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기숙사 교직원 거주 논란…전북교육청 전월세 지원

입력 2025.06.26 (07:45) 수정 2025.06.26 (07: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학교 기숙사에 일부 교직원들이 머물면서 돈도 잘 안낸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알고 보니, 교육 당국이 원거리 출퇴근 교직원에게 전월세 비용을 지원하고 있었습니다.

교직원 기숙사 사용 논란, 해결될 수 있을까요?

유진휘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북지역 중고등학교의 학생 기숙사 가운데 교직원이 이용하는 곳은 모두 6곳입니다.

교직원 20여 명 대부분은 학생보다 저렴하게 이용하거나 아예 공짜로 머물고 있습니다.

더욱이 일부 학교는 4인 1실로 쓰는 학생들과 달리 혼자서 방 하나를 쓰고 있습니다.

일부는 개인 침대까지 마련해 자기 집처럼 지내고 있습니다.

[김정기/전북도의원 : "지역에 있는 선생님들이 기숙사에 살 일이 아니라 지역에 나와서 살고, 기숙사는 오로지 아이들을 위한 공간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그런데 전북교육청은 이미 원거리에서 출퇴근하는 교직원을 위해 주택임차지원기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교직원 한 명 당 최장 4년까지 최대 5천 만 원의 전월세 비용을 보조합니다.

첫해인 올해 97억 원 규모의 기금을 세워, 이달까지 90명 가까이 혜택을 봤습니다.

전북교육청은 오는 2천29년까지 백70여억 원을 마련해 3백50여 명까지 확대 지원할 계획입니다.

[최선자/전북교육청 재무과장 : "언제라도 주택 임차가 필요하신 장거리 출퇴근 교직원에게는 불편함이 없도록 최대한 지원을 할 계획입니다. 몰라서 지원을 못 받는 사람이 없게 하겠습니다."]

교육당국의 원거리 전월세 지원 정책이 교직원 기숙 사용 논란을 끝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진휘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학생 기숙사 교직원 거주 논란…전북교육청 전월세 지원
    • 입력 2025-06-26 07:45:01
    • 수정2025-06-26 07:53:14
    뉴스광장(전주)
[앵커]

학교 기숙사에 일부 교직원들이 머물면서 돈도 잘 안낸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알고 보니, 교육 당국이 원거리 출퇴근 교직원에게 전월세 비용을 지원하고 있었습니다.

교직원 기숙사 사용 논란, 해결될 수 있을까요?

유진휘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북지역 중고등학교의 학생 기숙사 가운데 교직원이 이용하는 곳은 모두 6곳입니다.

교직원 20여 명 대부분은 학생보다 저렴하게 이용하거나 아예 공짜로 머물고 있습니다.

더욱이 일부 학교는 4인 1실로 쓰는 학생들과 달리 혼자서 방 하나를 쓰고 있습니다.

일부는 개인 침대까지 마련해 자기 집처럼 지내고 있습니다.

[김정기/전북도의원 : "지역에 있는 선생님들이 기숙사에 살 일이 아니라 지역에 나와서 살고, 기숙사는 오로지 아이들을 위한 공간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그런데 전북교육청은 이미 원거리에서 출퇴근하는 교직원을 위해 주택임차지원기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교직원 한 명 당 최장 4년까지 최대 5천 만 원의 전월세 비용을 보조합니다.

첫해인 올해 97억 원 규모의 기금을 세워, 이달까지 90명 가까이 혜택을 봤습니다.

전북교육청은 오는 2천29년까지 백70여억 원을 마련해 3백50여 명까지 확대 지원할 계획입니다.

[최선자/전북교육청 재무과장 : "언제라도 주택 임차가 필요하신 장거리 출퇴근 교직원에게는 불편함이 없도록 최대한 지원을 할 계획입니다. 몰라서 지원을 못 받는 사람이 없게 하겠습니다."]

교육당국의 원거리 전월세 지원 정책이 교직원 기숙 사용 논란을 끝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진휘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