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달가슴곰 활동 본격화…등산객 주의할 점은?
입력 2025.05.20 (21:41)
수정 2025.05.20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리산과 덕유산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반달가슴곰들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시기가 됐습니다.
산에 올랐다가 곰과 마주칠 확률이 높아진 겁니다.
이세흠 기자가 안전 수칙을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이리저리 냄새를 맡으며 먹이를 찾고, 나무 꼭대기도 거침없이 올라갑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Ι급인 반달가슴곰입니다.
2004년 첫 방사 이후 지리산과 덕유산 일대에 90마리 넘게 살고 있는 걸로 추정됩니다.
사람의 흔적이나 냄새를 피하는 습성이 있어 등산객과 마주치는 경우는 드물지만,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
곰들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데다 서식지도 더 넓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반달가슴곰은 초봄에 겨울잠에서 깨어나, 짝짓기가 시작되는 5월부터 왕성하게 활동합니다.
실제로 지난해 활동 영역을 분석해 보니 6월부터 8월 사이는 봄에 비해 다섯 배 이상 영역이 넓어졌습니다.
등산 중에 만약 곰과 마주쳤다면 급하게 도망쳐선 안 됩니다.
[이사현/국립공원공단 서식지보전부장 : "도망가는 행동이 가장 위험한 행동입니다. 갑자기 사람이 움직이게 되면 곰은 자기를 위협하는 걸로 알고 공격할 수 있거든요."]
금속제 종을 달아 사람의 위치를 알리거나.
이렇게 곰과 마주쳤을 때 큰 소리를 낼 수 있는 호루라기 같은 물건을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전문가들은 곰이 출몰하는 비법정 탐방로 출입을 삼가고, 두 명 이상이 함께 산에 올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국립공원공단은 출입이 금지된 샛길 등 6백여 곳에 반달가슴곰 서식지라고 알리는 깃발과 안내기를 설치했습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지리산과 덕유산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반달가슴곰들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시기가 됐습니다.
산에 올랐다가 곰과 마주칠 확률이 높아진 겁니다.
이세흠 기자가 안전 수칙을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이리저리 냄새를 맡으며 먹이를 찾고, 나무 꼭대기도 거침없이 올라갑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Ι급인 반달가슴곰입니다.
2004년 첫 방사 이후 지리산과 덕유산 일대에 90마리 넘게 살고 있는 걸로 추정됩니다.
사람의 흔적이나 냄새를 피하는 습성이 있어 등산객과 마주치는 경우는 드물지만,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
곰들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데다 서식지도 더 넓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반달가슴곰은 초봄에 겨울잠에서 깨어나, 짝짓기가 시작되는 5월부터 왕성하게 활동합니다.
실제로 지난해 활동 영역을 분석해 보니 6월부터 8월 사이는 봄에 비해 다섯 배 이상 영역이 넓어졌습니다.
등산 중에 만약 곰과 마주쳤다면 급하게 도망쳐선 안 됩니다.
[이사현/국립공원공단 서식지보전부장 : "도망가는 행동이 가장 위험한 행동입니다. 갑자기 사람이 움직이게 되면 곰은 자기를 위협하는 걸로 알고 공격할 수 있거든요."]
금속제 종을 달아 사람의 위치를 알리거나.
이렇게 곰과 마주쳤을 때 큰 소리를 낼 수 있는 호루라기 같은 물건을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전문가들은 곰이 출몰하는 비법정 탐방로 출입을 삼가고, 두 명 이상이 함께 산에 올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국립공원공단은 출입이 금지된 샛길 등 6백여 곳에 반달가슴곰 서식지라고 알리는 깃발과 안내기를 설치했습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반달가슴곰 활동 본격화…등산객 주의할 점은?
-
- 입력 2025-05-20 21:41:28
- 수정2025-05-20 22:09:43

[앵커]
지리산과 덕유산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반달가슴곰들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시기가 됐습니다.
산에 올랐다가 곰과 마주칠 확률이 높아진 겁니다.
이세흠 기자가 안전 수칙을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이리저리 냄새를 맡으며 먹이를 찾고, 나무 꼭대기도 거침없이 올라갑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Ι급인 반달가슴곰입니다.
2004년 첫 방사 이후 지리산과 덕유산 일대에 90마리 넘게 살고 있는 걸로 추정됩니다.
사람의 흔적이나 냄새를 피하는 습성이 있어 등산객과 마주치는 경우는 드물지만,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
곰들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데다 서식지도 더 넓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반달가슴곰은 초봄에 겨울잠에서 깨어나, 짝짓기가 시작되는 5월부터 왕성하게 활동합니다.
실제로 지난해 활동 영역을 분석해 보니 6월부터 8월 사이는 봄에 비해 다섯 배 이상 영역이 넓어졌습니다.
등산 중에 만약 곰과 마주쳤다면 급하게 도망쳐선 안 됩니다.
[이사현/국립공원공단 서식지보전부장 : "도망가는 행동이 가장 위험한 행동입니다. 갑자기 사람이 움직이게 되면 곰은 자기를 위협하는 걸로 알고 공격할 수 있거든요."]
금속제 종을 달아 사람의 위치를 알리거나.
이렇게 곰과 마주쳤을 때 큰 소리를 낼 수 있는 호루라기 같은 물건을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전문가들은 곰이 출몰하는 비법정 탐방로 출입을 삼가고, 두 명 이상이 함께 산에 올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국립공원공단은 출입이 금지된 샛길 등 6백여 곳에 반달가슴곰 서식지라고 알리는 깃발과 안내기를 설치했습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지리산과 덕유산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반달가슴곰들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시기가 됐습니다.
산에 올랐다가 곰과 마주칠 확률이 높아진 겁니다.
이세흠 기자가 안전 수칙을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이리저리 냄새를 맡으며 먹이를 찾고, 나무 꼭대기도 거침없이 올라갑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Ι급인 반달가슴곰입니다.
2004년 첫 방사 이후 지리산과 덕유산 일대에 90마리 넘게 살고 있는 걸로 추정됩니다.
사람의 흔적이나 냄새를 피하는 습성이 있어 등산객과 마주치는 경우는 드물지만,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
곰들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데다 서식지도 더 넓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반달가슴곰은 초봄에 겨울잠에서 깨어나, 짝짓기가 시작되는 5월부터 왕성하게 활동합니다.
실제로 지난해 활동 영역을 분석해 보니 6월부터 8월 사이는 봄에 비해 다섯 배 이상 영역이 넓어졌습니다.
등산 중에 만약 곰과 마주쳤다면 급하게 도망쳐선 안 됩니다.
[이사현/국립공원공단 서식지보전부장 : "도망가는 행동이 가장 위험한 행동입니다. 갑자기 사람이 움직이게 되면 곰은 자기를 위협하는 걸로 알고 공격할 수 있거든요."]
금속제 종을 달아 사람의 위치를 알리거나.
이렇게 곰과 마주쳤을 때 큰 소리를 낼 수 있는 호루라기 같은 물건을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전문가들은 곰이 출몰하는 비법정 탐방로 출입을 삼가고, 두 명 이상이 함께 산에 올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국립공원공단은 출입이 금지된 샛길 등 6백여 곳에 반달가슴곰 서식지라고 알리는 깃발과 안내기를 설치했습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박미주
-
-
이세흠 기자 hmm@kbs.co.kr
이세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