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MO “온난화 꺾일 기미 없다”…5년 내 ‘2도’↑ 가능성도

입력 2025.05.28 (14:01) 수정 2025.05.29 (17: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화 이전 대비 전 지구 평균 온도 편차. 자료 : WMO산업화 이전 대비 전 지구 평균 온도 편차. 자료 : WMO

지난해 관측 이후 가장 더운 한 해를 보낸 데 이어 앞으로도 온난화 추세가 지속될 거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오늘 발표한 '전 지구 1년~10년 기후 업데이트 보고서'(GADCU)에서 "인류는 최근 가장 더운 10년을 경험했으며 향후 몇 년간 지구의 온도가 기록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매년 WMO에서 지정한 기후 예측센터와 우리나라 기상청을 포함한 기관들의 전망을 영국 기상청이 종합해 발간합니다.

■향후 5년 사이 적어도 한 해는 2024년 기록 뛰어넘는다

지난해 전 지구 기온 편차. 자료 : 버클리어스(berkeleyearth)지난해 전 지구 기온 편차. 자료 : 버클리어스(berkeleyearth)

지난해는 관측 175년 역사에서 가장 더운 해였습니다.지구의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1.55도' 높았습니다. 여기서 평균 온도는 지표면에서 1.2~2m 사이의 온도를 뜻합니다. 그런데 이 기록도 곧 깨질 것으로 보입니다. WMO는 향후 5년(2025~2029년) 사이 적어도 한 해는 지난해 기온을 초과할 확률이 80%라고 내다봤습니다.

2025~2029년까지 매년 지구의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1.2~1.9도 높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가능성이 1%로 낮기는 하지만 향후 5년 가운데 적어도 한 해는 '2도 온난화'가 찾아올 수 있다는 분석도 처음 나왔습니다.

2015년 전 세계 정부는 파리협약을 통해 지구의 온도 상승폭을 2100년까지 '2도'로 제한하기로 하고, 우선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제한을 목표로 나아가자고 합의했습니다. '2도 온난화'의 경우 해수면 상승 등 극심한 재난을 불러와 인류의 생존이 심각하게 위협할 거란 예측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5년 평균 '1.5도' 돌파 가능성 47%→70%로 급상승

앞으로 5년(2025~2029년) 사이에 한 해가 아니라 전체의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도를 초과할 확률도 70%에 달한다고 WMO는 추산했습니다. 2023년 보고서에선 이 확률이 32%, 지난해 보고서에선 47%였는데 올해 들어 급상승한 겁니다.

코 배럿 WMO 사무차장. 사진 : WMO코 배럿 WMO 사무차장. 사진 : WMO

코 배럿 WMO 사무차장은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폭이 일시적으로 1.5도를 초과하는 해는 더 빈번하게 찾아올 것"이라며 "이는 경제와 일상생활, 생태계, 지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의 증가를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온난화를 막으려면 탄소 감축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합니다. 오는 11월 브라질 벨렘에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개최됩니다. 개막 전까지 전 세계 정부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제출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탄소 감축 이행 상황에 대한 점검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WMO “온난화 꺾일 기미 없다”…5년 내 ‘2도’↑ 가능성도
    • 입력 2025-05-28 14:01:00
    • 수정2025-05-29 17:29:46
    심층K
산업화 이전 대비 전 지구 평균 온도 편차. 자료 : WMO
지난해 관측 이후 가장 더운 한 해를 보낸 데 이어 앞으로도 온난화 추세가 지속될 거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오늘 발표한 '전 지구 1년~10년 기후 업데이트 보고서'(GADCU)에서 "인류는 최근 가장 더운 10년을 경험했으며 향후 몇 년간 지구의 온도가 기록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매년 WMO에서 지정한 기후 예측센터와 우리나라 기상청을 포함한 기관들의 전망을 영국 기상청이 종합해 발간합니다.

■향후 5년 사이 적어도 한 해는 2024년 기록 뛰어넘는다

지난해 전 지구 기온 편차. 자료 : 버클리어스(berkeleyearth)
지난해는 관측 175년 역사에서 가장 더운 해였습니다.지구의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1.55도' 높았습니다. 여기서 평균 온도는 지표면에서 1.2~2m 사이의 온도를 뜻합니다. 그런데 이 기록도 곧 깨질 것으로 보입니다. WMO는 향후 5년(2025~2029년) 사이 적어도 한 해는 지난해 기온을 초과할 확률이 80%라고 내다봤습니다.

2025~2029년까지 매년 지구의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1.2~1.9도 높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가능성이 1%로 낮기는 하지만 향후 5년 가운데 적어도 한 해는 '2도 온난화'가 찾아올 수 있다는 분석도 처음 나왔습니다.

2015년 전 세계 정부는 파리협약을 통해 지구의 온도 상승폭을 2100년까지 '2도'로 제한하기로 하고, 우선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제한을 목표로 나아가자고 합의했습니다. '2도 온난화'의 경우 해수면 상승 등 극심한 재난을 불러와 인류의 생존이 심각하게 위협할 거란 예측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5년 평균 '1.5도' 돌파 가능성 47%→70%로 급상승

앞으로 5년(2025~2029년) 사이에 한 해가 아니라 전체의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도를 초과할 확률도 70%에 달한다고 WMO는 추산했습니다. 2023년 보고서에선 이 확률이 32%, 지난해 보고서에선 47%였는데 올해 들어 급상승한 겁니다.

코 배럿 WMO 사무차장. 사진 : WMO
코 배럿 WMO 사무차장은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폭이 일시적으로 1.5도를 초과하는 해는 더 빈번하게 찾아올 것"이라며 "이는 경제와 일상생활, 생태계, 지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의 증가를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온난화를 막으려면 탄소 감축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합니다. 오는 11월 브라질 벨렘에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개최됩니다. 개막 전까지 전 세계 정부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제출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탄소 감축 이행 상황에 대한 점검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