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인터뷰] 정권 따라 바뀌는 ‘보 정책’…타협점 없나?

입력 2025.07.02 (19:30) 수정 2025.07.02 (19: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선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정권 교체 때마다 보 정책이 달라지면서 사회 갈등과 대립을 부추기고 있는데요.

치수와 환경을 고려한 합리적인 타협점은 무엇이 있을지,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서동일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이 대통령은 앞서 대선 공약으로 금강 세종보를 비롯한 16개 보를 전면 개방하는, '4대강 재자연화'를 제시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4대강을 둘러싼 보 정책이 또다시 바뀌게 되는 건데, 정권 따라 보 정책이 달라지는 이유, 뭐라고 보십니까?

[앵커]

우리 지역에서는 '세종보'를 놓고 환경단체와 정치권, 지역사회의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먼저 환경단체에선 자연성 회복을 이유로 세종보 재가동에 반대입장이죠?

[앵커]

반대로, '세종보' 가동을 통해 금강에 물을 채워 관광사업과 용수에 이용해야 한다는 입장도 팽팽한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찬반이 엇갈리는 상황에서 이런 의견도 나옵니다.

보 논쟁을 철거냐 존치냐의 이분법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적절한 '수문 개방', '담수'를 통해 기술적 최적화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는데요.

이건 어떻게 보십니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인터뷰] 정권 따라 바뀌는 ‘보 정책’…타협점 없나?
    • 입력 2025-07-02 19:30:06
    • 수정2025-07-02 19:38:14
    뉴스7(대전)
[앵커]

앞선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정권 교체 때마다 보 정책이 달라지면서 사회 갈등과 대립을 부추기고 있는데요.

치수와 환경을 고려한 합리적인 타협점은 무엇이 있을지,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서동일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이 대통령은 앞서 대선 공약으로 금강 세종보를 비롯한 16개 보를 전면 개방하는, '4대강 재자연화'를 제시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4대강을 둘러싼 보 정책이 또다시 바뀌게 되는 건데, 정권 따라 보 정책이 달라지는 이유, 뭐라고 보십니까?

[앵커]

우리 지역에서는 '세종보'를 놓고 환경단체와 정치권, 지역사회의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먼저 환경단체에선 자연성 회복을 이유로 세종보 재가동에 반대입장이죠?

[앵커]

반대로, '세종보' 가동을 통해 금강에 물을 채워 관광사업과 용수에 이용해야 한다는 입장도 팽팽한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찬반이 엇갈리는 상황에서 이런 의견도 나옵니다.

보 논쟁을 철거냐 존치냐의 이분법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적절한 '수문 개방', '담수'를 통해 기술적 최적화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는데요.

이건 어떻게 보십니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