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현장 가보니…“토양 변해 산사태 취약”

입력 2025.06.19 (07:38) 수정 2025.06.19 (07: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주말부터 남부지방도 본격적인 장마에 접어듭니다.

KBS 울산은 이틀에 걸쳐 산불 피해 지역의 산사태 위험성과 대책을 짚어보는 기획보도를 마련했습니다.

먼저 재난 전문가와 함께 산불 현장을 찾아가 봤습니다.

보도에 김옥천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3월 대형 산불이 발생한 울주군 온양읍의 한 마을.

당시 불길이 민가와 가까운 야산까지 옮겨 붙었습니다.

취재진이 재난 전문가와 함께 산불 현장을 다시 찾아가봤습니다.

죽은 나무가 듬성듬성 남아있고, 산 표면도 검게 타버렸습니다.

산 아래쪽으로 물을 부어봤습니다.

마치 방수가 된 듯 흙에 스며들지 못하고 아래로 흘러내리기만 합니다.

불에 탄 토양의 성질이 바뀌며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산 표면이 검게 그을린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이곳을 파보면, 원래 흙의 색깔이 나옵니다.

토양이 물기를 머금을 수 없는 이런 지형에 강한 비가 내리면 토사 유출은 물론 산사태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뿌리까지 타 버린 나무의 경우 주변 흙을 잡아주는 일종의 '그물 효과'가 없는 것도 문제입니다.

더 많은 양의 토사가 한꺼번에 쏟아져 내릴 수 있는 겁니다.

산불 피해를 본 산림이 산사태에 훨씬 취약한 이유입니다.

[김재정/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반재난실험팀장 : "지반 조건이라든가, 식생의 조건, 그리고 수문학적인 조건이 모두 불리하게 변화가 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같은 강우가 내린다고 하더라도 훨씬 더 위험성이 커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불 피해지의 경우 5년이 지나도 산사태 발생 위험이 일반 산림보다 200배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 현장 가보니…“토양 변해 산사태 취약”
    • 입력 2025-06-19 07:38:22
    • 수정2025-06-19 07:43:47
    뉴스광장(울산)
[앵커]

이번 주말부터 남부지방도 본격적인 장마에 접어듭니다.

KBS 울산은 이틀에 걸쳐 산불 피해 지역의 산사태 위험성과 대책을 짚어보는 기획보도를 마련했습니다.

먼저 재난 전문가와 함께 산불 현장을 찾아가 봤습니다.

보도에 김옥천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3월 대형 산불이 발생한 울주군 온양읍의 한 마을.

당시 불길이 민가와 가까운 야산까지 옮겨 붙었습니다.

취재진이 재난 전문가와 함께 산불 현장을 다시 찾아가봤습니다.

죽은 나무가 듬성듬성 남아있고, 산 표면도 검게 타버렸습니다.

산 아래쪽으로 물을 부어봤습니다.

마치 방수가 된 듯 흙에 스며들지 못하고 아래로 흘러내리기만 합니다.

불에 탄 토양의 성질이 바뀌며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산 표면이 검게 그을린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이곳을 파보면, 원래 흙의 색깔이 나옵니다.

토양이 물기를 머금을 수 없는 이런 지형에 강한 비가 내리면 토사 유출은 물론 산사태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뿌리까지 타 버린 나무의 경우 주변 흙을 잡아주는 일종의 '그물 효과'가 없는 것도 문제입니다.

더 많은 양의 토사가 한꺼번에 쏟아져 내릴 수 있는 겁니다.

산불 피해를 본 산림이 산사태에 훨씬 취약한 이유입니다.

[김재정/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반재난실험팀장 : "지반 조건이라든가, 식생의 조건, 그리고 수문학적인 조건이 모두 불리하게 변화가 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같은 강우가 내린다고 하더라도 훨씬 더 위험성이 커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불 피해지의 경우 5년이 지나도 산사태 발생 위험이 일반 산림보다 200배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