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열대야 점점 빨라지고 늘어난다

입력 2025.07.02 (21:15) 수정 2025.07.02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처럼 장마철에도 폭염의 기세가 맹렬한데요.

우리나라 과거 기상 데이터를 분석해 봤더니, 폭염과 열대야가 점점 더 빨리 찾아오고, 일수도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신방실 기상전문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올해 첫 폭염이 찾아온 건 지난 5월 20일, 대구 등 영남지방의 최고 체감온도가 폭염 기준인 33도를 넘어섰습니다.

올해 첫 열대야는 지난달 19일 강릉에서 처음 관측됐습니다.

과거 50년 간의 기상 데이터를 보면 폭염과 열대야는 주로 한여름인 7, 8월에 발생했는데, 크게 앞당겨진 겁니다.

2010년대부터 이런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민승기/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 "여름이 점점 팽창한다고 표현하는데요. 앞뒤로 여름이 길어지니까 폭염 발생도 더 앞당겨지기도 하고…."]

폭염과 열대야 일수 역시 급증하고 있습니다.

1970년대 평균 8.3일이었던 폭염 일수는 2020년대 16.7일로 배 이상 늘었습니다.

열대야 증가세는 더 빨라 1970년대 평균 4.2일에서 2020년대 들어 3배나 늘었습니다.

이른바 초열대야, 즉 밤사이 최저기온이 30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현상도 빈번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초열대야가 관측된 건 2013년 8월 강릉이었는데, 올해는 지난밤 초열대야가 발생했습니다.

발생 지역은 서울 등 내륙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이명인/울산과학기술원 폭염연구센터장 : "내륙에 위치한 도시들은 인공 열에 의한 도시 열섬 효과 때문에 열대야가 발생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이 됩니다."]

통상적으로 장마가 끝난 뒤 본격적인 무더위가 찾아오는 걸 감안해보면, 올해 폭염과 열대야 역시 증가세를 유지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경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폭염·열대야 점점 빨라지고 늘어난다
    • 입력 2025-07-02 21:15:37
    • 수정2025-07-02 22:04:45
    뉴스 9
[앵커]

이처럼 장마철에도 폭염의 기세가 맹렬한데요.

우리나라 과거 기상 데이터를 분석해 봤더니, 폭염과 열대야가 점점 더 빨리 찾아오고, 일수도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신방실 기상전문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올해 첫 폭염이 찾아온 건 지난 5월 20일, 대구 등 영남지방의 최고 체감온도가 폭염 기준인 33도를 넘어섰습니다.

올해 첫 열대야는 지난달 19일 강릉에서 처음 관측됐습니다.

과거 50년 간의 기상 데이터를 보면 폭염과 열대야는 주로 한여름인 7, 8월에 발생했는데, 크게 앞당겨진 겁니다.

2010년대부터 이런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민승기/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 "여름이 점점 팽창한다고 표현하는데요. 앞뒤로 여름이 길어지니까 폭염 발생도 더 앞당겨지기도 하고…."]

폭염과 열대야 일수 역시 급증하고 있습니다.

1970년대 평균 8.3일이었던 폭염 일수는 2020년대 16.7일로 배 이상 늘었습니다.

열대야 증가세는 더 빨라 1970년대 평균 4.2일에서 2020년대 들어 3배나 늘었습니다.

이른바 초열대야, 즉 밤사이 최저기온이 30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현상도 빈번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초열대야가 관측된 건 2013년 8월 강릉이었는데, 올해는 지난밤 초열대야가 발생했습니다.

발생 지역은 서울 등 내륙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이명인/울산과학기술원 폭염연구센터장 : "내륙에 위치한 도시들은 인공 열에 의한 도시 열섬 효과 때문에 열대야가 발생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이 됩니다."]

통상적으로 장마가 끝난 뒤 본격적인 무더위가 찾아오는 걸 감안해보면, 올해 폭염과 열대야 역시 증가세를 유지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경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