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의 화성우주선 스타십, 9번째 지구궤도 시험 비행 실패

입력 2025.05.28 (10:57) 수정 2025.05.28 (11: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화성 탐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대형 우주선 스타십(Starship)의 9번째 지구궤도 시험 비행이 실패로 끝났습니다.

스페이스X는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미국 중부 시각 27일 오후 6시 36분 텍사스주 보카 치카 해변의 스타베이스 기지에서 지구 저궤도를 향해 스타십을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 직전, 카운트다운 40초를 남겨두고 진행이 중단됐으며 스타십은 예정된 시각보다 6분가량 늦게 발사됐습니다.

발사 약 3분 만에 스타십 발사체의 1단부인 로켓 부스터 '슈퍼헤비'와 2단부 우주선이 순조롭게 분리됐습니다.

슈퍼헤비는 미국만(옛 멕시코만) 해상으로 낙하하면서, 엔진이 일부만 재점화돼 급격히 하강했고 기체는 분해됐습니다.

스페이스X는 이 로켓이 지난 7차 시험비행에서 온전히 회수된 로켓을 재사용한 것으로, 기체 손실이 어느 정도 예견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스타십 시험비행에서 이미 한 번 쓴 로켓을 재사용하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2번째 발사에서 2단 우주선을 궤도로 밀어 올리는 역할은 제대로 했기에 스페이스X 측은 "놀라운 성과"라고 자평했습니다.

슈퍼헤비와 분리된 뒤 궤도로 진입한 우주선은 원래 약 67분간의 비행 후 인도양 해상에 낙하할 예정이었으나, 비행 약 30분 만에 자세 제어 능력을 상실하고 기체가 회전하기 시작했습니다.

비행 과정 생중계를 진행한 스페이스X 엔지니어는 "스타십 내 연료 탱크 시스템 일부에서 누출이 발생했다"며 "(계획대로) 통제된 (대기권) 재진입 가능성을 낮춘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우주선은 제어되지 않은 상태로 대기권에 진입했고, 발사 시점 기준 약 50분 만에 교신이 끊겼습니다.

우주선이 대기권에 재진입할 때 온도는 섭씨 1,400도 정도로 치솟기 때문에 통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기로 인해 기체가 분해됐을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스페이스X는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스타십은 예정되지 않은 빠른 분해를 경험했다"며 "우리 팀은 계속 데이터를 검토하고 다음 비행 테스트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머스크의 화성우주선 스타십, 9번째 지구궤도 시험 비행 실패
    • 입력 2025-05-28 10:57:09
    • 수정2025-05-28 11:01:39
    국제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화성 탐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대형 우주선 스타십(Starship)의 9번째 지구궤도 시험 비행이 실패로 끝났습니다.

스페이스X는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미국 중부 시각 27일 오후 6시 36분 텍사스주 보카 치카 해변의 스타베이스 기지에서 지구 저궤도를 향해 스타십을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 직전, 카운트다운 40초를 남겨두고 진행이 중단됐으며 스타십은 예정된 시각보다 6분가량 늦게 발사됐습니다.

발사 약 3분 만에 스타십 발사체의 1단부인 로켓 부스터 '슈퍼헤비'와 2단부 우주선이 순조롭게 분리됐습니다.

슈퍼헤비는 미국만(옛 멕시코만) 해상으로 낙하하면서, 엔진이 일부만 재점화돼 급격히 하강했고 기체는 분해됐습니다.

스페이스X는 이 로켓이 지난 7차 시험비행에서 온전히 회수된 로켓을 재사용한 것으로, 기체 손실이 어느 정도 예견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스타십 시험비행에서 이미 한 번 쓴 로켓을 재사용하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2번째 발사에서 2단 우주선을 궤도로 밀어 올리는 역할은 제대로 했기에 스페이스X 측은 "놀라운 성과"라고 자평했습니다.

슈퍼헤비와 분리된 뒤 궤도로 진입한 우주선은 원래 약 67분간의 비행 후 인도양 해상에 낙하할 예정이었으나, 비행 약 30분 만에 자세 제어 능력을 상실하고 기체가 회전하기 시작했습니다.

비행 과정 생중계를 진행한 스페이스X 엔지니어는 "스타십 내 연료 탱크 시스템 일부에서 누출이 발생했다"며 "(계획대로) 통제된 (대기권) 재진입 가능성을 낮춘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우주선은 제어되지 않은 상태로 대기권에 진입했고, 발사 시점 기준 약 50분 만에 교신이 끊겼습니다.

우주선이 대기권에 재진입할 때 온도는 섭씨 1,400도 정도로 치솟기 때문에 통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기로 인해 기체가 분해됐을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스페이스X는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스타십은 예정되지 않은 빠른 분해를 경험했다"며 "우리 팀은 계속 데이터를 검토하고 다음 비행 테스트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