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대 마지막 도전…울산과학대 전략은?

입력 2025.06.19 (22:04) 수정 2025.06.19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 마지막인 '글로컬 대학'에 도전하는 울산과학대가 추가 전략을 제시하며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신 실습이 가능한 '설계 센터'를 구축하고, 폴리텍대학과도 연합하겠다는 건데, 변수도 적지 않습니다.

보도에 박영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남 진주의 연암공과대와 연합해 정부의 '글로컬 대학' 선정에 도전 중인 울산과학대, 지난해 본 지정에 탈락한 뒤 올해 재도전에 나서 지난달 예비 지정 18곳에 포함됐습니다.

오는 9월 최종 선정을 앞두고 추가 전략을 제시하며 승부수를 띄웠습니다.

첫 방안은 선박 설계 분야의 최고 기술력을 가진 HD현대이엔티와 협력해 대학 안에 '개방형 설계센터'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실습을 병행하는 생산공장인 '심 팩토리' 구현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동남권의 한국폴리텍대학과 특별연합을 구성해 캠퍼스를 확장하고, 동남권 제조업 생태계의 동반 성장과 혁신을 꾀한다는 전략입니다.

[조홍래/울산과학대 총장 : "(동남권에는) 제조업의 34%라는 큰 제조업 벨트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전문대로서 특별한 브랜드화 된 대학이 없습니다. 연합을 통한 브랜드 대학으로서의 그런 선정이 꼭 필요하다…."]

그러나 걸림돌도 적지 않습니다.

우선 지역별 형평성 문제입니다.

이미 지정된 대학의 분포를 따져 지역 안배를 고려하겠다는 게 교육부의 입장인데, 울산은 2년 전 울산대가 선정된 데다 경상권에 비해 호남, 충청, 제주권의 비율이 적은 것으로 지적됩니다.

또 민주당으로의 정권 교체에 따라 단체장이 국민의힘인 울산은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글로컬 대학'은 비수도권 대학과 지자체가 학령 인구 급감에 공동으로 대응하는 모델을 만드는 사업입니다.

선정되면 5년 동안 최대 1천억 원의 예산과 규제 특례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올해 마지막으로 10곳을 선정합니다.

KBS 뉴스 박영하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글로컬대 마지막 도전…울산과학대 전략은?
    • 입력 2025-06-19 22:04:48
    • 수정2025-06-19 22:09:11
    뉴스9(울산)
[앵커]

올해 마지막인 '글로컬 대학'에 도전하는 울산과학대가 추가 전략을 제시하며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신 실습이 가능한 '설계 센터'를 구축하고, 폴리텍대학과도 연합하겠다는 건데, 변수도 적지 않습니다.

보도에 박영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남 진주의 연암공과대와 연합해 정부의 '글로컬 대학' 선정에 도전 중인 울산과학대, 지난해 본 지정에 탈락한 뒤 올해 재도전에 나서 지난달 예비 지정 18곳에 포함됐습니다.

오는 9월 최종 선정을 앞두고 추가 전략을 제시하며 승부수를 띄웠습니다.

첫 방안은 선박 설계 분야의 최고 기술력을 가진 HD현대이엔티와 협력해 대학 안에 '개방형 설계센터'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실습을 병행하는 생산공장인 '심 팩토리' 구현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동남권의 한국폴리텍대학과 특별연합을 구성해 캠퍼스를 확장하고, 동남권 제조업 생태계의 동반 성장과 혁신을 꾀한다는 전략입니다.

[조홍래/울산과학대 총장 : "(동남권에는) 제조업의 34%라는 큰 제조업 벨트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전문대로서 특별한 브랜드화 된 대학이 없습니다. 연합을 통한 브랜드 대학으로서의 그런 선정이 꼭 필요하다…."]

그러나 걸림돌도 적지 않습니다.

우선 지역별 형평성 문제입니다.

이미 지정된 대학의 분포를 따져 지역 안배를 고려하겠다는 게 교육부의 입장인데, 울산은 2년 전 울산대가 선정된 데다 경상권에 비해 호남, 충청, 제주권의 비율이 적은 것으로 지적됩니다.

또 민주당으로의 정권 교체에 따라 단체장이 국민의힘인 울산은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글로컬 대학'은 비수도권 대학과 지자체가 학령 인구 급감에 공동으로 대응하는 모델을 만드는 사업입니다.

선정되면 5년 동안 최대 1천억 원의 예산과 규제 특례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올해 마지막으로 10곳을 선정합니다.

KBS 뉴스 박영하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