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쌀 개방 압박…“상호관세율 이번 주 논의”
입력 2025.07.01 (23:27)
수정 2025.07.01 (23: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선심 쓰듯, 상호 관세를 유예해 온 기간이 일주일 뒤면 끝납니다.
이때까지 무역 협상이 완료되거나, 유예 기간이 더 연장되지 않으면, 9일부터는 우리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제품이 25% 관세를 물게 됩니다.
베트남의 46%보다는 낮지만 일본이나 유럽연합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미국 정부는 가능한 국가들과 합의를 한 뒤 이를 범주화해 다른 나라들에 맞출 것이라고 밝혀왔는데요.
합의를 이룬 곳은 영국이 유일하고, 타이완, 인도네시아 정도와만 타결이 근접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성실히 협상해 왔어도 일방적인 관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다, 이렇게 무역상대국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지부진한 무역 협상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엔 일본을 정조준했습니다.
일본이 심각한 쌀 부족을 겪고 있는데도 미국 쌀을 수입하려 하지 않는다며 서한을 보낼 거라고 했습니다.
서한에 담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는데, 쌀 시장 개방 요구와 함께 일본을 상대로 상호 관세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의도가 모두 담긴 걸로 풀이됩니다.
미국은 우리나라의 쌀 시장도 비관세 장벽으로 지목하고 있어, 한국도 같은 타깃이 될 수 있습니다.
백악관은 주요 무역상대국과 협상을 이어가면서도, 이번 주에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정해서 통보할 수 있다는 엄포를 반복해 내놓고 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관세 유예 연장이 필요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성실하게 협상 테이블에 나오지 않는다면, 이들 국가의 관세율을 정할 것입니다."]
협상을 이끄는 재무장관 역시 유예 기간이 끝나는 8일까지 합의하지 못하면, 고율의 관세 부과를 강행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 "(협상 상대국이) 만약 완강하게 버티는 바람에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4월 2일(상호 관세 발표일)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관세를 일방적으로 통보하겠다는 트럼프 정부의 언급은 더 늦기 전에 미국에 유리한 조건을 가져오라는 압박입니다.
우리 정부는 조선 같은 제조업 분야 협력을 내세워 미국을 설득 중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유건수/자료조사:백주희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선심 쓰듯, 상호 관세를 유예해 온 기간이 일주일 뒤면 끝납니다.
이때까지 무역 협상이 완료되거나, 유예 기간이 더 연장되지 않으면, 9일부터는 우리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제품이 25% 관세를 물게 됩니다.
베트남의 46%보다는 낮지만 일본이나 유럽연합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미국 정부는 가능한 국가들과 합의를 한 뒤 이를 범주화해 다른 나라들에 맞출 것이라고 밝혀왔는데요.
합의를 이룬 곳은 영국이 유일하고, 타이완, 인도네시아 정도와만 타결이 근접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성실히 협상해 왔어도 일방적인 관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다, 이렇게 무역상대국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지부진한 무역 협상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엔 일본을 정조준했습니다.
일본이 심각한 쌀 부족을 겪고 있는데도 미국 쌀을 수입하려 하지 않는다며 서한을 보낼 거라고 했습니다.
서한에 담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는데, 쌀 시장 개방 요구와 함께 일본을 상대로 상호 관세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의도가 모두 담긴 걸로 풀이됩니다.
미국은 우리나라의 쌀 시장도 비관세 장벽으로 지목하고 있어, 한국도 같은 타깃이 될 수 있습니다.
백악관은 주요 무역상대국과 협상을 이어가면서도, 이번 주에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정해서 통보할 수 있다는 엄포를 반복해 내놓고 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관세 유예 연장이 필요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성실하게 협상 테이블에 나오지 않는다면, 이들 국가의 관세율을 정할 것입니다."]
협상을 이끄는 재무장관 역시 유예 기간이 끝나는 8일까지 합의하지 못하면, 고율의 관세 부과를 강행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 "(협상 상대국이) 만약 완강하게 버티는 바람에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4월 2일(상호 관세 발표일)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관세를 일방적으로 통보하겠다는 트럼프 정부의 언급은 더 늦기 전에 미국에 유리한 조건을 가져오라는 압박입니다.
우리 정부는 조선 같은 제조업 분야 협력을 내세워 미국을 설득 중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유건수/자료조사:백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에 쌀 개방 압박…“상호관세율 이번 주 논의”
-
- 입력 2025-07-01 23:27:41
- 수정2025-07-01 23:31:34

[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선심 쓰듯, 상호 관세를 유예해 온 기간이 일주일 뒤면 끝납니다.
이때까지 무역 협상이 완료되거나, 유예 기간이 더 연장되지 않으면, 9일부터는 우리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제품이 25% 관세를 물게 됩니다.
베트남의 46%보다는 낮지만 일본이나 유럽연합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미국 정부는 가능한 국가들과 합의를 한 뒤 이를 범주화해 다른 나라들에 맞출 것이라고 밝혀왔는데요.
합의를 이룬 곳은 영국이 유일하고, 타이완, 인도네시아 정도와만 타결이 근접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성실히 협상해 왔어도 일방적인 관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다, 이렇게 무역상대국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지부진한 무역 협상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엔 일본을 정조준했습니다.
일본이 심각한 쌀 부족을 겪고 있는데도 미국 쌀을 수입하려 하지 않는다며 서한을 보낼 거라고 했습니다.
서한에 담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는데, 쌀 시장 개방 요구와 함께 일본을 상대로 상호 관세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의도가 모두 담긴 걸로 풀이됩니다.
미국은 우리나라의 쌀 시장도 비관세 장벽으로 지목하고 있어, 한국도 같은 타깃이 될 수 있습니다.
백악관은 주요 무역상대국과 협상을 이어가면서도, 이번 주에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정해서 통보할 수 있다는 엄포를 반복해 내놓고 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관세 유예 연장이 필요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성실하게 협상 테이블에 나오지 않는다면, 이들 국가의 관세율을 정할 것입니다."]
협상을 이끄는 재무장관 역시 유예 기간이 끝나는 8일까지 합의하지 못하면, 고율의 관세 부과를 강행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 "(협상 상대국이) 만약 완강하게 버티는 바람에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4월 2일(상호 관세 발표일)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관세를 일방적으로 통보하겠다는 트럼프 정부의 언급은 더 늦기 전에 미국에 유리한 조건을 가져오라는 압박입니다.
우리 정부는 조선 같은 제조업 분야 협력을 내세워 미국을 설득 중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유건수/자료조사:백주희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선심 쓰듯, 상호 관세를 유예해 온 기간이 일주일 뒤면 끝납니다.
이때까지 무역 협상이 완료되거나, 유예 기간이 더 연장되지 않으면, 9일부터는 우리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제품이 25% 관세를 물게 됩니다.
베트남의 46%보다는 낮지만 일본이나 유럽연합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미국 정부는 가능한 국가들과 합의를 한 뒤 이를 범주화해 다른 나라들에 맞출 것이라고 밝혀왔는데요.
합의를 이룬 곳은 영국이 유일하고, 타이완, 인도네시아 정도와만 타결이 근접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성실히 협상해 왔어도 일방적인 관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다, 이렇게 무역상대국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지부진한 무역 협상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엔 일본을 정조준했습니다.
일본이 심각한 쌀 부족을 겪고 있는데도 미국 쌀을 수입하려 하지 않는다며 서한을 보낼 거라고 했습니다.
서한에 담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는데, 쌀 시장 개방 요구와 함께 일본을 상대로 상호 관세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의도가 모두 담긴 걸로 풀이됩니다.
미국은 우리나라의 쌀 시장도 비관세 장벽으로 지목하고 있어, 한국도 같은 타깃이 될 수 있습니다.
백악관은 주요 무역상대국과 협상을 이어가면서도, 이번 주에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정해서 통보할 수 있다는 엄포를 반복해 내놓고 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관세 유예 연장이 필요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성실하게 협상 테이블에 나오지 않는다면, 이들 국가의 관세율을 정할 것입니다."]
협상을 이끄는 재무장관 역시 유예 기간이 끝나는 8일까지 합의하지 못하면, 고율의 관세 부과를 강행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 "(협상 상대국이) 만약 완강하게 버티는 바람에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4월 2일(상호 관세 발표일)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관세를 일방적으로 통보하겠다는 트럼프 정부의 언급은 더 늦기 전에 미국에 유리한 조건을 가져오라는 압박입니다.
우리 정부는 조선 같은 제조업 분야 협력을 내세워 미국을 설득 중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유건수/자료조사:백주희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