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형이 14명 불러주며 B-1 벙커 이송 지시” [지금뉴스]
입력 2025.05.28 (06:00)
수정 2025.05.28 (06: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2·3 비상계엄' 당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직속 부하에게 정치인 등 주요 인사 14명 명단을 불러주면서 이들을 잡아 B-1 벙커로 이송하라고 지시했다는 법정 증언이 나왔습니다.
전 방첩사 수사단장 김대우 준장이 중앙지역군사법원에 증인으로 출석해 한 말입니다.
김 준장은 "여 전 사령관이 '장관님으로부터 명단을 받았다, 받아적으라'며 한명 한명 불러줬다"면서 "그 인원들을 잡아 구금시설, 수도방위사령부 B-1 벙커로 이송해야 한다고 지시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여 전 사령관이 불러준 명단은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방송인 김어준, 김명수 전 대법원장 등 14명입니다.
김 준장은 "이들에 대한 혐의가 무엇인지 물어보니 '혐의는 모른다'고 하셨다"며 "혐의점은 나중에 구체적으로 내려올 것이라 생각했는데, 명단 자체가 정치인들이다보니 처음 불러줬을 때부터 이상한 느낌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여 전 사령관이 '체포'라는 단어를 쓴 적 없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선 "계엄 선포시 합수단의 임무는 계엄 사범을 체포하는 것"이라며 "사령관은 '잡아서 이송시키라'고 했고, '체포해서 이송시키라'는 의미로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여인형 전 사령관이 계엄 해제 이후 '체포 명단'의 존재 자체를 은폐하려 시도한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김 준장은 "여 전 사령관이 내게 명단이 있냐고 물었고, 없앨 수 없냐고 했다"며 "출동 당시 수사관들에게 명단을 줬기 때문에 다 알고 있다, 숨길 수 없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전 방첩사 수사단장 김대우 준장이 중앙지역군사법원에 증인으로 출석해 한 말입니다.
김 준장은 "여 전 사령관이 '장관님으로부터 명단을 받았다, 받아적으라'며 한명 한명 불러줬다"면서 "그 인원들을 잡아 구금시설, 수도방위사령부 B-1 벙커로 이송해야 한다고 지시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여 전 사령관이 불러준 명단은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방송인 김어준, 김명수 전 대법원장 등 14명입니다.
김 준장은 "이들에 대한 혐의가 무엇인지 물어보니 '혐의는 모른다'고 하셨다"며 "혐의점은 나중에 구체적으로 내려올 것이라 생각했는데, 명단 자체가 정치인들이다보니 처음 불러줬을 때부터 이상한 느낌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여 전 사령관이 '체포'라는 단어를 쓴 적 없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선 "계엄 선포시 합수단의 임무는 계엄 사범을 체포하는 것"이라며 "사령관은 '잡아서 이송시키라'고 했고, '체포해서 이송시키라'는 의미로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여인형 전 사령관이 계엄 해제 이후 '체포 명단'의 존재 자체를 은폐하려 시도한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김 준장은 "여 전 사령관이 내게 명단이 있냐고 물었고, 없앨 수 없냐고 했다"며 "출동 당시 수사관들에게 명단을 줬기 때문에 다 알고 있다, 숨길 수 없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인형이 14명 불러주며 B-1 벙커 이송 지시” [지금뉴스]
-
- 입력 2025-05-28 06:00:59
- 수정2025-05-28 06:02:14

'12·3 비상계엄' 당시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직속 부하에게 정치인 등 주요 인사 14명 명단을 불러주면서 이들을 잡아 B-1 벙커로 이송하라고 지시했다는 법정 증언이 나왔습니다.
전 방첩사 수사단장 김대우 준장이 중앙지역군사법원에 증인으로 출석해 한 말입니다.
김 준장은 "여 전 사령관이 '장관님으로부터 명단을 받았다, 받아적으라'며 한명 한명 불러줬다"면서 "그 인원들을 잡아 구금시설, 수도방위사령부 B-1 벙커로 이송해야 한다고 지시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여 전 사령관이 불러준 명단은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방송인 김어준, 김명수 전 대법원장 등 14명입니다.
김 준장은 "이들에 대한 혐의가 무엇인지 물어보니 '혐의는 모른다'고 하셨다"며 "혐의점은 나중에 구체적으로 내려올 것이라 생각했는데, 명단 자체가 정치인들이다보니 처음 불러줬을 때부터 이상한 느낌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여 전 사령관이 '체포'라는 단어를 쓴 적 없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선 "계엄 선포시 합수단의 임무는 계엄 사범을 체포하는 것"이라며 "사령관은 '잡아서 이송시키라'고 했고, '체포해서 이송시키라'는 의미로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여인형 전 사령관이 계엄 해제 이후 '체포 명단'의 존재 자체를 은폐하려 시도한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김 준장은 "여 전 사령관이 내게 명단이 있냐고 물었고, 없앨 수 없냐고 했다"며 "출동 당시 수사관들에게 명단을 줬기 때문에 다 알고 있다, 숨길 수 없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전 방첩사 수사단장 김대우 준장이 중앙지역군사법원에 증인으로 출석해 한 말입니다.
김 준장은 "여 전 사령관이 '장관님으로부터 명단을 받았다, 받아적으라'며 한명 한명 불러줬다"면서 "그 인원들을 잡아 구금시설, 수도방위사령부 B-1 벙커로 이송해야 한다고 지시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여 전 사령관이 불러준 명단은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방송인 김어준, 김명수 전 대법원장 등 14명입니다.
김 준장은 "이들에 대한 혐의가 무엇인지 물어보니 '혐의는 모른다'고 하셨다"며 "혐의점은 나중에 구체적으로 내려올 것이라 생각했는데, 명단 자체가 정치인들이다보니 처음 불러줬을 때부터 이상한 느낌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여 전 사령관이 '체포'라는 단어를 쓴 적 없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선 "계엄 선포시 합수단의 임무는 계엄 사범을 체포하는 것"이라며 "사령관은 '잡아서 이송시키라'고 했고, '체포해서 이송시키라'는 의미로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여인형 전 사령관이 계엄 해제 이후 '체포 명단'의 존재 자체를 은폐하려 시도한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김 준장은 "여 전 사령관이 내게 명단이 있냐고 물었고, 없앨 수 없냐고 했다"며 "출동 당시 수사관들에게 명단을 줬기 때문에 다 알고 있다, 숨길 수 없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
-
신선민 기자 freshmin@kbs.co.kr
신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