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충격 20배”…위험 지역 대피 먼저

입력 2025.06.20 (09:57) 수정 2025.06.20 (10: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울산도 이번 주부터 장마에 들어가면서 집중호우뿐 아니라 산사태에 대한 걱정이 큽니다.

특히 산불이 난 산림 인접 마을은 산사태 피해가 훨씬 커질 수 있는데요,

대피소를 미리 알아두는 등 철저히 대비하셔야겠습니다.

김옥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벽돌로 지어진 모형 집.

갑자기 밀려든 토사에 형체도 알아볼 수 없게 부서집니다.

집 안에 있던 사람 형태의 마네킹은 쏟아지는 물과 흙에 매몰돼 사라집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진행한 모의 실험으로, 산사태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급격히 쏟아져 내리는 토사로 받는 충격은 거리에 따라서도 크게 달라집니다.

경사면 4곳에 측정 장치를 설치해 토사를 흘러내려 봤습니다.

불과 1m 떨어진 거리인데도 밀려온 토사의 충격량이 20배가량 차이 납니다.

산사태가 발생했을 때 산비탈과 가까울수록 피해가 훨씬 커지는 이유입니다.

실제로 2년 전 집중호우 때 경북 문경과 봉화에선 토사가 산비탈 바로 아래 주택을 덮쳐 모두 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산불이 났던 산림과 인접한 주택가의 경우 같은 양의 비에도 산사태 발생 가능성과 피해 규모가 커질 수 있습니다.

[김재정/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반재난실험팀장 : "선행 강우(토사 유출되지 안 될 정도의 비)를 많이 머금고 있다가 갑자기 붕괴가 되는 경우도 있고요. 하물며 산불이 발생한 데는 더욱더 경각심을 배로 가져야 돼요."]

산림당국은 산불 피해지역에 대해선 약화한 토양 여건을 반영해 산사태 예·경보를 내릴 예정이라며, 주민들이 대피할 장소도 점검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그래픽:박서은/화면제공: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사태 충격 20배”…위험 지역 대피 먼저
    • 입력 2025-06-20 09:57:41
    • 수정2025-06-20 10:31:22
    930뉴스(울산)
[앵커]

울산도 이번 주부터 장마에 들어가면서 집중호우뿐 아니라 산사태에 대한 걱정이 큽니다.

특히 산불이 난 산림 인접 마을은 산사태 피해가 훨씬 커질 수 있는데요,

대피소를 미리 알아두는 등 철저히 대비하셔야겠습니다.

김옥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벽돌로 지어진 모형 집.

갑자기 밀려든 토사에 형체도 알아볼 수 없게 부서집니다.

집 안에 있던 사람 형태의 마네킹은 쏟아지는 물과 흙에 매몰돼 사라집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진행한 모의 실험으로, 산사태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

급격히 쏟아져 내리는 토사로 받는 충격은 거리에 따라서도 크게 달라집니다.

경사면 4곳에 측정 장치를 설치해 토사를 흘러내려 봤습니다.

불과 1m 떨어진 거리인데도 밀려온 토사의 충격량이 20배가량 차이 납니다.

산사태가 발생했을 때 산비탈과 가까울수록 피해가 훨씬 커지는 이유입니다.

실제로 2년 전 집중호우 때 경북 문경과 봉화에선 토사가 산비탈 바로 아래 주택을 덮쳐 모두 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산불이 났던 산림과 인접한 주택가의 경우 같은 양의 비에도 산사태 발생 가능성과 피해 규모가 커질 수 있습니다.

[김재정/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반재난실험팀장 : "선행 강우(토사 유출되지 안 될 정도의 비)를 많이 머금고 있다가 갑자기 붕괴가 되는 경우도 있고요. 하물며 산불이 발생한 데는 더욱더 경각심을 배로 가져야 돼요."]

산림당국은 산불 피해지역에 대해선 약화한 토양 여건을 반영해 산사태 예·경보를 내릴 예정이라며, 주민들이 대피할 장소도 점검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그래픽:박서은/화면제공:국립재난안전연구원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