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단신] ‘카트 화재 화상’ 10대 숨져…업무상과실치사 조사 외
입력 2025.06.23 (19:48)
수정 2025.06.23 (20: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단신 이어갑니다.
도내 한 테마파크에서 카트 화재로 전신 화상을 입은 10대 관광객이 사고 발생 25일 만에 숨졌습니다.
서귀포경찰서는 업체 측에서 안전교육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등 업체 측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며,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사고가 난 카트에 대한 감정을 의뢰했습니다.
지난달 29일 발생한 카트 화재로 10대 관광객이 온몸에 2도 화상을 입어 닥터헬기로 서울 시내 화상 전문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판사가 변호사에 회식비 요구” 의혹 제기…“감사 중”
공안탄압저지 및 민주수호제주대책위원회는 오늘 도민카페에서 회견을 열고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활동가 2명의 항소심에서 실형을 선고한 제주지법 판사가 변호사에게 회식비를 요구했다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 단체는 회견에서 "지난해 6월 해당 부장판사가 변호사에게 며칠 뒤 있을, 회식비 대납을 요구하며 '법인카드 한도가 얼마냐'고 물었고, 이를 거절하지 못한 변호사가 다른 변호사에게 대신 결제를 부탁했지만 거절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회식비 요구는 법관윤리강령 청렴과 품위유지의무를 위반한 것"이라며, 대법원 윤리감사실에 진정서를 넣을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제주지방법원 측은 "해당 부장판사와 관련해 현재 대법원 윤리감사실에서 감사가 진행 중이라며, 따로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공무원 사칭에 공문서 위조 사기…“수사 의뢰”
제주시는 최근 제주시 공무원을 사칭한 사람이 '2025년도 의료기기 구매 건'이란 공문서를 도내 소상공인에게 발송해 심장제세동기 납품을 요청다고 밝혔습니다.
사칭범은 유명 의료기기 납품 업체 명의를 도용한 명함과 가짜 공무원 명함을 문자로 전달한 뒤, 해당 업체를 통해 납품하면 된다며 9,800만 원을 송금할 것을 유도했지만, 다행히 피해로 이어지진 않았습니다.
제주시는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한편, 해당 사례를 전국 자치단체에 공유했습니다.
최근 3년간 제주시 식품위생법 위반 신고 520여 건
제주시는 최근 3년간 접수된 식품위생법 위반 신고는 520여 건으로, 이 가운데 위반 사항이 중대하거나 고의적인 사례는 110여 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신고 유형별로는 이물질이 들어있다는 신고가 190여 건으로 가장 많고, 위생 불량과 소비기한 경과, 표시 기준 위반이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부정·불량식품 신고는 국번 없이 1399번으로 전화하거나 온라인 포털 '식품안전나라' 또는 모바일앱 '내손안'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제주 신항만 건설계획 도민 의견 수렴 형식적”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논평을 내고 제주 신항만 건설 계획 등이 담긴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 제주 공청회와 관련해 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할 것을 해양수산부와 제주도에 촉구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4월 주민설명회에 사업 주체인 해수부가 불참했고 내일 열릴 공청회 계획도 법적 의무 사항 외엔 적극 홍보하지 않고 있다며, 이 사업이 추진될 시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해 주민들을 직접 만나 설명하는 적극적인 행정을 요구했습니다.
도내 한 테마파크에서 카트 화재로 전신 화상을 입은 10대 관광객이 사고 발생 25일 만에 숨졌습니다.
서귀포경찰서는 업체 측에서 안전교육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등 업체 측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며,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사고가 난 카트에 대한 감정을 의뢰했습니다.
지난달 29일 발생한 카트 화재로 10대 관광객이 온몸에 2도 화상을 입어 닥터헬기로 서울 시내 화상 전문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판사가 변호사에 회식비 요구” 의혹 제기…“감사 중”
공안탄압저지 및 민주수호제주대책위원회는 오늘 도민카페에서 회견을 열고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활동가 2명의 항소심에서 실형을 선고한 제주지법 판사가 변호사에게 회식비를 요구했다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 단체는 회견에서 "지난해 6월 해당 부장판사가 변호사에게 며칠 뒤 있을, 회식비 대납을 요구하며 '법인카드 한도가 얼마냐'고 물었고, 이를 거절하지 못한 변호사가 다른 변호사에게 대신 결제를 부탁했지만 거절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회식비 요구는 법관윤리강령 청렴과 품위유지의무를 위반한 것"이라며, 대법원 윤리감사실에 진정서를 넣을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제주지방법원 측은 "해당 부장판사와 관련해 현재 대법원 윤리감사실에서 감사가 진행 중이라며, 따로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공무원 사칭에 공문서 위조 사기…“수사 의뢰”
제주시는 최근 제주시 공무원을 사칭한 사람이 '2025년도 의료기기 구매 건'이란 공문서를 도내 소상공인에게 발송해 심장제세동기 납품을 요청다고 밝혔습니다.
사칭범은 유명 의료기기 납품 업체 명의를 도용한 명함과 가짜 공무원 명함을 문자로 전달한 뒤, 해당 업체를 통해 납품하면 된다며 9,800만 원을 송금할 것을 유도했지만, 다행히 피해로 이어지진 않았습니다.
제주시는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한편, 해당 사례를 전국 자치단체에 공유했습니다.
최근 3년간 제주시 식품위생법 위반 신고 520여 건
제주시는 최근 3년간 접수된 식품위생법 위반 신고는 520여 건으로, 이 가운데 위반 사항이 중대하거나 고의적인 사례는 110여 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신고 유형별로는 이물질이 들어있다는 신고가 190여 건으로 가장 많고, 위생 불량과 소비기한 경과, 표시 기준 위반이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부정·불량식품 신고는 국번 없이 1399번으로 전화하거나 온라인 포털 '식품안전나라' 또는 모바일앱 '내손안'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제주 신항만 건설계획 도민 의견 수렴 형식적”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논평을 내고 제주 신항만 건설 계획 등이 담긴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 제주 공청회와 관련해 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할 것을 해양수산부와 제주도에 촉구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4월 주민설명회에 사업 주체인 해수부가 불참했고 내일 열릴 공청회 계획도 법적 의무 사항 외엔 적극 홍보하지 않고 있다며, 이 사업이 추진될 시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해 주민들을 직접 만나 설명하는 적극적인 행정을 요구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요 단신] ‘카트 화재 화상’ 10대 숨져…업무상과실치사 조사 외
-
- 입력 2025-06-23 19:48:59
- 수정2025-06-23 20:08:59

주요 단신 이어갑니다.
도내 한 테마파크에서 카트 화재로 전신 화상을 입은 10대 관광객이 사고 발생 25일 만에 숨졌습니다.
서귀포경찰서는 업체 측에서 안전교육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등 업체 측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며,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사고가 난 카트에 대한 감정을 의뢰했습니다.
지난달 29일 발생한 카트 화재로 10대 관광객이 온몸에 2도 화상을 입어 닥터헬기로 서울 시내 화상 전문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판사가 변호사에 회식비 요구” 의혹 제기…“감사 중”
공안탄압저지 및 민주수호제주대책위원회는 오늘 도민카페에서 회견을 열고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활동가 2명의 항소심에서 실형을 선고한 제주지법 판사가 변호사에게 회식비를 요구했다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 단체는 회견에서 "지난해 6월 해당 부장판사가 변호사에게 며칠 뒤 있을, 회식비 대납을 요구하며 '법인카드 한도가 얼마냐'고 물었고, 이를 거절하지 못한 변호사가 다른 변호사에게 대신 결제를 부탁했지만 거절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회식비 요구는 법관윤리강령 청렴과 품위유지의무를 위반한 것"이라며, 대법원 윤리감사실에 진정서를 넣을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제주지방법원 측은 "해당 부장판사와 관련해 현재 대법원 윤리감사실에서 감사가 진행 중이라며, 따로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공무원 사칭에 공문서 위조 사기…“수사 의뢰”
제주시는 최근 제주시 공무원을 사칭한 사람이 '2025년도 의료기기 구매 건'이란 공문서를 도내 소상공인에게 발송해 심장제세동기 납품을 요청다고 밝혔습니다.
사칭범은 유명 의료기기 납품 업체 명의를 도용한 명함과 가짜 공무원 명함을 문자로 전달한 뒤, 해당 업체를 통해 납품하면 된다며 9,800만 원을 송금할 것을 유도했지만, 다행히 피해로 이어지진 않았습니다.
제주시는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한편, 해당 사례를 전국 자치단체에 공유했습니다.
최근 3년간 제주시 식품위생법 위반 신고 520여 건
제주시는 최근 3년간 접수된 식품위생법 위반 신고는 520여 건으로, 이 가운데 위반 사항이 중대하거나 고의적인 사례는 110여 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신고 유형별로는 이물질이 들어있다는 신고가 190여 건으로 가장 많고, 위생 불량과 소비기한 경과, 표시 기준 위반이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부정·불량식품 신고는 국번 없이 1399번으로 전화하거나 온라인 포털 '식품안전나라' 또는 모바일앱 '내손안'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제주 신항만 건설계획 도민 의견 수렴 형식적”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논평을 내고 제주 신항만 건설 계획 등이 담긴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 제주 공청회와 관련해 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할 것을 해양수산부와 제주도에 촉구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4월 주민설명회에 사업 주체인 해수부가 불참했고 내일 열릴 공청회 계획도 법적 의무 사항 외엔 적극 홍보하지 않고 있다며, 이 사업이 추진될 시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해 주민들을 직접 만나 설명하는 적극적인 행정을 요구했습니다.
도내 한 테마파크에서 카트 화재로 전신 화상을 입은 10대 관광객이 사고 발생 25일 만에 숨졌습니다.
서귀포경찰서는 업체 측에서 안전교육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등 업체 측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며,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사고가 난 카트에 대한 감정을 의뢰했습니다.
지난달 29일 발생한 카트 화재로 10대 관광객이 온몸에 2도 화상을 입어 닥터헬기로 서울 시내 화상 전문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판사가 변호사에 회식비 요구” 의혹 제기…“감사 중”
공안탄압저지 및 민주수호제주대책위원회는 오늘 도민카페에서 회견을 열고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활동가 2명의 항소심에서 실형을 선고한 제주지법 판사가 변호사에게 회식비를 요구했다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 단체는 회견에서 "지난해 6월 해당 부장판사가 변호사에게 며칠 뒤 있을, 회식비 대납을 요구하며 '법인카드 한도가 얼마냐'고 물었고, 이를 거절하지 못한 변호사가 다른 변호사에게 대신 결제를 부탁했지만 거절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회식비 요구는 법관윤리강령 청렴과 품위유지의무를 위반한 것"이라며, 대법원 윤리감사실에 진정서를 넣을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제주지방법원 측은 "해당 부장판사와 관련해 현재 대법원 윤리감사실에서 감사가 진행 중이라며, 따로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공무원 사칭에 공문서 위조 사기…“수사 의뢰”
제주시는 최근 제주시 공무원을 사칭한 사람이 '2025년도 의료기기 구매 건'이란 공문서를 도내 소상공인에게 발송해 심장제세동기 납품을 요청다고 밝혔습니다.
사칭범은 유명 의료기기 납품 업체 명의를 도용한 명함과 가짜 공무원 명함을 문자로 전달한 뒤, 해당 업체를 통해 납품하면 된다며 9,800만 원을 송금할 것을 유도했지만, 다행히 피해로 이어지진 않았습니다.
제주시는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한편, 해당 사례를 전국 자치단체에 공유했습니다.
최근 3년간 제주시 식품위생법 위반 신고 520여 건
제주시는 최근 3년간 접수된 식품위생법 위반 신고는 520여 건으로, 이 가운데 위반 사항이 중대하거나 고의적인 사례는 110여 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신고 유형별로는 이물질이 들어있다는 신고가 190여 건으로 가장 많고, 위생 불량과 소비기한 경과, 표시 기준 위반이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부정·불량식품 신고는 국번 없이 1399번으로 전화하거나 온라인 포털 '식품안전나라' 또는 모바일앱 '내손안'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제주 신항만 건설계획 도민 의견 수렴 형식적”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논평을 내고 제주 신항만 건설 계획 등이 담긴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 제주 공청회와 관련해 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할 것을 해양수산부와 제주도에 촉구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4월 주민설명회에 사업 주체인 해수부가 불참했고 내일 열릴 공청회 계획도 법적 의무 사항 외엔 적극 홍보하지 않고 있다며, 이 사업이 추진될 시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해 주민들을 직접 만나 설명하는 적극적인 행정을 요구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