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이슈] “21세기에 보릿고개?”…일본서 쌀값 2배 되자 벌어진 일

입력 2025.05.22 (15:25) 수정 2025.05.22 (15: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의 쌀값 폭등 사태가 결국 책임자 경질로까지 이어졌습니다.

쌀 수급의 총책임자인 농림수산상이 어처구니없는 실언을 한 까닭인데요.

두 배로 치솟은 쌀값에 지금 일본에서 벌어지고 있는 여러 일들과 파장에 대해, 이랑 기자와 월드이슈에서 짚어보겠습니다.

일본 쌀값이 지난해에 비해 급등했다는 소식, 여러 차례 전해드렸는데, 결국 쌀 수급 책임자가 경질됐군요?

[기자]

네 농림과 수산을 담당하는 장관이 어제 전격 경질됐는데요.

사실 따지고 보면 쌀값이 오른 것에 대한 책임을 졌다기보다는 본인의 '실언' 때문에 자리에서 내려오게 됐습니다.

문제가 된 발언부터 들어보시죠.

[에토 다쿠/농림수산상/지난 18일 : "저도 쌀은 사 본 적이 없습니다. 지지자분들이 많이 가져다주셔서, 내다 팔 정도로 집 창고에 있습니다."]

쌀 가격이 올라서 다들 걱정하는데, 본인은 쌀이 넘친다, 이렇게 자랑으로 들릴 말을 한 건데요.

자민당 행사에서 나온 장관의 황당한 발언에 일본 국민들 분노가 치솟았습니다.

결국 3일 만에 사의를 표했는데, 바로 이시바 총리가 수리하면서 사실상 경질됐습니다.

[앵커]

일본 국민들 분노가 이 정도면 쌀값 때문에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쌀값이 지난해부터 계속 오르고 있는 거죠?

[기자]

네, 지난해와 비교하면 올해 이미 두 배를 넘어섰습니다.

지난달 말까지 17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는데요.

이달 둘째 주 기준 슈퍼마켓에서 쌀 5㎏ 평균 가격은 4,268엔, 우리 돈 약 4만 천 원 정도로 또다시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이 무렵엔 2,000엔 정도였는데요.

우리도 그렇지만 일본도 쌀을 주식으로 먹는데, 값이 두 배가 됐으니 당장 식탁 물가가 비상입니다.

[히로노리 카토/회사원 : "우동이나 소면 같은 면을 사기 시작했습니다. 쌀이 비싸져서요."]

일본인들이 즐겨 먹는 덮밥, 초밥 이런 외식 물가도 오르고 있습니다.

심지어 창업한 지 104년 된 한 도시락 기업은, 창업 이후 처음으로 쌀밥에 보리를 넣기 시작했는데요.

도시락값을 도저히 올릴 수가 없어서 짜낸 고육책입니다.

이런 상황이니 모내기 하기도 전에 못자리 판에 모가 고개를 든 것만 보고도 선계약이 이뤄지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올해 나올 햅쌀을 두고 외식업체, 식당 등에서 입도선매에 나선 겁니다.

[쌀 구매 담당자 : "위기감을 갖고 가능한 한 일찍 쌀을 모아 고객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공급을 하고 싶습니다."]

[앵커]

이 정도면 차라리 쌀을 수입해 먹는 게 낫겠다는 이야기가 나올 법한데요?

[기자]

네 아닌게 아니라, 일본 여행객들이 한국에 왔다가 쌀을 사 가는 웃지 못할 일까지 생기고 있는데요.

들고 가기에는 무게가 상당한데도 가격이 싸도 너무 싸다는 거죠.

[오사카다 마사코/일본인 관광객 : "일본 쌀하고 비교해서 한국 쌀이 지금 반값 정도가 아닐까 생각해서, 역시 싼 게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한국에 여행 왔다 쌀을 사 간다는 일본인의 SNS 글이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요.

일본 정부도 쌀 공급을 늘려보고자, 한국 쌀, 미국 쌀 가리지 않고 수입하고 있어요.

1kg당 3천 원 넘는 관세가 붙어도 현재는 일본산보다는 싸기 때문인데요.

35년 만에 일본으로 수출된 한국 쌀은 특히 인기입니다.

지난달 2톤, 이달 들어 10톤 등 두 차례 수출했는데, 금세 동이 났습니다.

[앵커]

그런데 일본 쌀값이 대체 왜 이렇게 오르는 건가요?

[기자]

네 쌀값 급등세의 중심엔 일본 정부의 '쌀 생산 조정 정책'이 있습니다.

70년대부터 일본은 쌀 소비를 예측하고 인위적으로 쌀 공급을 조절해 왔는데요.

하지만 수요와 공급을 지나치게 빠듯하게 맞춰놓은 탓에 작은 충격에도 시스템 전체가 흔들리는 구조가 됐습니다.

대표적인 게 지난해 일본에 닥친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인데요.

이상 기후로 주요 쌀 생산지인 홋카이도와 도호쿠 지방에서 수확량이 크게 줄었습니다.

수요는 여전한데 공급은 줄어드니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게 됐고요.

여기에 미리 사두자는 심리까지 발동하면서 계속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앵커]

역시 수요와 공급의 차이가 문제인 건데, 이건, 쌀 재배에 시간이 걸리니 당장은 해결할 수 없잖아요?

일본 정부, 대책은 있는 건가요?

[기자]

일본 정부, 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는 있습니다.

쌀 수입도 하고 지난달부터 정부 비축미 31만 톤을 긴급 방출했는데요.

문제는 소비자들이 아직 이 쌀을 구경도 못하고 있습니다.

먼저 방출한 21만 톤에서 10% 정도만 시중에 유통됐기 때문인데요.

비축한 쌀이 전국 곳곳에 저장돼 있어서 이걸 일단 모아야 하고, 도정 작업도 해야 하고, 그러는데 시간이 걸리면서 유통이 원활하지 않은 겁니다.

더 큰 문제는 장기적으로 쌀 공급이 계속 줄면서 쌀값 급등이 올해만 벌어지는 일이 아닐 수 있다는 건데요.

이미 일본 농가 평균 연령이 60세를 넘겼고, 경작을 포기하는 면적도 늘고 있습니다.

여기에 기후변화로 쌀 생산도 한 해가 다르게 불안정해지고 있습니다.

영상편집:구자람 김주은/자료조사:이장미/그래픽제작: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드 이슈] “21세기에 보릿고개?”…일본서 쌀값 2배 되자 벌어진 일
    • 입력 2025-05-22 15:25:49
    • 수정2025-05-22 15:33:26
    월드24
[앵커]

일본의 쌀값 폭등 사태가 결국 책임자 경질로까지 이어졌습니다.

쌀 수급의 총책임자인 농림수산상이 어처구니없는 실언을 한 까닭인데요.

두 배로 치솟은 쌀값에 지금 일본에서 벌어지고 있는 여러 일들과 파장에 대해, 이랑 기자와 월드이슈에서 짚어보겠습니다.

일본 쌀값이 지난해에 비해 급등했다는 소식, 여러 차례 전해드렸는데, 결국 쌀 수급 책임자가 경질됐군요?

[기자]

네 농림과 수산을 담당하는 장관이 어제 전격 경질됐는데요.

사실 따지고 보면 쌀값이 오른 것에 대한 책임을 졌다기보다는 본인의 '실언' 때문에 자리에서 내려오게 됐습니다.

문제가 된 발언부터 들어보시죠.

[에토 다쿠/농림수산상/지난 18일 : "저도 쌀은 사 본 적이 없습니다. 지지자분들이 많이 가져다주셔서, 내다 팔 정도로 집 창고에 있습니다."]

쌀 가격이 올라서 다들 걱정하는데, 본인은 쌀이 넘친다, 이렇게 자랑으로 들릴 말을 한 건데요.

자민당 행사에서 나온 장관의 황당한 발언에 일본 국민들 분노가 치솟았습니다.

결국 3일 만에 사의를 표했는데, 바로 이시바 총리가 수리하면서 사실상 경질됐습니다.

[앵커]

일본 국민들 분노가 이 정도면 쌀값 때문에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쌀값이 지난해부터 계속 오르고 있는 거죠?

[기자]

네, 지난해와 비교하면 올해 이미 두 배를 넘어섰습니다.

지난달 말까지 17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는데요.

이달 둘째 주 기준 슈퍼마켓에서 쌀 5㎏ 평균 가격은 4,268엔, 우리 돈 약 4만 천 원 정도로 또다시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이 무렵엔 2,000엔 정도였는데요.

우리도 그렇지만 일본도 쌀을 주식으로 먹는데, 값이 두 배가 됐으니 당장 식탁 물가가 비상입니다.

[히로노리 카토/회사원 : "우동이나 소면 같은 면을 사기 시작했습니다. 쌀이 비싸져서요."]

일본인들이 즐겨 먹는 덮밥, 초밥 이런 외식 물가도 오르고 있습니다.

심지어 창업한 지 104년 된 한 도시락 기업은, 창업 이후 처음으로 쌀밥에 보리를 넣기 시작했는데요.

도시락값을 도저히 올릴 수가 없어서 짜낸 고육책입니다.

이런 상황이니 모내기 하기도 전에 못자리 판에 모가 고개를 든 것만 보고도 선계약이 이뤄지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올해 나올 햅쌀을 두고 외식업체, 식당 등에서 입도선매에 나선 겁니다.

[쌀 구매 담당자 : "위기감을 갖고 가능한 한 일찍 쌀을 모아 고객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공급을 하고 싶습니다."]

[앵커]

이 정도면 차라리 쌀을 수입해 먹는 게 낫겠다는 이야기가 나올 법한데요?

[기자]

네 아닌게 아니라, 일본 여행객들이 한국에 왔다가 쌀을 사 가는 웃지 못할 일까지 생기고 있는데요.

들고 가기에는 무게가 상당한데도 가격이 싸도 너무 싸다는 거죠.

[오사카다 마사코/일본인 관광객 : "일본 쌀하고 비교해서 한국 쌀이 지금 반값 정도가 아닐까 생각해서, 역시 싼 게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한국에 여행 왔다 쌀을 사 간다는 일본인의 SNS 글이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요.

일본 정부도 쌀 공급을 늘려보고자, 한국 쌀, 미국 쌀 가리지 않고 수입하고 있어요.

1kg당 3천 원 넘는 관세가 붙어도 현재는 일본산보다는 싸기 때문인데요.

35년 만에 일본으로 수출된 한국 쌀은 특히 인기입니다.

지난달 2톤, 이달 들어 10톤 등 두 차례 수출했는데, 금세 동이 났습니다.

[앵커]

그런데 일본 쌀값이 대체 왜 이렇게 오르는 건가요?

[기자]

네 쌀값 급등세의 중심엔 일본 정부의 '쌀 생산 조정 정책'이 있습니다.

70년대부터 일본은 쌀 소비를 예측하고 인위적으로 쌀 공급을 조절해 왔는데요.

하지만 수요와 공급을 지나치게 빠듯하게 맞춰놓은 탓에 작은 충격에도 시스템 전체가 흔들리는 구조가 됐습니다.

대표적인 게 지난해 일본에 닥친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인데요.

이상 기후로 주요 쌀 생산지인 홋카이도와 도호쿠 지방에서 수확량이 크게 줄었습니다.

수요는 여전한데 공급은 줄어드니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게 됐고요.

여기에 미리 사두자는 심리까지 발동하면서 계속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앵커]

역시 수요와 공급의 차이가 문제인 건데, 이건, 쌀 재배에 시간이 걸리니 당장은 해결할 수 없잖아요?

일본 정부, 대책은 있는 건가요?

[기자]

일본 정부, 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는 있습니다.

쌀 수입도 하고 지난달부터 정부 비축미 31만 톤을 긴급 방출했는데요.

문제는 소비자들이 아직 이 쌀을 구경도 못하고 있습니다.

먼저 방출한 21만 톤에서 10% 정도만 시중에 유통됐기 때문인데요.

비축한 쌀이 전국 곳곳에 저장돼 있어서 이걸 일단 모아야 하고, 도정 작업도 해야 하고, 그러는데 시간이 걸리면서 유통이 원활하지 않은 겁니다.

더 큰 문제는 장기적으로 쌀 공급이 계속 줄면서 쌀값 급등이 올해만 벌어지는 일이 아닐 수 있다는 건데요.

이미 일본 농가 평균 연령이 60세를 넘겼고, 경작을 포기하는 면적도 늘고 있습니다.

여기에 기후변화로 쌀 생산도 한 해가 다르게 불안정해지고 있습니다.

영상편집:구자람 김주은/자료조사:이장미/그래픽제작:여현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