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는 말한다] 물놀이 사망 사고 60% ‘하천·계곡’…주의!

입력 2025.07.01 (12:29) 수정 2025.07.01 (15: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때 이른 무더위에 물놀이 계획하신 분들은 잘 들으셔야겠습니다.

물놀이 사망 사고의 90% 이상이 7, 8월에 발생하기 때문인데요.

특히 하천과 계곡이 위험하다고 합니다.

서윤덕 기자입니다.

[리포트]

119구조대원들이 하천에서 누군가를 찾습니다.

대학생인 19살 남성이 친구들과 물놀이하다가 갑자기 사라진 겁니다.

남성은 심정지 상태로 구조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습니다.

사고 지점은 금강과 장계천이 만나는 곳으로, 당시 수심이 평소보다 깊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요새 비가 많이 왔었잖아. 그래서 그래요. 거기가 조금 위에보다는 깊지."]

전북에서는 2년 전 완주의 한 계곡에서도 가족들과 물놀이하러 온 50대가 숨졌습니다.

지난 5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물놀이 사고 사망자는 122명.

이 가운데 60%가량은 하천이나 계곡에서 사고를 당했습니다.

그늘과 이끼 등으로 수심을 파악하기 어렵고, 폭이 좁아 물이 갑자기 불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해수욕장과 달리 안전요원을 모두 두기도 어려워 주의하라는 현수막을 걸거나 안내 방송만 하는 곳이 적지 않습니다.

["허용된 구역에서만 물놀이하며 위험 구역이나 깊은 곳에는 접근하지 마십시오."]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게 중요한 이유입니다.

[송영오/전주덕진소방서 119구조대원 : "입수 전 물의 깊이와 유속을 확인하고 준비 운동과 안전 장비를 착용해 2명 이상 함께 입수하셔야 합니다."]

사고가 났을 때는 무리해서 물에 뛰어들지 말고, 119 신고 뒤 주변에 있는 물건을 던져 구조해야 합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그래픽:오진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후는 말한다] 물놀이 사망 사고 60% ‘하천·계곡’…주의!
    • 입력 2025-07-01 12:29:18
    • 수정2025-07-01 15:42:27
    뉴스 12
[앵커]

때 이른 무더위에 물놀이 계획하신 분들은 잘 들으셔야겠습니다.

물놀이 사망 사고의 90% 이상이 7, 8월에 발생하기 때문인데요.

특히 하천과 계곡이 위험하다고 합니다.

서윤덕 기자입니다.

[리포트]

119구조대원들이 하천에서 누군가를 찾습니다.

대학생인 19살 남성이 친구들과 물놀이하다가 갑자기 사라진 겁니다.

남성은 심정지 상태로 구조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습니다.

사고 지점은 금강과 장계천이 만나는 곳으로, 당시 수심이 평소보다 깊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요새 비가 많이 왔었잖아. 그래서 그래요. 거기가 조금 위에보다는 깊지."]

전북에서는 2년 전 완주의 한 계곡에서도 가족들과 물놀이하러 온 50대가 숨졌습니다.

지난 5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물놀이 사고 사망자는 122명.

이 가운데 60%가량은 하천이나 계곡에서 사고를 당했습니다.

그늘과 이끼 등으로 수심을 파악하기 어렵고, 폭이 좁아 물이 갑자기 불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해수욕장과 달리 안전요원을 모두 두기도 어려워 주의하라는 현수막을 걸거나 안내 방송만 하는 곳이 적지 않습니다.

["허용된 구역에서만 물놀이하며 위험 구역이나 깊은 곳에는 접근하지 마십시오."]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게 중요한 이유입니다.

[송영오/전주덕진소방서 119구조대원 : "입수 전 물의 깊이와 유속을 확인하고 준비 운동과 안전 장비를 착용해 2명 이상 함께 입수하셔야 합니다."]

사고가 났을 때는 무리해서 물에 뛰어들지 말고, 119 신고 뒤 주변에 있는 물건을 던져 구조해야 합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그래픽:오진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