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1등 뺏긴 K-배터리…‘내우외환’에 지원도 ‘멈춤’
입력 2025.05.21 (21:22)
수정 2025.05.21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 CATL의 성장세는 무섭습니다.
중국을 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도 지난해 한국 업체를 꺾고 1위로 올라섰고요.
올해는 점유율을 더 높였습니다.
CATL만이 아닙니다.
다른 중국 배터리 업체들도 10위 권 안에 대거 이름을 올렸습니다.
그럼 한국 배터리 상황은 어떨까요?
3년 전만 해도 세계 시장 점유율의 절반을 넘게 차지했던 우리 배터리 3사.
지금은 40%로 점유율이 내려앉았고, 올해부터는 중국 업체들에 추월당했습니다.
잘나가던 K배터리, 왜 이렇게 된 걸까요.
부진 원인은 뭐고 대책은 없는지 살펴봤습니다.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발 빠르게 미국 투자를 진행하며 시장 선점을 노렸던 우리 배터리 업체들.
가동 중인 미국 공장만 6곳, 10곳을 추가 건설 중입니다.
하지만 친환경 정책을 꺼리는 트럼프 정부 등장에 발목이 잡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1월 : "그린 뉴딜(친환경 산업정책)을 종료하고, 전기차 의무화를 폐지해 자동차 산업을 구하고…."]
미국 정부에서 받던 보조금은 없어질 분위기고, GM 등 미국 자동차 업체도 전기차에서 손을 떼며 수출길도 막히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개척하다시피 한 유럽 시장 상황도 녹록지 않습니다.
미국에선 수출이 막힌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가성비'를 무기로 공격적 유럽 투자에 나선 겁니다.
3년 새 유럽 시장에서 중국산 점유율이 3배 가까이 느는 동안, 우리 배터리 점유율은 거의 반토막이 났습니다.
안 그래도 전기차 수요가 정체되며 위축된 배터리 시장.
이러다 보니 올 1분기 공장 가동률은 배터리 3사 모두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실적도 대부분 적자.
유일하게 흑자를 본 LG에너지솔루션도 미국 정부 보조금을 빼면 적자입니다.
[김동명/LG에너지솔루션 대표/지난 3월 : "저희가 지금 준비를 잘해야 하는 시간인 것 같아요. 수요가 좀 줄어들어 있고, 여러 가지 변수들이 많아서…."]
배터리 업체들은 생산 속도 조절, 경비 절감 등 일단 '살아남기' 전략에 들어갔습니다.
[황경인/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 "세제지원이라든가 R&D(연구개발) 이런 쪽에 있어서 정부가 지원을 좀 더 많이 해 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변수가 될 미국과의 관세 협상도 갈 길이 먼데다, 각종 지원 법안 논의도 대선을 앞두고 거의 멈춘 상탭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이근희 김지혜
중국 CATL의 성장세는 무섭습니다.
중국을 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도 지난해 한국 업체를 꺾고 1위로 올라섰고요.
올해는 점유율을 더 높였습니다.
CATL만이 아닙니다.
다른 중국 배터리 업체들도 10위 권 안에 대거 이름을 올렸습니다.
그럼 한국 배터리 상황은 어떨까요?
3년 전만 해도 세계 시장 점유율의 절반을 넘게 차지했던 우리 배터리 3사.
지금은 40%로 점유율이 내려앉았고, 올해부터는 중국 업체들에 추월당했습니다.
잘나가던 K배터리, 왜 이렇게 된 걸까요.
부진 원인은 뭐고 대책은 없는지 살펴봤습니다.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발 빠르게 미국 투자를 진행하며 시장 선점을 노렸던 우리 배터리 업체들.
가동 중인 미국 공장만 6곳, 10곳을 추가 건설 중입니다.
하지만 친환경 정책을 꺼리는 트럼프 정부 등장에 발목이 잡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1월 : "그린 뉴딜(친환경 산업정책)을 종료하고, 전기차 의무화를 폐지해 자동차 산업을 구하고…."]
미국 정부에서 받던 보조금은 없어질 분위기고, GM 등 미국 자동차 업체도 전기차에서 손을 떼며 수출길도 막히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개척하다시피 한 유럽 시장 상황도 녹록지 않습니다.
미국에선 수출이 막힌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가성비'를 무기로 공격적 유럽 투자에 나선 겁니다.
3년 새 유럽 시장에서 중국산 점유율이 3배 가까이 느는 동안, 우리 배터리 점유율은 거의 반토막이 났습니다.
안 그래도 전기차 수요가 정체되며 위축된 배터리 시장.
이러다 보니 올 1분기 공장 가동률은 배터리 3사 모두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실적도 대부분 적자.
유일하게 흑자를 본 LG에너지솔루션도 미국 정부 보조금을 빼면 적자입니다.
[김동명/LG에너지솔루션 대표/지난 3월 : "저희가 지금 준비를 잘해야 하는 시간인 것 같아요. 수요가 좀 줄어들어 있고, 여러 가지 변수들이 많아서…."]
배터리 업체들은 생산 속도 조절, 경비 절감 등 일단 '살아남기' 전략에 들어갔습니다.
[황경인/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 "세제지원이라든가 R&D(연구개발) 이런 쪽에 있어서 정부가 지원을 좀 더 많이 해 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변수가 될 미국과의 관세 협상도 갈 길이 먼데다, 각종 지원 법안 논의도 대선을 앞두고 거의 멈춘 상탭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이근희 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에 1등 뺏긴 K-배터리…‘내우외환’에 지원도 ‘멈춤’
-
- 입력 2025-05-21 21:21:59
- 수정2025-05-21 22:03:38

[앵커]
중국 CATL의 성장세는 무섭습니다.
중국을 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도 지난해 한국 업체를 꺾고 1위로 올라섰고요.
올해는 점유율을 더 높였습니다.
CATL만이 아닙니다.
다른 중국 배터리 업체들도 10위 권 안에 대거 이름을 올렸습니다.
그럼 한국 배터리 상황은 어떨까요?
3년 전만 해도 세계 시장 점유율의 절반을 넘게 차지했던 우리 배터리 3사.
지금은 40%로 점유율이 내려앉았고, 올해부터는 중국 업체들에 추월당했습니다.
잘나가던 K배터리, 왜 이렇게 된 걸까요.
부진 원인은 뭐고 대책은 없는지 살펴봤습니다.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발 빠르게 미국 투자를 진행하며 시장 선점을 노렸던 우리 배터리 업체들.
가동 중인 미국 공장만 6곳, 10곳을 추가 건설 중입니다.
하지만 친환경 정책을 꺼리는 트럼프 정부 등장에 발목이 잡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1월 : "그린 뉴딜(친환경 산업정책)을 종료하고, 전기차 의무화를 폐지해 자동차 산업을 구하고…."]
미국 정부에서 받던 보조금은 없어질 분위기고, GM 등 미국 자동차 업체도 전기차에서 손을 떼며 수출길도 막히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개척하다시피 한 유럽 시장 상황도 녹록지 않습니다.
미국에선 수출이 막힌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가성비'를 무기로 공격적 유럽 투자에 나선 겁니다.
3년 새 유럽 시장에서 중국산 점유율이 3배 가까이 느는 동안, 우리 배터리 점유율은 거의 반토막이 났습니다.
안 그래도 전기차 수요가 정체되며 위축된 배터리 시장.
이러다 보니 올 1분기 공장 가동률은 배터리 3사 모두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실적도 대부분 적자.
유일하게 흑자를 본 LG에너지솔루션도 미국 정부 보조금을 빼면 적자입니다.
[김동명/LG에너지솔루션 대표/지난 3월 : "저희가 지금 준비를 잘해야 하는 시간인 것 같아요. 수요가 좀 줄어들어 있고, 여러 가지 변수들이 많아서…."]
배터리 업체들은 생산 속도 조절, 경비 절감 등 일단 '살아남기' 전략에 들어갔습니다.
[황경인/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 "세제지원이라든가 R&D(연구개발) 이런 쪽에 있어서 정부가 지원을 좀 더 많이 해 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변수가 될 미국과의 관세 협상도 갈 길이 먼데다, 각종 지원 법안 논의도 대선을 앞두고 거의 멈춘 상탭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이근희 김지혜
중국 CATL의 성장세는 무섭습니다.
중국을 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도 지난해 한국 업체를 꺾고 1위로 올라섰고요.
올해는 점유율을 더 높였습니다.
CATL만이 아닙니다.
다른 중국 배터리 업체들도 10위 권 안에 대거 이름을 올렸습니다.
그럼 한국 배터리 상황은 어떨까요?
3년 전만 해도 세계 시장 점유율의 절반을 넘게 차지했던 우리 배터리 3사.
지금은 40%로 점유율이 내려앉았고, 올해부터는 중국 업체들에 추월당했습니다.
잘나가던 K배터리, 왜 이렇게 된 걸까요.
부진 원인은 뭐고 대책은 없는지 살펴봤습니다.
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발 빠르게 미국 투자를 진행하며 시장 선점을 노렸던 우리 배터리 업체들.
가동 중인 미국 공장만 6곳, 10곳을 추가 건설 중입니다.
하지만 친환경 정책을 꺼리는 트럼프 정부 등장에 발목이 잡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1월 : "그린 뉴딜(친환경 산업정책)을 종료하고, 전기차 의무화를 폐지해 자동차 산업을 구하고…."]
미국 정부에서 받던 보조금은 없어질 분위기고, GM 등 미국 자동차 업체도 전기차에서 손을 떼며 수출길도 막히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개척하다시피 한 유럽 시장 상황도 녹록지 않습니다.
미국에선 수출이 막힌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가성비'를 무기로 공격적 유럽 투자에 나선 겁니다.
3년 새 유럽 시장에서 중국산 점유율이 3배 가까이 느는 동안, 우리 배터리 점유율은 거의 반토막이 났습니다.
안 그래도 전기차 수요가 정체되며 위축된 배터리 시장.
이러다 보니 올 1분기 공장 가동률은 배터리 3사 모두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실적도 대부분 적자.
유일하게 흑자를 본 LG에너지솔루션도 미국 정부 보조금을 빼면 적자입니다.
[김동명/LG에너지솔루션 대표/지난 3월 : "저희가 지금 준비를 잘해야 하는 시간인 것 같아요. 수요가 좀 줄어들어 있고, 여러 가지 변수들이 많아서…."]
배터리 업체들은 생산 속도 조절, 경비 절감 등 일단 '살아남기' 전략에 들어갔습니다.
[황경인/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 "세제지원이라든가 R&D(연구개발) 이런 쪽에 있어서 정부가 지원을 좀 더 많이 해 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변수가 될 미국과의 관세 협상도 갈 길이 먼데다, 각종 지원 법안 논의도 대선을 앞두고 거의 멈춘 상탭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권혜미/그래픽:이근희 김지혜
-
-
정재우 기자 jjw@kbs.co.kr
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