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보다] 두 얼굴의 꽃사슴 外

입력 2025.06.01 (22:54) 수정 2025.06.02 (16: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 보다 60회 I] 두 얼굴의 꽃사슴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밤비'의 주인공. 큰 눈과 쫑긋한 귀, 몸에 선명한 하얀 점무늬. 이름에 ‘꽃’이 들어가는 동물, 꽃사슴 얘기다. 영화 밤비는 숲속 동물들이 아기 꽃사슴의 탄생 소식을 듣고 달려가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그만큼 동서고금을 막론한 ‘호감 캐릭터’다. 그런데 정부가 최근 꽃사슴을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하기로 했다. 일부 섬과 국립공원 등에서 개체 수가 급증하며 생태계를 황폐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 이상 숲속 동물 친구들은 꽃사슴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생사의 기로에 놓인 꽃사슴, 무슨 문제가 있었고 해결책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꽃사슴 #타이완꽃사슴 #안마도 #소쿠리섬 #유해야생동물 #환경부 #국립공원 #밤비 #사슴 #생태계 #먹이사슬 #굴업도 #난지도 #노루 #고라니 #한라산

취재:석민수
촬영:강우용
편집:김기곤
그래픽:장수현
리서처:한혜민
조연출:심은별 이민철

[더 보다 60회 Ⅱ] 모두를 위한 학교 - 분리된 아이들

저출생 여파로 학령 인구가 꾸준히 줄고 있지만 장애 학생 등 특수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이른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빠르게 늘고 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은 어떤 환경에서 공부하고 있을까? 4분의 3가량은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 학교에서 비장애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듣고 있다. 어느 학교에서나 장애 정도나 유형에 따른 차별 없이 또래와 함께 교육받을 수 있는, 이른바 '통합교육'을 위해. 그렇다면 우리 교실은 통합교육을 하기 위한 충분한 준비가 돼 있을까? 여전히 해외 통합교육 선진국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 비율. 하지만 우리 교실에서는 이미 수많은 갈등과 문제가 속출하며 "통합교육은 실패했다"는 비관적인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포용하며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기 위한 통합교육을 위해 이제라도 우리가 준비해야 하는 건 무엇일까?

#통합교육 #특수교사 #장애학생 #자폐 #발달장애 #주호민 #아동학대 #도전행동 #문제행동 #특수학교 #일반학교 #특수학급 #통합학급 #장애인혐오 #분리 #차별

취재:이규명
촬영:조선기 강우용
영상편집:김태형
그래픽:장수현
리서처:김아연
조연출:심은별 이민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더 보다] 두 얼굴의 꽃사슴 外
    • 입력 2025-06-01 22:54:12
    • 수정2025-06-02 16:22:34
    더 보다
[더 보다 60회 I] 두 얼굴의 꽃사슴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밤비'의 주인공. 큰 눈과 쫑긋한 귀, 몸에 선명한 하얀 점무늬. 이름에 ‘꽃’이 들어가는 동물, 꽃사슴 얘기다. 영화 밤비는 숲속 동물들이 아기 꽃사슴의 탄생 소식을 듣고 달려가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그만큼 동서고금을 막론한 ‘호감 캐릭터’다. 그런데 정부가 최근 꽃사슴을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하기로 했다. 일부 섬과 국립공원 등에서 개체 수가 급증하며 생태계를 황폐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 이상 숲속 동물 친구들은 꽃사슴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생사의 기로에 놓인 꽃사슴, 무슨 문제가 있었고 해결책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꽃사슴 #타이완꽃사슴 #안마도 #소쿠리섬 #유해야생동물 #환경부 #국립공원 #밤비 #사슴 #생태계 #먹이사슬 #굴업도 #난지도 #노루 #고라니 #한라산

취재:석민수
촬영:강우용
편집:김기곤
그래픽:장수현
리서처:한혜민
조연출:심은별 이민철

[더 보다 60회 Ⅱ] 모두를 위한 학교 - 분리된 아이들

저출생 여파로 학령 인구가 꾸준히 줄고 있지만 장애 학생 등 특수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이른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빠르게 늘고 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은 어떤 환경에서 공부하고 있을까? 4분의 3가량은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 학교에서 비장애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듣고 있다. 어느 학교에서나 장애 정도나 유형에 따른 차별 없이 또래와 함께 교육받을 수 있는, 이른바 '통합교육'을 위해. 그렇다면 우리 교실은 통합교육을 하기 위한 충분한 준비가 돼 있을까? 여전히 해외 통합교육 선진국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 비율. 하지만 우리 교실에서는 이미 수많은 갈등과 문제가 속출하며 "통합교육은 실패했다"는 비관적인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포용하며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기 위한 통합교육을 위해 이제라도 우리가 준비해야 하는 건 무엇일까?

#통합교육 #특수교사 #장애학생 #자폐 #발달장애 #주호민 #아동학대 #도전행동 #문제행동 #특수학교 #일반학교 #특수학급 #통합학급 #장애인혐오 #분리 #차별

취재:이규명
촬영:조선기 강우용
영상편집:김태형
그래픽:장수현
리서처:김아연
조연출:심은별 이민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