무기력 등의 정신질환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쇼트폼을 한 번에 끊는 것보다 단계적인 이용 시간 축소를 권합니다.
[전상원/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시간을 정해놓고 그렇게 할 수도 있고, (이용 시간을) 제한하되 같이 해주는 사람이 모였을 때 가장 효과가 큽니다."]
또, 실패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다시 시도하는 노력도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재난방송센터를 시작하겠습니다.
요즘 1분 안팎의 짧은 동영상인 '쇼트폼' 많이들 보실 겁니다.
보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를 만큼 중독성이 강한데요.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시청에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이은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요즘 청소년들의 상담 과정에서 '쇼트폼' 중독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쇼트폼'이란 1분 안팎의 짧은 동영상을 말하는 것으로,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같은 SNS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정○○/중학교 3학년/음성변조 : "틱톡 가장 많이(보게) 된 게 한 8시간 이상. 보다 보면 여러 가지 많이 나와서 그냥 계속 보는 것 같아요."]
문제는 이같은 현상이 연령을 가리지않고 나타난다는 겁니다.
청소년의 40% 이상이 '쇼트폼' 시청 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유아와 성인도 30% 가량, 60대에서도 19%가 조절이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한국인의 1인당 '쇼트폼' 이용 시간이 넷플릭스와 같은 OTT 시청 시간보다 약 일곱 배 많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그만큼 쇼트폼 중독성이 크다는 얘깁니다.
[심용출/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기획운영부장 : "짧은 시간 안에 굉장히 자극적인 내용들 그런 영상들을 많이 보여주기 때문에 현실 세계와 구분하지 못하는, 구분이 어려운, 경계가 무너지는…."]
특히 어릴 때 쇼트폼에 중독되면 논리력과 추론력이 떨어지고 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심하면 불안, 우울, 무기력 등의 정신질환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쇼트폼을 한 번에 끊는 것보다 단계적인 이용 시간 축소를 권합니다.
[전상원/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시간을 정해놓고 그렇게 할 수도 있고, (이용 시간을) 제한하되 같이 해주는 사람이 모였을 때 가장 효과가 큽니다."]
또, 실패하더라도 자책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다시 시도하는 노력도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
-
이은정 기자 ejlee@kbs.co.kr
이은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